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상세
- 자세한 내용
3.1. 무기, 아이템
3.1.1. 무기
3.1.2. 아이템
3.1.3. 캐릭터/파츠
3.2. 탑승 장비
3.2.1. 지상장비
3.2.2. 공중장비
3.2.3. 해상장비
3.3. 병과
3.3.1. 공병
3.3.2. 의무병
3.3.3. 정찰병
3.3.4. 전투병
3.3.5. 중화기병
3.4. 채널
3.4.1. 보병전
3.4.2. 장비전
3.4.3. 광인전
3.5. 맵
3.5.1. 보병전
3.5.2. 장비전
3.5.3. 광인전
오픈베타
2005
제작
드림익스큐션
유통
넥슨→드림익스큐션
플랫폼
PC
장르
FPS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1)]
넥슨이 퍼블리싱 하고
드림익스큐션에서 만든
FPS 게임. 이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절대
마법사 게임이 아니다.
워록은 게임 엔진이 자체개발이라는 점이 흥미로운데, 스페셜포스가 자체개발 엔진이었던 점을
생각해보면 워록의 게임 엔진은 엄청나게 발전된 형태. 표절논란도 탈 것이 있고 전장이 클 뿐 배틀필드 시리즈와 게임 방식은 다소 다르다. 오히려
한 게임의 최대 인원수를 늘리고, 탈 것이 있고, 저격 소총을 다루기 힘들어지는 등의 시도는 기존 우리나라 FPS 게임에는 없던
도전정신.하지만 저격 쓰기 X빠지게 힘든건 배틀필드3가 돋는게 함정
2012년 12월 19일 넥슨에서의 서비스가 종료되고 12월 20일부터 개발사인 드림익스큐션으로 서비스가 이전된다. 출시된지 8년만의 일이다.
여담으로 라이트 버전도 출시가 되었는데, 이는 넷북이나 구형 컴퓨터도 무리없이 즐기라는 배려 차원의 서비스인 듯 하다.
한가지 덧붙이자면 최소사양 램 216mb에 권장사양 램 516mb정도....착하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2)]
스토리는 중동에 위치한 '데르바란'이라는 가상의 국가를 무대로, 이 국가에서 발견된 대규모 유전자원을 놓고 데르바란 정부군과 NIU라는 비밀
강대국 연합의 군대가 충돌한다는 심플한 내용.그런것 치곤 양측 캐릭터가 100% 똑같이 생겨서 문제라는게 함정
동족상잔의 비극 워록을 서든, 카스와 같은 대테러FPS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듯한데 워록이 다루는건 전쟁이고
데르바란이나 NIU양측 모두 군인이다.
각 클래스로 공병, 의무병, 정찰병, 전투병, 중화기병이 있다. 여담으로 서비스 시작하고 한참 후에도 여자 의무병은 남자 목소리를 내는 일이
있기도 했다.[1]
규모에 따라 나누는 시스템이 있다. 소규모, 중규모, 대규모, A.I가 있다. 소규모는 폭파미션이나 그 말대로 작은 규모의 보병전, 중규모는
장비를 이용한 그 말대로 중간 규모의 장비보병전이 주를 이루며 대부분
정원이 16명이다. 대규모는 그 말대로 대규모이다. 맵이 대빵 크다. A.I는 좀비광인들이 나오는 일종의 봇을 상대로한
생존이다. 이러한 시스템이었지만 2011년 11월 24일 UI 개편으로 소규모, 중규모, 대규모, A.I가 사라지고 보병전, 장비전,
광인전으로 바뀌었다.
각 진영의 장비는 똑같아서[2]
A-10끼리의 공중전, F-15K끼리의 공중전이
당연하게 일어난다. 거기다 낙하산은 오직 치누크에서만 발동된다.(적당한
높이에서만...) 심지어 전투기에도 없다 :장비 밸런스도 문제시 되고있는데 탱크류의 공격은 주포가 콕핏에 직격해도 전투헬기의 경우
HP가 거의 줄어들지 않는다. K1A1의 주포를 블랙호크의 측면, 그것도 도어건이 있는 자리에 직격시켰는데 멀쩡히 날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보조화기인 기관총으로 잡는게 더 효과적인 수준.[3]
그렇지만 헬기류의 미사일 공격은 스치기만 해도 차량류가
개발살난다.[4]
제일 심각한건 역시 물에 들어간 차량에 불이 붙는다.[5]
PC방 전용 총기로 리볼버식 다연장 유탄발사기(MGL)가 추가되고 나서 일반유저들의 원성이 자자하자 한참 동안 모른척하다[6]
다들
포기하는 분위기가 될 때쯤 해서 슬그머니 중, 소규모 맵에서의 유탄발사기 사용을 금지시켰다.
