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215 lines (127 loc) · 13.3 KB

백두산함.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215 lines (127 loc) · 13.3 KB

![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08/0717/IE000939895_STD.jpg](http ://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08/0717/IE000939895_STD.jpg)

[[JPG external image]](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08/0717/IE00 0939895_STD.jpg)

![http://www.dishmodels.ru/picture/glr/07/07134/g07134_1210817.jpg](http://www .dishmodels.ru/picture/glr/07/07134/g07134_1210817.jpg)

[JPG external image]

백두산함과 동형함인 PC-461급

함종

구잠함(Submarine Chaser)[1]

배수량

450톤

길이

53m

7m

흘수[2]

2m

최고속도

20.2knot

엔진

2,880 bhp 디젤 엔진

무장

3인치 단장포

Contents

  1. 개요
  2. 설명
  3. 전과
  4. 관련 항목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B0%B1%EB%91%90%EC%82%B0%ED%95%A 8?action=edit&section=1)]

1. 개요 ¶

PC-701 백두산함은 한국전쟁당시 사용된 대한민국 해군의 전투함이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B0%B1%EB%91%90%EC%82%B0%ED%95%A 8?action=edit&section=2)]

2. 설명 ¶

정인귀 제독(예비역 소장, 전 방위산업진흥협회 진흥본부장)[#](http://news.na 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3714922)의 증언

광복이후 대한민국이 건국되고, 대한민국 국군이 설립되었으나 해군에는 변변한 함정이 한 척도 없었다. 그나마 유일하게 보유하던 해군함이라는 게 1947년 2월 2일 건조된 경비정 한 척이 우리 손으로 만든 최초이자 유일한 군함이었다. 이 배는 일본이 패전 후 미완공인 채로 버리고 간 배를 손원일 제독이 조선해안경비대(1946. 6. 15. 해방병단에서 개칭) 기술진을 동원해 경비정으로 완성시켰다. 비록 배수톤수 287톤, 길이 46.6m, 폭 6.7m, 최고속력 13노트에 불과한 경비정이었지만, 손원일 제독은 그 해 2월 7일 이 경비정을 '충무공정'이라 명명하고 태극기를 높이 게양했다.

![http://img197.imageshack.us/img197/9052/3qdy.png](http://img197.imageshack.u s/img197/9052/3qdy.png)

[PNG external image]

PG-313 충무공정

충무공정에 대해

하지만 이 배로선 기껏해야 해상 영토 넘어온 일본 어선이나 나포하고 밀매선을 단속하는 수준인, 말 그대로 경비정 수준 활약을 하는 정도였다. 이를 한탄한 손원일 해군참모총장 이하 장병들이 월급을 털어 마련한 기금에다가 국민 성금 및 정부 지원금까지 모아 미국의 대학에서 실습선으로 활용하던 구형 선박을 구입하였다. 여기에 3인치 포를 장착하였고, 이를 '백두산함'이라 이름지었다. 태극기를 게양한 백두산함이 태평양을 가로질러 1950년 4월 10일 진해에 입항하였을 때 국민들이 감격의 눈물을 흘렸을 만큼 귀중한 전투함이었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8/8e/Uss_pc- 815_1.jpg](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8/8e/Uss_pc- 815_1.jpg)

[[JPG external imag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8/8e /Uss_pc-815_1.jpg)

pc-815(PC-461급 구잠함)

그런데 이런 눈물겨운 고생을 하며 얻어온 함 자체는 미국에서도 그냥 처분하려던 수준의 함정이었다. 이 함정 이름은 PC-461급 구잠함으로 미군에서 2차대전 당시 무려 343척이나 후다다닥 건조했던 함정이지만 무장 수준을 봐도 미국 해안 정찰이나 하는 함정, 즉 전함도 아닌 연안초계정에 지나지 않았다. 물론 아예 전투에서 활약하지 않은 건 아니라서 같은 동급인 PC-565호는 독일군 U보트 1척을 격침시켜 52명 가운데 함장 1명을 제외한 모두를 전사하게 만드는 활약을 딱 한 번 한 적이 있다. 이게 대전기간 동안 전투에서 유일하게 활약한 것. 그 외에는 해안 정찰이나 하다가 2차대전이 끝나자 미국은 이 배들을 노르웨이나 그리스같은 여러 동맹국들에게 무상제공하거나 아예 민간용으로 팔거나 해군 후보생들 실습용으로 쓰이는 수준으로 쓸 뿐이었다.

