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79 lines (65 loc) · 11.1 KB

다이묘.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79 lines (65 loc) · 11.1 KB

大名 (だいみょう)

일본 중세 시대의 지방 영주. 다이묘라는 칭호는 본래 오오나누시(大名主)라는 단어가 변화하여 생긴 것이다. 나누시란 말 그대로 "이름을 가진 자", 즉 봉건사회에서 제대로 된 성씨를 칭할 수 있는 한 마을의 실권자를 뜻하고, 여기에 크다는 의미가 붙어 규모가 커지면 지방에서 세력을 떨치는 호족을 가리키는 말이 된다. [1] 이것이 바쿠후가 성립하고 무가사회가 되면서 많은 봉토와 부하를 거느리는 무사를 가리키는 의미가 되었다. 일정한 크기의 영토 이상을 소유하지 못한 작은 지역의 영주는 소묘(小名)라고 불리웠다. 에도 시대에 이르러서는 고쿠다카(石高) 5만 석 이상은 다이묘, 그 미만은 소묘로 부르는 일이 정착되었다.

무로마치 막부는 개개의 쿠니[2]를 막부에서 임명한 슈고(守護) 다이묘에게 찢어 주고 먼 지역의 광역을 통솔하는 탄다이(探題)를 두었다. 또 중앙에는 쇼군 다음가는 칸레이를 두고 관동에는 쇼군 대신 관동을 다스리는 간토쿠보를 두고 그 다음가는 간토칸레이로 보좌하게 했다. 바쿠후의 통치능력이 쇠퇴함에 따라 이들 슈고쇼쿠(守護職)를 부하인 슈고다이나 여타 다른 이유로 그 지방에서 힘을 얻은 세력이 힘으로 쳐 없애거나 실권이 없는 괴뢰를 옹립했다가 자기가 센고쿠(戰國) 다이묘에 오르는 이른바 전국시대가 시작되었다. 유명한 다이묘인 호조우지야스, 우에스기켄신, 오다노부나가 등이 대표적인 예.

호조 우지야스의 할아버지 호조 소운은 간토쿠보가 둘로 분열하자 쇼군과 이마가와 집안의 도움을 받아 반 쇼군파 간토쿠보를 제거하고 세력을 쌓았으며, 아버지 호조 우지쓰나 대에 이마가와 집안에서 독립하고 점차 세력을 키워갔으며, 마침내 호조 우지야스 대에 간토쿠보와 간토칸레이를 모두 몰락시켰다.

관동의 켄신은 원래 나가오 씨족으로 에치고 슈고를 세습하는 우에스기 씨족의 슈고다이 집안인데, 아버지 나가오 타메카게가 주인 우에스기 후사요시를 쳐 없애고 우에스기 사다자네를 허수아비로 세워 센고쿠 다이묘화했다.

오다씨는 본래 오와리 지방의 신관 출신 고쿠진이었는데 슈고인 시바 씨의 실권을 빼앗고 괴뢰로 만든 뒤[3] 오와리의 다이묘가 되었다. 이외에 아예 모반하여 주군을 쳐 없애고 그 자리에 올라앉는 것을 게코쿠죠(하극상)라고 하는데, 이것으로 유명한 자가 사이토도산과 [마츠나가 히사히데](/wiki /%EB%A7%88%EC%B8%A0%EB%82%98%EA%B0%80%20%ED%9E%88%EC%82%AC%ED%9E%88%EB%8D%B0) 등의 다이묘들이다. 또한 이들 센고쿠 다이묘 중 상당수는 지방의 이름없는 호족 출신이었기 때문에 정통파로 취급되는 겐지, 헤이케 등의 족보를 거짓으로 가져다 붙이는 경우가 많았다. 겐지나 헤이케도 무사는 무사 집안이지만, 나름 헤이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덴노가와도 인연이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권위가 엄청 붙기 때문이다.[4]

반면 명문 세이와 겐지 출신인 다케다신겐[5]이나 시바 씨, 키라 씨 등과 함께 무로마치막부의 3대 가문 중 하나[6]였던 이마가와 요시모토, 고레무네 가의 후손으로 가마쿠라 막부 때부터 휴가 슈고직을 지낸 시마즈 씨[7] 등은 전통적인 권위를 가진 슈고에 속한다. 다케다 신겐은 전통적인 권위가 있는 슈고였기 때문에, 라이벌인 겐신이 주인을 쳐 없앤 센고쿠 다이묘인 주제에 막부에게서 권위를 인정받아 슈고의 상위 직책인 간레이로 임명되자 자존심이 상해서 평생 우에스기 성씨(본래 간레이인 우에스기 가문의 양자로 들어갔기 때문)로 부르지 않고 계속 본성인 나가오로 불렀다고 할 정도이며, 이마가와가 정권 획득을 위해 교토로 대군을 이끌고 진공한 건 사실 이마가와가 쇼군 계승을 충분히 주장할 수 있는 가문이었기 때문.

에도시대의 다이묘는 1) 봉지를 1만석 이상을 가지며 2) 쇼군으로부터 직접 영지를 하사받아야 한다. 어떤 대규모 다이묘의 가신은 봉지가 1만석 이상이 될 수도 있지만 쇼군에게 직접 하사받은게 아니라 다이묘가 재분배 한 것이기 때문에 다이묘라고 하지 않는다. 쇼군에게 직접 봉지를 받았지만, 영지가 만석 미만인 자들은 하타모토(旗本)라고 한다. 이들은 쇼군의 직속가신[8]이며, 쇼군을 직접 알현할 자격이 있었다.