넥슨과 PC방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나자, 한때 **짝퉁워록은 가라!**라는 입간판을 걸고 배틀필드2 사용을 권장하는 PC방도 있었다. 물론 대결이
넥슨의 승리로 끝낫다
국산 FPS 중에서는 타격감 등에서 어느정도 높은 퀄리티라는 평이다. 그런데 타격감은 갈수록 시망 특이하게 진도엔진이라는
국산 게임엔진을 사용하고있다. 진도엔진은 워록 외 XBOX360용 게임 건담:오퍼레이션 트로이에 사용된 바가
있다.
이번에 새로 장비조종 트레이닝이 나오긴 했지만 그전까지는 장비조종도 못하는 초보유저들이 베테랑유저들이 장비조종하는거 때문에 밸런스가 안맞는다고 고도제한을 걸어버리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치누크가 고도제한 먹으면 어쩌자는거.
초보서버에서의 양학이 매우 심각하다. 초보 서버인 그룬델에서, 특히 대규모 맵에서 부캐릭터를 만들어 전투기로 초보들, 특히 장비 하나만 보고 온 초딩들이 도저히 잡을 수 없는 회피기동을 보여주며 양민을 학살하고 다니는 장교들이 많다. 근데 이런 장교들도 일반서버인 몬타나로 가면 눈에 띄자마자 날아오는 스팅어미사일+괴물급 실력을 보유한 장성급들로 인해서 그저 그런 유저가 된다.
반대로 초보섭에서의 무개념유저도 심각하다. 모든 장비조종게임의 현상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초보유저들의 무대뽀 탑승정신과 무면허운전 때문에
베테랑 파일럿들의 속을 열불나게 만들기도 한다...그런데 초보서버는 말 그대로 초보유저들이 그렇게라도 하면서 게임 좀 익히라고 만들어놓은
서버임을 잊지 말자. 뭐 이제는 90%이상이 세컨이지만. 물론 괜한 오기로 일반서버와서 헬기 전투기 타겠다고
기웃거리는 초보들은 까여야 제맛.
워록은 타 FPS게임에는 없는 '구르기' 기능이 있다. 근접전시 꽤나 유용하다. Shift키로 구를 수 있다.흐~
장전시 장전 도중에 다른 무기와 스왑질 하면 바로 장전이 되어있다. 이럴거면 장전 왜 만들었냐 그리고 워록
운영진도 이걸 적극 권장하고 있다아마 원래 버그였는데 유저들이 너무 많이 써서 그냥 하나의 시스템 취급하는 듯[7]
.
의외로 현실성이 있는 부분은 장전이 탄창 개념이란 것이다. 한 탄창 30발들이 총을 1발쏘고 재장전하면 29발은 버려지고 다음 탄창이
장전된다. 여유분 표시도 총알 수가 아니라 탄창 개수다. 그러나 약실 내부에 +1발이 장전되는 개념[8]
이 구현되지 않은것으로 봐서는
현실성을 고증하려고 했던게 아니라 그냥 귀차니즘으로 만들어놓은게 우연히 현실성과 맞아 떨어진 쪽이라고 봐야겠다.
그리고 저격총에 탄속과 탄도학을 적용시켜서 서든어택 과 같이 먼거리를 순줌으로 했다가는 맞추지도 못한다.
더불어 이상한것이 저격류는 탄종류에 상관없이 탄환이 아래로 휘지 않지만 저격류 외 총기류들은 멀리쏘면 총알이 아래로 휘는걸 볼수있다
기관단총의 경우가 제일 심한데 위를보고 쏘면 총알이 포물선을 그리며 산에 꽃히는 장면을 볼수있다 엎드린상태로 중장거리 적을 만나면
답없다
캐주얼성이 장비가 등장하는 FPS치고는 매우 과한 수준이다. 워록은 유저 실력이 매우 크게 작용해서, 중화기병이 5번슬롯을 끼고 구르기 좀
해주면서 미사일을 쏴주면 초보가 탄 탱크따윈 3대가 있어도 순식간에 잡아버린다(...). 거기다 밸런스를 위해서인지 각종 '폭발하는'
무기들의 범위는 더럽게 좁다. 예를 들어 KF15가 떨구는 폭탄의 경우, 좀 위에서 떨궜다 싶으면 보병이 구르기 세 번으로 생존 가능한
지대로 벗어나 버리기 때문에(...) 보병 잡으려는 유저들은 대부분 급강하해서 머리 바로 위에 폭탄을 떨군다. 다만 A10의 폭탄의경우
탱크도 근처에만 떨구면 펑펑 터져나가는 엄청난 위력을 선사한다. 범위도 괴랄하게 넓다. 자기 위로 A10이 날아온다면 90% 죽었다고
생각하는게 좋다 폭탄이 떨어지는 순간에 장비에서 폭탄 투하지점 반대로 하차하면 살수있다 반대로 내리면...
