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171 lines (100 loc) · 12.7 KB

매카시즘.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71 lines (100 loc) · 12.7 KB

이 문서는 비로그인 사용자의 편집이 제한된 상태입니다.

이 문서는 운영원칙에 의해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의 편집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관련 문의는 위키 게시판에서 해주세요. 이 문서의 비로그인 사용자의 편집이 가능한 해제일자는 동결처리 문서를 참조해 주십시오.

Contents

  1. 개요

1.1. 매카시즘 선풍의 전말

1.2. 재평가 논란

1.3. 문화계에 미친 사례

  1. 미디어에서의 매카시즘

"McCarthy_is_m is now McCarthy_was_m"
(매카시즘은 이제 매카시_워_즘이다)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1]

매카시즘에 대한 한줄요약: 공산당 개새끼해봐. 아래는 장황한 부연설명(...)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7%A4%EC%B9%B4%EC%8B%9C%EC%A6%9 8?action=edit&section=1)]

1. 개요 ¶

1950~1954년 사이에 미국 전역을 휩쓴 공산주의자 색출 열풍. 근거 없는 무분별한 주장이나 고발을 비판하는 용어로도 사용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7%A4%EC%B9%B4%EC%8B%9C%EC%A6%9 8?action=edit&section=2)]

1.1. 매카시즘 선풍의 전말 ¶

미 상원의원인 조지프매카시1950년에 열린 공화당 당원의회에서"중국을 공산당에게 빼앗긴것은 미국내부의 공산주의자들때문"이라고 말하며 "미국에서 활동하는 공산주의자들의 명단을 가지고 있다"라는 발언으로 관심을 모으고 이는 전국적인 화젯거리가 됐다. 먼저 공화당에서 매카시의 주장으로 포문을 열고 뒤이어 민주당은 자신들이 공산주의자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이 주장에 동참했다.

이 때문에 전국에서 반 공산주의를 넘어선 혐 공산주의에 가까운 분위기가 조장됐고 수많은 사람들이 공산주의 혐의로 체포되거나 심문받았으며 유명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1954년에 에드워드머로 기자가 매카시의 주장은 거짓이라고 주장했으며 이후 열린 청문회에서도 제대로 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면서 매카시의 주장은 힘을 잃는다. 미국의 전설적인 코미디언 밥 호프(Bob Hope)는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이 공산주의자 200만 명의 명단을 공표한다는 정보를 입수했다. 매카시 의원이 모스크바 시내 전화번호부를 막 손에 넣은 모양이다."라고 비꼬기까지 했다.

후일 매카시의 이런 행동을 경력 위조, 상대방 비방 등을 이유로 끝나가던 정치생명을 이어가기 위함으로 보기도 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7%A4%EC%B9%B4%EC%8B%9C%EC%A6%9 8?action=edit&section=3)]

1.2. 재평가 논란 ¶

그 뒤 1995년 기밀해제로 공개된 미-영간의 러시아어 암호 해독 프로젝트인 "베노나(VENONA)"에 의해 매카시가 공산주의자 및 소련의 간첩으로 지적한 이들(가령 뉴딜 정책의 발안자인 해리 화이트, 그리고 로젠버그 부부 등)이 당시에 정말로 소련의 간첩으로 활약한 사실이 드러나 매카시 상원의원의 지적이 사실이라는 이야기가 돌고는 있지만...

그러나 베노나 프로젝트에 의한다 하더라도관련 글 매카시의 '지적'이 재평가 운운할 정도로 미국 안보를 공고히 하였는지는 참으로 의문이며 (실제로 베노나 프로젝트에 있는 명단과 매카시의 명단을 상호 비교해보면 매카시가 지적한 사람들이 베노나 명단에 있는 경우는 극히 적다) 매카시의 주장으로 50년대의 미국 사회가 얼마나 공포에 감염되어 경직되었는지를 생각한다면 매카시즘을 재평가한다는 것은 황당한 이야기이다. 현재 국내에 재평가 운운하면서 나도는 떡밥은 모 교수의 주장과 그가 번역한 미국의 앤 콜터(Ann Coulter)[2]라는 정치평론가의 저서, 그리고 그들을 소스로 한 모 극우 블로거의 포스팅들이 대부분으로 믿을 만한 게 못 된다.

그러한 극우 블로거들은 '누가 뭐라고 떠들든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 매카시 의원의 발언이 미국 안보에 별 공헌을 못했다는 것은 결과론적인 이야기일 뿐이며 논점을 흐리는 주장에 불과하다' 면서 '더불어 역매카시즘 때문에 이후 거꾸로 반공산주의에 대한 혐오가 미국에 팽배하게 되었고 소련 간첩을 열심히 잡고 신고하는 사람은 변태 취급을 받게 되어 오히려 미국의 방첩망에 큰 장애를 주었다' 라고 하며 현대 대한민국에 시사하는 바까지 들먹거리기도 한다.[3] 다시 말하지만 현재까지 매카시가 지목한 사람들 중 간첩일 것 같다는 의심이 들 정도의 증거라도 나온 사람은 9명뿐이다. 참담한 적중률 게다가 독재국가도 아닌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국가 안보를 핑계삼아 합리적이고 적법절차를 걸친 검증을 거치지 않고 오직 한 정치가의 선동에 휘둘려 하루아침에 멀쩡한 사람을 빨갱이로 만들어 **인민재판**을 가했다는 사실 자체부터 흑역사가 될 수밖에 없다.

