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다'의 오타.
![djqqek.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_ec_97_85_e3_85_82_ eb_8b_a4/djqqek.jpg)
[JPG image (27.75 KB)]
그 기원은 옛날 아햏햏이 유행하던 시절, Dcinside에 올라온 한 짤방에서 비롯된다.
한 가정집의 화단에 양심 업ㅂ은 사람들이 개똥을 쌔우자 분노한 집 주인이 직접 아래와 같은 경고문을 붙였다.
이곳에 개똥
쌔우지 마세요.
아이들 방이니
개똥 쌔우지 마세요.
개을 키우려면 남에
피에는 주지 말아야지
이 양심업ㅂ은 인간들
(저 사진은 집주인이 수정한 것. 이마저도 양심업은이라고 써 있다…).
사실 원문은 '업ㅂ'이 아니라 '어'자 밑에 ㅃ받침을 붙인 정체불명의 글자였지만,
디지털로는 입력할 수 업ㅂ기 때문인지[1]
업ㅂ(업ᆸ 또는
어ퟦ)이 되었다.
그 후 "쌔우다", "업ㅂ다", "업ㅂ은"은 햏언(당시 아햏햏과 관련된 유행어)으로 취급받으면서 고대 디씨에서 자주 쓰였다.
사실 위에서 나온 '쌔우다'는 싸다의 사동형...의 사투리 형. 표준어는 '싸이다'. '싸게 하다'라는 뜻이다. '세우다', 밤을 '새우다' 등에서 나온 이중사동을 유추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 짤방이 퍼질 당시에는 이미 사멸해 있던 용법. 뭐 그렇기 때문에 참신해(?) 보인다는 이유로 '쌔우다'라는 말이 유행하게 된 것이지만. 아햏햏이 유행할 당시에는 '하다'를 대체하는 말로 의미가 아주 확장되어 있었다.
아햏햏은 사멸한지 오래인 지금도 업ㅂ다는 간혹 쓰인다. 다만 ㅇ벗다에 기세가 조금 눌린 듯. 이 단어는 스덕들에게도 꽤나 친숙한 단어인데, 지금은 은퇴했지만 전상욱이 현역시절 조지명식에서 말을 하도 짧게해서 붙여진 별명이기도 하다. 전용준에게 반말 비스무리하게 들려서 화제가 된 적도 있고(...)
\----
[1]
예전엔 유니코드조차 종성 ㅃ은 없었으나 5.2부터는 추가됐다. 물론 그 전에도 입력할 수 있었다. 문자표에서 ᆸ(U+11B8)을 두 번 클릭하면 되나 함초롬 LVT 시리즈, MS 옛한글 글꼴이 아니면 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