서비스 중반까지는 운전 못하는 유저가 헬기를 타고 가다가 지뢰지대로 기서 죽을 위험에 빠져서 몸만 빠져나와 도망가는 경우가 있을시 지뢰지대의
장비는 완전히 버려진거였다...회수할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어느샌가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장비가 일정시간 동안 가만히 있을 경우 자동으로
폭발하여 리젠되는 시스템이 생겼다. 그 덕에 타려고하던 장비가 눈앞에서 터지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데스힐맵 업뎃이후 비젤건이 캐사기라는 것이 밝혀졌다. 비젤건의 소환 포인트는 꼴랑 10, 다른 탱크들은 기본 40을 넘기고 K1A1은 50,
르끌레흐는 심지어 60이다. 그런데 1:1로 비젤건과 맞붙었을시, 비젤건이 이긴다... 총알이 포탄을 이기는 위엄
2012년 4월 10일 19대 총선 투표율 50%를 기원하여 투표율이 50%가 넘을시에는 2012년 4월 12일에 경험치, 디나 500%
이벤트를 한다고 했다. 19대 총선에서 결국 투표율 50%를 넘겼다 그리고 야~신난다!
드디어 2012년 12/20 금요일. 드림익스큐션으로 이전했다. 그런데 오후 2시까지 점검이 완료된다면서 나중에는 오후 5시, 6시까지
늘리더니 기껏 게임속에 들어가자마자 서버가 몹시 불안정한 상태를 보여 결국 7시까지 연장. 자유게시판에는 이에 대한 불만과 '차라리 넥슨이
훨씬 낫다'는 말도 간간히 나오고 있다...
21일 새벽 12시 인벤토리에 아이템이 지급되지 않던 오류와 서버불안정 현상을 해결...하나 싶더니 오후 1~2시까지 임시점검을 또하고
마침내 6시에 서버 접속 장애가 이어지며 또 점검을 하는 병크를 저질렀다. 이러다가
가뜩이나 사람 수 적은 워록 유저들이 더 떠나가지 않을런지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 게다가 치명적인 버그들이 우후죽순 생기고 있다. 그 중
심각한게 풀숲이나 나뭇잎을 총알이나 수류탄, 포탄이 관통을 못한다(...).
이관으로 워록의 문제점이 약간 고쳐졌다.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6번슬롯 체인지 아이템 사용시 지 맘대로 바뀌던 버그가 수정되었다. 이
버그는 꽤나 치명적인 버그였다. 난 분명 아드레날린을 들고 싶었다고! 근데 왜 크레모아가 들리는 거야! 그리고, 광인전
디펜스 모드에서 고정형 미니건을 탈 수 없었던 문제가 수정되었고 크레모아 설치 후 무기 발사시 발생했던 비정상적인 현상이 수정되었다. 또한
그룬델 서버에 접속하지 못하는 복귀유저 혜택 적용자가 그룬델 서버 접속 후 몬타나 서버에 접속했을 시 혜택을 받지 못하는 버그가 수정되었다.
더불어 병과별 코스튬 무제한 구매시 동일한 아이템을 다시 구입 못하도록 수정하였다.누가 다시 구입해?
또한 바뀐점도 많다. 피시방 전용 무기의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피시방 전용 이벤트인 WARROCK 글자 모으기 이벤트 보상이 바뀌고 지형마다
발소리가 달라졌다.그 전에는 나무를 걷던 도로를 걷던 철판을 건던 터벅터벅 또한 자신 이외의 유저의 동작의 소리가
들린다. 장전이라든지 무기 교체라든지. PX-BOX와 스페셜 웨폰 박스의 사용 방식도 바뀌었다. 기존에는 사자마자 내용물이 확인되고 임시
보관함으로 이동되는 형태였으나 이제는 구입을 하면 PX-BOX나 스페셜 웨폰 아이템 자체가 임시보관함으로 이동되고 그 아이템을
인벤토리로 옮길 때 내용물이 확인되고 그 때부터 사용된다. 더불어 쓸모없는 일부 아이템이 판매 종료되었는데 실버패키지와
브론즈 패키지, 더블백, 광인전 토탈 패키지이건 쓸모 없는게 아닌데?가 판매 종료되었다. 대신 채널별 패키지 판매가
이루어졌다.