다만 이건 정말로 세계기준으로도 못쓸 폐함이라서 그랬던게 아니라 미국이 너무 부유해서 그런거다(...). **미국은 항모나 주력함조차도 연습용, ****영화촬영용(!)**으로 격침시켜버리는 돈지랄을 해댄 나라다. 즉 후진국들 기준에서는 그럭저럭 주력 전투함으로 쓸만한 함정이었다. 전투에서 활약한 전적이 별로 없는건 미군 소속인걸 감안하면 아주 당연한 일이다(...). 미군은 이런 작은 배보다 훨씬 좋은 함선들이 넘쳐났기 때문에 구잠함 정도는 정찰/경비용으로 굴리면 족했다. 반면 구축함 정도나 주력으로 굴릴 수밖에 없었던 일본제국유키카제라는 걸출한 수훈함을 배출한 것이나, 야마토급 아끼기용으로 막 굴렸던 공고급 순양전함들이 연합함대 최고의 수훈함들이었다는 사실들을 보면 전적은 함의 성능보다는 해당 함급이 최전선에 얼마나 자주 나섰냐가 중요하다는것을 알수 있다.

손원일 제독은 당시 2,300톤급 PF(Patrol Frigate) 함정을 사려고 했지만 이 배는 미군이 직접 관리하면서 판매를 허락하지 않았다.[3] 결국 살 수 있었던 배가 바로 이 기종. 백두산함은 1949년 10월에 미국 롱아일랜드 킹스 포인트 해양대학에서 학생 실습용으로 쓰다가 폐기하려던 화이트헤드 소위(새로 만들 당시 이름은 USS PC-823)호였다. 당시 돈이 모두 6만 달러였던 손원일 제독 외 해군 간부 15명은 이 배를 1대당 2만 달러로 팔려던 판매자 측과 교섭하여 1대당 1만 2천 달러로 에누리한 끝에 이 기종으로 4척을 살 수 있었다. 대신 배를 수리하는 일은 직접 해야 했고 간부들은 배에서 먹고 자면서 손수 고쳤다. 나머지 1만 2천 달러로 고치면서 도중에 돈이 부족하면 중고까지 무작정 에누리하면서 사서 손수 달았다고 한다.

이렇게 백두산함과 함께 구입한 포탄이 불과 100발에 불과하여 이를 함부로 소모할 수 없었다. 실사격 훈련은 엄두도 못내었고, 단지 함포를 닦고 조이고 조준연습만을 할 수 밖에 없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B0%B1%EB%91%90%EC%82%B0%ED%95%A 8?action=edit&section=3)]

3. 전과 ¶

1950년 6월 25일 밤 9시경 부산 앞바다를 통해 침투하려는 약 600여명의 북한군의 무장 병력을 태운 선박을 포격하여 격침시키는 전과를 내었다. 이 전투를 대한해협 해전이라고 칭한다. 참전용사들의 경험담을 참고하면 크고 단단해보이는 북한군 무장선박이 백두산함의 3인치 포로는 대충 쐈다간 탄약을 모두 소모해도 격침시킬 수 있을것 같지가 않아서 약점(바이탈 파트)를 정확히 노려 사격할 목적으로 피해를 무릅쓰고 지근거리(약 400 미터)까지 배를 갖다 붙였다고 한다. 이에 북한군 선박은 백두산함에 도선하기 위해 상륙정에 병사들을 태워 띄워보내기 시작했고, 상륙정을 막기위해 백두산함 승무원들이 직접 총을 들고 갑판까지 나와 응전해야 했다. 소해정인 YMS-518정이 달려와 함내에 장착하고 있던 37mm 함포[4]로 적함에 쏘고 적함 마스트가 꺽여지는 가운데 아군 3인치포의 고무스프링이 녹아 고장났다. 기회 를 알아챈 적함이 아군에게 역공을 가해 백두산함 조타실을 뚫고 자이로 컴퍼스를 때려 아군 2명이 죽고 또 한 발이 백두산함 주포 옆을 때려 백두산함에 손상이 갔다. 그래도 접근한 보람이 있었는지 오전 1시 38분 대한민국 해군은 결국 적함을 격침시켰다. 이 전투에서 벌인 성과는 보통 큰 게 아니다. 만약에 이 북한군 함선을 막지 못했더라면 부산에 침투하여 후방마저 교란되었을테고 김일성이 큰소리치던 8.15까지 남한을 모두 차지하는 계획이 정말 이뤄졌을지도 모를 상황이었기에 대단히 큰 활약을 한 셈이다.[5]