에도 막부의 다이묘는 세가지 구분이 있었는데, 미토, 마츠다이라 등 도쿠가와 직계에 속하며 군사적 요충지를 영지로 장악한 신판(親藩) 다이묘가 있었고, 세키가하라 이전부터 도쿠가와에 속했거나, 신판도 도자마도 아닌 다이묘였던 후다이(譜代) 다이묘가 있었다. 그리고 모리, 시마즈 등 도쿠가와에게 저항하던 적군 출신의 다이묘들은 도자마(外樣)라고 불리며 에도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을 근거로 하였다. 이렇게 멀리 떨어진 과거의 적들은 그 원한을 잊지 않았는지, 후일 에도 막부 타도의 주동자가 된다.

영지의 삭감이나 개간으로 인해 구체적인 수치는 달라지지만, 에도막부의 쇼군의 경우 대략 300~400만석에 이르는 영지를 직할로 다스렸다. 게다가 수족과 같이 부릴 수 있는 하타모토들에게 나눠준 영지가 300만석 정도였으니, 실질적으로는 600만석 이상의 힘을 휘두를 수 있었던 것. 반면 가장 넓은 영지를 보유했던 몇 몇 다이묘들의 영지는 100만석 정도였으니[9] 일개 다이묘로써 쇼군에게 반항하는 것은 꿈도 꾸기 어려웠던 것이다.

또, 에도막부는 일종의 인질제도인 산킨코타이(참근교대)라는 제도를 시행했는데, 수도에 다이묘의 가족을 모아놓아 반란을 통제했고, 다이묘가 돈을 소모하며 영지와 수도를 오가게 하며 그들의 경제력을 약화시키려고 한 것이다. 물론 다이묘들이 뿌리는 돈으로 인해 인한 부수적 경제적인 효과도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우 인질이라고 하더라도 높은 신분 간의 거래에 가까웠기 때문에 인질의 취급이나 대우가 상당히 정중했고, 일정 구역 안에서는 불편함 없이 살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다이묘들은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 화족으로 편입되었으며, 현재도 상당수는 지역 토호로 그 이름을 떨치고 있다.

\----

  • [1] 본래 성씨란 중국, 한국과 같은 개념이었고, 헤이안 시대의 성씨들은 대개 겐지, 헤이케 하는 식으로 그저 성씨일 뿐이었지만 봉건사회가 성립되면서 서양의 그것처럼 자신이 소유한 장원과 영토의 이름을 따서 성씨를 짓게 되었고, 본래 쓰이던 성씨가 씨(氏)라면, 이 새로 등장한 봉건 사회의 이름은 "묘지(苗字)"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후 성씨 개념은 아주 고상하게 이름을 부를 때나 쓰게 되었다. 가령 겐지인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옛날스럽게 호칭하면 "미나모토노 이에야스"다. 일본인의 성씨에 밭 田이나 들판 原같은 한자가 많은 것도 이렇게 지명에서 유래한 "묘지"이기 때문.
  • [2] 国. 당시 일본에서의 이 글자의 용법은 우리가 생각하는 주권국이 아닌 하나의 고을 정도의 의미에 가까웠다.
  • [3] 이 과정이 그리 순탄한 건 아니어서 오다 노부나가의 아버지인 노부히데 대에는 오다 씨의 권력이 매우 강해졌으나 역으로 주변이 적 투성이인 상황이 되었다. 이런 최악의 상황을 실력으로 정리한 것이 노부나가.
  • [4] 신적강하라고 해서, 덴노가의 인물이 결혼 등의 이유로 본적을 이탈하거나 일정 촌수 이상 덴노가에서 떨어진 방계가 되면 미나모토(겐지)나 다이라(헤이케) 등의 성씨를 택해서 가문을 차렸는데, 이래서 같은 겐지라도 세이와 겐지, 카와치 겐지 하는 식의 파벌이 존재하는 것이다. 물론 혈연은 상당히 멀어서, 사실상 덴노가와 인연이 있는 별개의 가문들. 그렇잖아도 방계라서 분가하는 터라 이렇게 덴노가에 연원하는 가문이더라도 몇 대가 내려가면 조정에서의 위치는 꽤나 내려갔다.
  • [5] 다케다 가는 헤이안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진짜 유서있는 가문이다. 중세에 되어야 벼락출세한 무사가문이 아니라 원래부터 이름있는 귀족출신이었다. 다케다 가의 분파가 츄고쿠 지방에도 따로 존재할 정도다.
  • [6] 아시카가 일족에 후계자가 없다면 이 세 가문에서 쇼군 후계자를 내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막부와 인연이 깊다.
  • [7] 겐지나 다이라, 후지와라 등에 비하면 다소 밀리긴 하지만 고레무네 역시 그 역사와 전통은 남들에게 밀리지 않는 헤이안 시대부터의 명문이다. 게다가 따지고 보면 이 쪽도 근원은 세이와 겐지로 올라간다.
  • [8] 현대적인 감각으로는 친위대나 비서정도로 이해해도 좋다. 한편 다이묘도 형식상으론 쇼군의 가신이다.
  • [9] 명목상 석고는 마에다 가문의 카가 번이 유일하게 102만 석으로 100만 석을 넘었고, 친번, 도자마, 후다이를 안 가리고 나머지는 모두 75만 석을 넘지 못했다. 메이지 시대에 측정된 실제 석고로 따져도 카가 번과 다테 가의 센다이 번, 모리 가의 조슈 번 셋만이 100만 석 규모였다. 그나마 이에 준할 만한 번도 시마즈 가의 사츠마 번, 고산케의 일원인 오와리 도쿠가와 가의 오와리 번, 나베시마 가의 사가 번 정도고 나머지는 50만 석은 커녕 10-20만 석인 번도 태반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