2013년 1월 4일 드디어 워록의 고질적인 문제인 서버렉 개선 작업을 실시한다!!!최소 사양을 최고 사양으로 맞춰야 잘 돌아가는
게임이었는데
그런데 렉을 없애긴 커녕 오히려 늘어났다는 의견이 많아지고 잇다...
2013년 12월 19일 Gun Smith shop이라는 총기 조합 시스템이 업데이트 되었다. 기존의 디나 총기와 게임 플레이중 랜덤으로 얻거나 캐시로 구매하는 자원들을 사용해서 새로운 총기를 만들어 내는 시스템인데, 이 새로은 총기들 디자인이 매우 괴랄하다(...). 그말대로 무기 짬뽕의 느낌. 여기서 만들 수 있는 무기는 총 세 개로 각각 AK-47_TC, DSR-1_TC, MP7A1_TC이다 뒤에 붙은 TC은 텍티컬의 약자인듯. 2013년 12월 현재 모두 사기총으로 등극하여 악명을 떨치고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3)]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4)]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5)]
탄환수/탄창수
★ 상점에서 디나로 구입할수 없고 특별한 방법으로 얻는 무기 및 캐시로 구입 가능한 무기.
상점에서 보이는 이름을 기준으로 작성.
-
1번 슬롯
- KNUCKLE (기본)
- M7 단검
- 컴뱃 나이프
- 뿅망치 ★
- 환도 ★
- GURKHA ★
- 군용야전삽 ★
- 크로우 나이프 ★
- SW_MP1BD ★
- GAUNTLET ★
- LONG SWORD ★
-
2번 슬롯
- COLT (기본) 12/5
- DESERT EAGLE 7/5
- MAGNUM 6/5
- DUAL BERETTA 30/2
- MP5K 20/5 (국민
권총부무장) - GLOCK 17/5
- CLOCK17C 30/3 (광인모드 전용)
- MP5K_RW 20/5 ★
- SR-2 Veresk 20/5 ★
- SR-2 Veresk DotSight 20/5 ★
- SR-2 Veresk_Dual 40/3 ★
- APS 20/5 ★
- USP 15/4
- FMG-9 17/5 ★
-
3번 슬롯
5번 슬롯에도 장착 가능한 무기는-
공병, 의무병
- MP5 (기본) 30/5
- UZI 32/5 ☆
- K1 30/5 ☆
- G36C 30/5 ☆
- G36C_DRUM 100/2 ☆
- P90 50/3 ☆
- SPECTOR M4 40/4 ☆
- SCORPION_DUAL 42/4 ☆
- CX4STORM 30/5 ☆
- MP7A1 40/4 ☆
- MAC-10 30/5 ☆
- G36GT 50/3 ★☆ (
희대의 개사기 무기)[9]
- G36GT EAGLE 50/3 ★☆
[10]
- PP2000 20/5 ★
- FMG-9 Dual 34/5 ★
-
정찰병
- M24 (기본) 5/5
- SSG 10/3
- PSG-1 5/5
- AUG 30/5
- AI-AW 5/5
- AW50F 5/5
- PSG-1_20B (광인모드 전용) 20/5
- NTW-20 3/3 ☆
- PSG-1_SW 5/5 ★
- M40A1 5/5 ★
- 드라구노프_SVD 10/3 ★
- M21 20/3 ★
- BARRETT_M82_CAMO 5/3 ★☆ (기존 바렛과는 다르게 서서도 사격 가능)
- BARRETT_M95 5/3 ★☆
- DSR-1 4/5 ★
- DSR-1_CAMO 4/5 ★
- AR-7 15/3 ★☆
- TAC-15 1/20
[11]
- Mosin Nagant 5/4 ★
- M200 5/5
-
전투병
- K2 (기본) 30/5
- M4A1 30/5 ☆
- AK-47 35/5 ☆
- AK-47_EX 35/5 ☆
- G36 30/5 ☆