그 뒤에도 여수철수작전에서 2,300명의 국군과 대전에서 후퇴한 미24사단 패잔병을 수습하고 덕적도-영흥도 상륙작전, 인천 상륙작전, 51년 2월 10일에 있던 제2차인천상륙작전(포격만 한 것이 아니라 선원 20명이 상륙부대에서 활약했다. 애초에 상륙전체인원이 200명도 안된지라....물론 성공하여 인천을 탈환했다.)에서도 꾸준히 활약을 했지만 휴전 이후 미군이 앞서 말한대로 PF함을 비롯하여 더 좋은 군함을 여러 지원하면서 안 그래도 크게 밀리던 백두산함은 한국 해군에서도 구닥다리로 밀려났고 이후로 후방 경계근무로 빠졌다가 1959년 퇴역하고 1960년 8월 21일 해체되었다. 다만 돛대 부분은 보존되어 해군 사관학교에 전시되어 있는데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여담으로 나중에 같은 기종으로 3척(PC-702 금강산, PC-703 삼각산, PC-704 지리산)을 더 사와서 배치했는데 그 중 1척인 지리산함은 6.25 전쟁 와중인 1951년 12월 소해작업을 진행하다 북한군의 기뢰에 접촉하여 격침당하는 참극을 겪기도 했다.[6] 하여튼 한국 해군으로선 이 보잘 것 없는 연안 초계정이 예상 외로 맹활약을 하자 나중에 5척(한라산함, 묘향산함 외)을 추가로 사서 배치하기도 했다. 더불어 이 배가 아닌 처음 살려던 PF함은 한국전쟁 발발 4개월만에 미군이 거저로 두 척이나(PF-61 두만, PF-62 압록) 한국 해군에게 제공했으니 잘됐군 잘됐어. 이후에도 PF함 3척을 추가로 들여오고 1952년 1월에는 고속어뢰정 PT함 4척까지 미군에게 인수받아 한국전쟁 당시 한국 해군의 전력은 의외로 나쁘지 않은 편이었다. 다만 이 PF함들은 완전공짜는 아닌 대여 형식이라서 한국 해군은 전후에 이 함선들을 정식으로 구입했다. 이 PF함들은 해군이 더욱 유용하게 쓰다가 1970년 퇴역하게 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B0%B1%EB%91%90%EC%82%B0%ED%95%A 8?action=edit&section=4)]

4. 관련 항목 ¶

\----

  • [1] 통상임무도 어느정도 수행할수 있는 구축함과는 달리 거의 대잠임무에만 특화되다시피한 함종이다. 작은 배수량으로 싸게싸게 많이 뽑아 광범위한 연안 대잠감시망을 구축할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 [2] 수면아래 잠기는 부분
  • [3] 당시 가져간 돈은 6만달러로 충분히 사고도 남았다. 다만 PC 5척을 사진 못하고 이거 한대 사는것으로 끝... 실제 배를 운영하려면(사실 배 뿐만아니라 전투기나 탱크등 어떠한 장비도 마찬가지) 한 대 가지고는 정상적인 운용이 불가능하다. 훈련이나 정비에 들어가면 가용전력이 통째로 증발하기 때문. 여담으로 손원일 제독이 그렇게 원하던 PF는 한국전쟁때 미국이 걍 공짜로 2대나 던져줬다(...). 이 PF들은 소련에 랜드리스로 가있던걸 돌려받은거라서 미국으로 다시 끌고 오면서 돈을 쓰느니 한국에 걍 줘버린것.
  • [4] 해당 함포는 육상에서 사용하던 미국제 대전차포를 함정에 올린 것이라고 한다.
  • [5] 사실 평가가 약간 과장된 바는 있다. 왜냐하면 실제 전쟁 중 단 한번도 북한에 점령되지 않았던 경남 지역에도 남도부를 중심으로 한 빨치산 부대가 있었기 때문(...). 이는 백두산함이 격침한 수송선 말고 다른 수송선의 존재가 있었다는 의미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백두산함의 전과가 퇴색되는 것은 아니지만.
  • [6] 지리산함이 미 해군의 오인사격으로 침몰했다는 잘못된 말이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오인사격으로 격침된 함정은 지리산함이 아니라 소해정인 JMS-305 두만강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