그 당시 국무성에서 일하고 있었고 후에 존 F.케네디 대통령의 국무성 장관이 되는 딘러스크는 자서전에서 매카시즘으로 훌륭한 중국 전문가들이 희생되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도 외무성이 매카시즘으로 인해 위축된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7%A4%EC%B9%B4%EC%8B%9C%EC%A6%9 8?action=edit&section=4)]

1.3. 문화계에 미친 사례 ¶

매카시즘은 소모적인 공산주의자 논쟁을 일으킨 것 뿐 아니라 냉전이 시작되는 시기에 대 소련공산권 관계를 극도로 경직시켜 국가 정책에 실질적인 피해를 끼치기도 했다. 특히 정보전에 있어서 막심한 손해를 끼친 사례로는 영화배우인 스털링 헤이든에 관련된 일화가 있다.

헤이든은 제2차세계대전 당시 OSS 요원으로 자원하여 독일점령지 유고슬라비아에 잠입, 당시 반독게릴라를 이끌던 티토를 지원하는 임무에 종사했고 그때의 인연으로 티토와는 개인적 친분을 쌓게되어 전쟁이 끝나 귀국한 뒤에도 정기적으로 편지를 주고 받을 정도로 절친한 사이가 되었다. 공산 정권의 수장이지만 반소 성향이 상당히 강했던 티토였으니 이 인맥이 그대로 유지되었으면 상당히 믿을 만한 정보망이 저절로 생기는 셈이다. 하지만 이 사실이 매카시에게 알려지자 그는(나라를 위해 적지에 단신 잠입하여 작전을 수행하고는 은성장까지 받은 전쟁 영웅에게) 공산주의자의 협력자로 매도당했고 결국에는 누명을 벗기 위해 밀고자 노릇까지 하게 되는 지경에 이르른다.

헤이든은 매카시즘 종식 후 할리우드에서 사실상 쫓겨난다. 그나마 반할리우드계 감독들인 스탠리큐브릭, 프랜시스포드 코폴라 등이 배역을 줘서 연기인 생명을 유지할 수 있었다. 특히 큐브릭은 자신의 장편 데뷔작 《킬링》에서 주연을 맡았던 인연으로 주변의 만류와 주변의 고사에도 불구하고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에서 사이코 광신도(수도물 불소첨가가 성불구를 만들려는 소련의 음모라는) 핵 우월론자 잭 리퍼 장군 역을 맡기기도 했다.[4]

헤이든은 이 사실을 두고 평생 괴로워했고 티토와의 친분도 끝장나버렸다. 미국은 그야말로 굴러들어온 호박을 걷어 차버린 셈이었던 것이다.[5]

이 밖에도 매카시즘 광풍이 몰아붙였을 때 일부의 영화인들은 할리우드의 동료배우들을 공산주의자로 몰아 살아남았는데
엘리아 카잔, 게리쿠퍼,그리고 영화배우 출신의 전 미국 대통령 로널드레이건등이 그러한 영화인이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7%A4%EC%B9%B4%EC%8B%9C%EC%A6%9 8?action=edit&section=5)]

2. 미디어에서의 매카시즘 ¶

2008년 개봉한 인디아나존스 4편에서 매카시즘 광풍을 희화적으로긴 해도 나름 잘 묘사하고 있다. 인디아나 존스를 빨갱이로 모는 CIA, 공원에서 빨갱이를 때려잡자라는 피켓을 들고 단합대회하는 사람들. 다만 영화의 배경인 57년은 매카시즘이 이미 과거가 되어버린 시점이라는 건 애교로 넘어가주자.

영화 《맨츄리안 켄디데이트》가 노골적으로 매카시즘에 대한 조롱을 담고 있다. 영화는 스릴러와 인간승리로 포장했지만 원작은 블랙 유머로 매카시즘을 풍자하고 있다. 소설판에서 공산당 간첩을 강조하는 사람의 군대 시절 이야기는 매카시의 그것을 풍자했고 영화에서 그 의원 역시 매카시처럼 알코올 의존증에 포즈까지 흉내낸다. 심지어 영화 중간에 그 의원의 기록영상이 나오는 장면이 있는데 이건 새로 찍은 게 아니라 매카시의 그것을 그대로 보여준 것이다. 결말 부분에서 이렇게 반공주의를 외친 사람이 바로 소련의 진짜 첩자라는 게 아이러니이다.

\----

  • [1]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매카시 견책결의안에 서명하면서 한 말. 보면 알겠지만 영어 be동사의 현재형과 과거형을 가지고 한 말장난이다.
  • [2] 미국의 대표적인 극우 보수 언론인이다.
  • [3] 물론 조금만 생각하면 인과관계를 혼동한 오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미국의 방첩망이 악화되었다면 이는 매카시즘의 부작용이지 매카시즘을 진정시키려는 노력 때문이 아니다. 반공산주의에 대한 혐오를 불러 일으킨 이유가 매카시 의원의 삽질이었으니까.
  • [4] 특이한 것은 또 다른 밀고자 아돌프 만주(Adolphe Menjou)도 큐브릭의 영화 《영광의 길》에서 인간말종 프랑스 장군으로 캐스팅되기도 했다. 큐브릭의 할리우드 혐오가 잘 드러나는 사례.
  • [5] 덧붙이자면 영국의 SIS가 냉전 중 동구권 무기의 정보를 얻기위해 주로 사용한 창구가 유고와 체코였다. CIA가 동구권 무기의 정보를 얻지 못해 발만 구르고 있을때 SIS는 외교행낭에 넣어간 달러 뭉치로 무기 메뉴얼까지 입수하고 있었던 것은 유명한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