- G36C 30/5 ☆
- G36C_DRUM 100/5 ☆
- M16A4 30/5 ☆
- TAR-21 28/4 ☆
- GALIL-AR 25/5 ☆
- T65K2 30/5 ☆
- AK-47_Dual 70/3 ★☆
- AK-47_TUBE 75/3 ★☆
- AK-47_SW 35/5 ★☆
- FAMAS 25/5 ★☆
- SIG550 30/5 ★☆
- L85A1 30/3 ★☆
- FAMAS_G2_TR 25/5 ★☆
- XM8 30/5 ★☆
- AN94 30/5 ★☆
- G11 50/3 ★☆
- SCAR_L 30/5 ★☆
- G36GT 50/3 ★☆
- G36GT EAGLE 50/3 ★☆
- Tommy Gun 30/5 ★
- SCAR_H 30/5 ★
- TYPE95 30/5
- Ots-14 30/5
-
중화기병
- Fanzerpaust-3 (기본) 1/3
- STINGER 1/4 ☆
- RPG-7 1/4 ☆
- JABLIN 1/1 ☆
- FGM_172_Predator 1/4 ☆
- RPG7_SW 1/4 ★☆
- M202A1_FLASH 4/1 ★☆
- M72LAW 1/4 ★☆
- M72LAW_CAMO 1/6★☆
- 9K32_Strela_2 1/4 ★☆
- MK777 1/5 ★☆
- AT4 1/4 ★☆
- Carl Gustav 1/4 ★
- Grenade Bow 1/6 ★ (한발 쏠때마다 3발의 화살이 날라간다.)
-
-
4번 슬롯
-
공병
- 스패너
- 파이프렌치
- 임팩트렌치 ★
- T-Bomb 2 ★
-
의무병
- 메딕킷 1/10
- 메딕킷 2 1/8 ★
-
정찰병
- K400 수류탄 2
- T-Bomb 2 ★
-
전투병
- K400 수류탄 2
-
중화기병
- TMA-1A 3
(일명 '피자')(텍스쳐 리뉴얼 후 국화빵) - T-Bomb 2 ★
- TMA-1A 3
-
-
5번 슬롯
-
공용
- 연막탄 1
-
공병, 의무병
- 윈체스터 샷건 8/5
- M4 SUPER 90 8/4
- K400 수류탄 1
- SPAS-12 8/4 ★
- X-12 8/4 ★
-
전투병
- 윈체스터 샷건 8/5
- M4 SUPER 90 8/4
- M60 100/2
- M249_Minimi 50/3
- M240B 100/1 ★
- M240B_ForeGrip 100/1 ★
- M240B_Tactical 150/1 ★
- SPAS-12 ★
- X-12 8/4 ★
-
정찰병
- BARRETT_M82_N (광인모드 전용) 2/1
-
중화기병
- M134 200/0
- MG3 50/3 ★
- EX-41 3/3 ★
- MG3_BOX 70/3 ★
- PKM 100/1 ★
-
-
6번 슬롯
모두 캐시 아이템이다.-
공용
- ADRENALIN 4/0
- FLASH_LANDMINE 2/0
- STEMINA 4/0
-
공병
- M14 3/0
- AMMO_BOX 4/0
- CLAYMORE_AUTO
-
의무병
- MEDIC_BOX 4/0
- CLAYMORE_AUTO
-
정찰병
- BIOCULAR
- CLAYMORE_AUTO
-
중화기병
- CLAYMORE_AUTO
-
-
8번 슬롯
-
공병, 의무병
- TMP9 32/5
UMP45 25/5(삭제)- G36C_DRUM_GOLD 100/1
-
정찰병
BERETTA_M93R 20/4(삭제)TAC-20 1/20(삭제)- BARRETT 5/3
- AI AW_GOLD 5/5
-
전투병
BERETTA_M93R 20/4(삭제)- M60_GOLD
L85A1 30/3(삭제)- G11 50/3
-
중화기병
- HK69 1/5
- M134_GOLD 200/0
MK-1S 6/0(삭제)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6)]
캐시로 구입이 가능하다.
