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父王
- 副王
- 否王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B6%80%EC%99%95?action=edit§ ion=1)]
왕자의 아버지나, 현직 왕의 아버지를 지칭한다.
서양의 경우 이런 표현이 흔하지만, 동양의 경우 생전에 왕위를 물려주게 되면[1]
태상황에 오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거의 쓰지 많은 표현. 사서에서 왕의
아버지를 지칭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마저도 앞서 말한 태상황이나 죽었을 경우 선제[2]
라고 칭하므로 동양권에서는 잘 안쓰이는 표현.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B6%80%EC%99%95?action=edit§ ion=2)]
Viceroy
총독의 다른 명칭으로 유럽에서 규모가 큰
식민지를 다스릴 때 임명했던 총독. 정확히는 왕의 대리인이라는
뜻이다.[3]
따라서 부왕이지만 총독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도 간혹 있었다. 부왕의 황제 버전인 황제의 대리인인
부제도 있으나 이쪽은 조금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총독과의 차이점은 별로 없지만 일반적으로 크고 인구가 많은 식민지를 지배하기 위해서 총독보다 높은 호칭인 왕의 대리인이라는 뜻의 부왕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부는 반장, 부반장할때 그 부이다. 영어로는 vice-. roy는 왕이라는 뜻이다.
스페인의 아메리카 식민지나 인도 제국의 총독에게 부왕이라는 호칭을 주었으며, 왕의 대리인이라는 호칭의 특성상 부왕으로 임명되려면 귀족 출신이어야 했다(평민 출신이 부왕이 되는 경우는 많았지만, 이 경우에도 꼭 귀족 작위를 동시에 수여하여 논란의 여지를 막았다). 인도 제국 부왕을 마지막으로 부왕의 호칭은 전세계에서 더 이상 남지 않게 되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B6%80%EC%99%95?action=edit§ ion=3)]
알수없음
←
??대 부왕 기부 →
??대 준왕 기준
고조선의 왕. 비왕이라고도 한다. 기자조선을 인정한다면 기자조선의 마지막 왕인 준왕의 아버지가 되며, 기자조선을 부정한다면 고조선 토착 왕계의 멸망 직전 왕이 된다.
진시황이 활동했을 무렵에 즉위한 것으로 보인다. 삼국지의 기록에 따르면 BC 214년, 시황제가 몽염을 시켜 만리장성을 쌓게 했고 이에 부왕은 진나라가 쳐들어올 것을 두려워 해 진나라에 복종했다고 하나 입조하지 않았고 조선 또한 오히려 진의 멸망 직후에 팽창하는 모습을 보였으므로 명목상으로만 속국을 칭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 이후엔 얼마 못가 세상을 떠난걸로 보이지만, 언제 죽었는지는 기록이 없는고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부왕에서 준왕으로의 부자 세습이 이루어진 것은 한국 사학계에서 국가의 일정한 발전으로 다루고 있다.
\----
[1]
단 강제로 폐위된 경우는 제외. 애초에 그 아들이 왕위를 잇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2]
국왕제일 경우 선왕[3]
부왕(副王)이라는 표현은 진승 · 오광의 난에서 진승이 오광을 부왕에 임명했다는 기록에서도 찾을 수 있다. 단 여기서는 총독이라는 의미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