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일여객에서 운행하던 900, 909 노선을 삼경운수가 인수하면서 회사를 분리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인수할 당시에는, 900번과 909번이 한동안 용일여객 도색을 하고 다니기도 하였다.
운행하고 있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시내일반버스 300-1번 (수원시 파장동 - 화성시 병점)
- 시내일반버스 301번 (평택시 하북 - 범계역)
- 시내일반버스 303번 (수원역 - 동탄)
- 시내일반버스 310번 (경희대 - 파장동)
- 시내일반버스 311번 (수원역 - 세교신도시)
- 좌석버스 900번 (경희대 - 보라매공원)
- 좌석버스 909번 (수원역 - 시화지구)
- 직행좌석버스 4000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판교) -
성시스**성남시내버스**와 공배
시내일반버스 노선이 5개이지만 301번과 310번을 제외한 다른 노선에 대한 투자는 거의 없다. 운행댓수만 봐도 300-1번이 3대, 303번, 311번이 각각 한대, 게다가 300-1의 경우 공휴일에는 2대만 운행한다. 덕분에 배차간격은 극악...
버스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스피드로
알아주는 회사이기도 하다. 주력노선인
301번,
900번,
909번에 지지대고개, 비상활주로,
수인산업도로 등 속도를 낼 수 있는 구간이 있는데다 배차간격 유지를 위해 시내구간에서도 신호위반을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이렇게 인식된
상황. 하지만 민원투척은 어쩔 수 없었는지 요즘은 과거에 비해서 덜한 편이다.[1]``[2]
하지만
301번 첫차의 속도는 여전한듯.[3]
여담으로, 성우/삼경운수 사장이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장인 관계로 버스갤러리 내에서 조합장님네라 불린 적이 있다. 하지만 요즘에는 이런 표현을 잘 쓰지 않는듯하다.
2011년 1월 909에 현대유니버스 엘레강스를 투입했다. 경기도 좌석버스로는 최초.
여담으로, 909번 관련 민원이 경원여객에도 들어가기도 한다.
\----
[1]
2013년 8월에 발생한 사고도 속도를 줄이는데 한몫을 하고 있다.[2]
또한 2013년부로 비상활주로 지정이 해제되었다.[3]
평택 하북에서 안양 범계역까지 거리가 상당한데 평택 하북 첫차시간과 안양 범계역 첫차시간의 차이는 불과 50분이라 미친듯이 밟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