-
AVV Vaccin
광인에게서 받는 데미지 감소, 행드맨에게 자폭 공격을 맞을시 SP가 30% 남아있다. 광인전 타임어택 모드에서 유용하다. 타임어택 모드 특성상 광인들이 무진장 나오는데 행드맨이 우루루 박아대고 있는 상황에 디펜더가 오면 답이 없다. 그 상황을 타개해주는 아이템. -
스킬 포인트 부스터
광인 모드중 디펜스 모드에서 행드먄을 사살할 시에 나오는 스킬 포인트를 2배로 획득. 디펜스 모드 필수까진 아니지만 거의 필수 아이템, 멤버 전원이 이걸 보유할 경우 보스 광인이 나올 때 마다 순항 미사일을 날려 끔살 시킬 수 있다. -
추가 탄창
전투병과 의무병, 공병의 주무기의 탄창을 하나씩 늘린다 2번 슬롯은 제외. 광인전에서 전투병이나 의무병, 공병을 하는 플레이어에게 매우 유용한 아이템, 광인전에서 웨이브가 올라갈 수록 보급이 덜 나오기 때문에 탄약량은 매우 중요하다. -
압박 붕대
HP가 일정 수준 이하이면 감소하던 HP가 줄어들지 않게 된다. 저격할 때 유용하다. 저격하다가 상대 저격총 반샷 맞고 30% 이하가 되었을 때 시간이 지나 사망하는일 없이 계속 사냥을 할 수 있다. -
SP5% UP
SP가 70% 이하일때 SP 회복 속도가 5% 늘어난다. -
SP10% UP
SP가 70% 이하일때 SP 회복 속도가 10% 늘어난다. SP5% UP 아이템과 같이 있을 경우 15% 늘어난다. 광인전 탈출모드에서 매우 유용하다. 근데 광인으로 변하면 적용이 안된다. -
프리미엄 방장
사용시 계급장 숨기기 및 등급에 따라 채팅색이 변경되며며, 방 생성시 방장 유지 및 유저 강퇴가 가능하다. 또한, 경험치 10%, 디나 5%를 추가로 획득 가능하며 같이 플레이한 모든 유저에게 5% 추가 경험치가 지급된다. 일부 유저는 이걸 악용해서 1위를 강퇴시키기도 한다. 당한 사람은 투표 상황이 모르기에 갑자기 게임에서 나가지니 황당할 따름, 악용하지 말도록 하자. -
정찰병용 스코프
정찰병이 줌을 할시 1단 줌을 생략하고 바로 2배줌이 가능하게 해준다. 인벤토리에서 사용하기 버튼으로 사용 가능하다. 대규모 장비전에선 매우 유용한 아이템, 소규모는 맵이 비교적 조비 때문에 1단줌을 쓰는 경우가 있기에 쓰면 약간 불편할 수가 있다.
사용하기 버튼을 안 누르면 되겠지만... -
전투병용 스코프
전투병용 총기중 줌이 되는 총기를 2단 줌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인벤토리에서 사용하기 버튼으로 사용 가능하다. 전투병용 총 중에 줌이 가능한 총기들은 줌을 하면더렙게매우 안 맞기 때문에 거기에 2단 줌 까지 하면 거의 맞질 않는다. 물론 이건 연사만을 얘기하는 것이지만 워록의 스피디한 게임 진행 특성상 끊어 쏠 여유따윈 없다(...). -
더블 업
디나와 경험치를 25% 더 얻게 해준다. -
5번 슬롯
모든 병과의 5번 슬롯을 해제한다. 광인전의 필수 아이템이자 거의 모든 워록 유저의 must have 아이템. 5번 슬롯 전용 무기들이 있기 때문에 제대로 게임을 즐기려면 있어야 한다. 특히 중화기병은 5번 슬롯 없이는 전차 잡기가 매우 힘들어지고 화력이 급감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7)]
- 메딕 백
의무병이 착용가능, 착용시 주위 아군이 빠른 속도로 상대적으로 적은 HP 회복 가능. 위급할 때 이거 낀 의무병 근처에 붙어있으면 기사회생이 가능.근데 워록의 스피디한 게임 특성상 좀체 가만히 있는 의무병이 없어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8)]
이름 탑승인원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9)]
-
MOTORCYCLE 1
1인승 오토바이. CR125cc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잠깐잠깐 이동할 때 사용하고 대부분은 버려둔다.(...) 간혹 이걸 타고 진격하는 유저가 있는데 진지점령중에 지원 가는거라면 탁월한 선택인데 교착지점에 있는 중립진지나 적 진지를 먹으러왔다? 축하한다.적군 채팅방엔 이미 몇번진지 쥐1이라고 보고가 올라가고 해당 진지로 화력지원이 가해진다. -
60TRUCK_C 5
수송용 트럭. 맷집이 꽤나 강력하며 3번, 4번, 5번 칸에 탑승하고 있으면 일반 탄약/체력 회복 포인트보다는 좀 더 느린 속도로 탄약 및 체력이 충전된다. 아무래도 장갑차보다 훨씬 기동성이 좋으면서도 수송장갑차 수준의 좌석을 갖고 있어서 의외로 활용도가 높은데, 좌석을 풀로 채워서 진지를 덮치면 대규모에서도 적이 8, 9명씩 몰린 주 교전 지점이 아닌 이상 순식간에 진지 하나를 먹어버릴 수 있다. 허나 클랜전이 아닌, 단결력이 낮은 공방 특성상 그렇게 활용하기 매우 힘들다. 특히 (이관 후엔 좀 덜해졌지만) 이런거 타고 택시놀이 드립이나 치다가 이리저리 박고 결국 차량 불내는 초딩들이 많아서...어느정도 게임한 사람들은 운전자 계급부터 보고 탄다. 다만 개념으로 진짜 택시를 운영하는 사람들도 꽤 되기에 자주 애용하자(?). -
HUMVEE M2 3
3번 칸에 탑승하면 M2 중기관총을 발사할 수 있는 수송 및 보병지원용 험비...이긴 한데, 중화기병이 단 한 명이라도 있으면 순식간에 격파할 수 있을 정도로 종이장갑인데다 중기관총이 개인화기에 비해 훨씬 강력하긴 해도 사수가 훤히 노출되어 있어서 순식간에 죽일 수 있기 때문에 혼자 이동할 때 잠깐 쓰고 대부분 버린다.(...)어차피 숙련된 사람들은 컨트롤로 자리를 바꾸면 학살한다 -
HUMVEE TOW 3
험비 M2와 비슷하지만 M2 중기관총 대신 TOW 대전차미사일이 달려있다 보병때려잡기에는 위력이 꽤 쓸만하다. 중장갑 장비에 대응할 때 쓸만할 것 같지만 연사력도 더럽게 느리고 3번, 5번 슬롯을 끼고 팬저파우스트와 rpg를 번갈아 발사하는 중화기병이 훨씬 대장갑 능력이 강력하며 역시 종이장갑이라서 그리 큰 효용성은 없다. -
HUMVEE AVENGER 2
험비 시리즈 3번째. 3번 칸에 탑승해서 어벤저 대공 미사일과 기관총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종이장갑이므로 전투기의 기총 소사나 헬기의 대전차 미사일에 살짝만 긁혀도 펑펑 터져나간다.실험결과 라팔의 기총5대만 맞으면 펑!거기다 어벤저 대공 미사일은 4발을 발사하고 장전 딜레이 후에 다시 4발이 채워지는 방식인데, **8발을 다 맞혀도 라팔, 15기 등의 전투기가 격추되지 않는다...라고 했으나 많은 플레이의 경험 결과 체력이 절반이하, 그러니까 화재상태의 비행체에 쏘면 미사일의 데미지가 먹힌다. 화재상태의 적 비행체를 집중적으로 요격하면 쉽게 격추시킬수 있다. ** 도대체 전투기 장갑이 뭘로 만들어진건지 궁금할 따름.네오스틸장갑인가?[12]
공중장비에 대응해서 정면 승부했다간 순식간에 역관광당하므로 이걸로 대공하려면 가급적 숨어서 뒤를 치도록 하거나 불나서 급히 수리하러 가는 비행기들을 노리자. 또 다른 험비 시리즈와는 다르게 사수석이 방탄유리로 보호되어 있는데, 덕분에 보병들 잡아내기 수월하다. 허나 상대가 대물저격총 든 정찰병이라면 이쪽이 먼저 훅 갈수도 있고, 특히 중화기병이라면 이걸로 쏴서 죽일 생각 말고 한 방 맞았다 싶으면 그냥 내려서 보병전 하자. rpg 2방만 맞으면 끝장이다. -
LUCHS 2
수륙양용 장갑차. 장갑은 보통. 험비처럼 종이장갑은 아니지만 보병들이 붙어버리면 처리하기 매우 곤란해질 정도로 사격각이 잘 안 나온다. 2번 슬롯의 기관총 포탑 사수석은 훤히 노출되어 있어서 괜히 따라서 올라탔다가 저격 한 방에 굴러떨어지는 일 없도록 조심하자. 보트처럼 물에 떠다닐 수 있으며 물 위에서 만난 LSSC는 룩스의 아주 좋은 킬 공급원이 되어주기도 한다. 데미지가 비젤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이걸 끌고 탱크랑 1대 1로 붙어봤자 답이 없다. 그래도 아주 대장갑능력이 없는 건 아니라서 적 탱크 체력이 30%쯤 떨어졌다 싶으면 이거 타고 달려들어도 된다. -
LECLERC 2
르끌레르 전차. 홈페이지 설명을 보면 다른 전차들보다 공격력이 센 듯 하다. 근데 게임에서 체감하기는 좀 힘들다. 2번 슬롯의 기관총 포탑 사수가 유일하게 노출되지 않는 전차로서 보병 잡다가 동축기관총이 과열되더라도 안전하게 2번으로 옮겨서 계속 사격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
K1A1 3
K1A1 전차. 유일하게 기관총 포탑 사수석이 2, 3번 슬롯 총 2개나 있는 전차로 홈페이지 설명을 보면 화력이 세다고 나와있지만 물론 체감 기회는 별로 없다. 오히려 다른 전차들보다 기관총 포탑을 써먹기 어려운데, 기관총이 각각 절반씩만 커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적이 옆으로 움직이면 다른 쪽 기관총으로 계속 갈아타줘야 된다. 허나 이 전차, 그리고 다른 전차들의 진면목은 지상전에서의 대보병 살상력이다. 보병은 엥간히 못맞추지 않으면 원샷원킬에 동축기관총에도 순식간에 누워버려 고수가 운용하면 전선 교착지점에 배치해 이동하는 적 보병을 다 잡아내고 먹히고 있는 진지 건물에 포를 박아넣어 적 보병을 따내고 진지를 지키기도 한다. A10 폭격에 한방인지라 앙그렌 맵에서 지대공망이 중요한 역할이 이 전차를 비롯한 기갑부대를 호위해 진지점령을 효과적으로 하게 돕는 것.진지조인 보병유저라면 알겠지만 고지전 중인데 k1한대 오면 반갑기 그지없다. -
WIESEL_GUN 1
비젤 장갑차. 같은 장갑차인 룩스는 트럭 모양으로 미니맵에 표시되는데 이녀석은 탱크 모양으로 미니맵에 표시되며, 그만큼 매우 강력하다. 1대1 탱크전에서 주포 선타가 빗맞기라도 하면 주포 발사 딜레이가 길기 때문에 골치아파지는 다른 탱크들과는 달리 기관포를 장착해서 지속적 사격이 가능한데, 이 기관포 데미지가 굉장히 세서 탱크를 1대 1로도 잘 잡아낸다. 그렇다고 상대의 주포와 비젤의 기관포가 동시에 발사되면서 완전히 정면승부하면 아슬아슬하게 비젤이 먼저 터지지만, 일단 5~6발만 먼저 박아넣고 시작하면 이겼다고 봐야 하며 기동성도 상당히 뛰어나다. 게다가 기동성이 좋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빙글빙글 회피기동하며 주포를 요리조리 피해버리면 상대 전차 입장에서는 굉장히 빡친다.장갑차가 MBT를 때려잡는 워록의 위엄! -
K200 6
수송용 장갑차. 무장은 사수석 노출된 기관총 하나에 불과하지만 60트럭처럼 수송칸 탑승자들은 탄약 충전 및 체력 회복이 된다. -
GEPARD 1
대공 전차. 오리콘 대공포의 이동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물론 내구도는 오리콘보다 훨씬 떨어지며, 대공전차랍시고 앞에서 정면승부를 걸었다간 훅 가므로 원거리에서 예측 사격을 하거나 매복해 있다가 쏴서 잡아버리자. 게파드 끌고 전차 잡으려는 초보들이 있는데, 대장갑 능력이 룩스랑 비슷한 녀석이라 역관광 확정이다. 헬기의 천적이자 헬기가 천적인 존재로 헬기 입장에서 상당히 귀찮다. 그리고 치누크에게는 미사일보다 기관포가 훨씬 효과적이기 때문에 죽이진 않더라도 지나가는 치누크는 최대한 때려서 불이라도 내주자.아군 본베이스행 치누크였다면 베이스에 우글대고 있는 지대공 유저들의 오리콘에 박살난다. -
신궁 1
고정식 대공 미사일 포대. 4발을 발사하고 재충전되는 방식이며, 워록 내에서 가장 빠른 AM_B 미사일을 발사하기 때문에 오리콘보다 대공방어에 훨씬 좋을 것 같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은 것이, 먼저 보고 먼저 쏘면 충분히 강력하지만 상대 공중장비가 신궁을 먼저 보면 공격이 살짝 스치기만 해도 순식간에 터진다. 게다가 자체 내구력은 종이지만 요놈의 대공성능이 천마에 준하는 수준이라서 천마를 빼면 적 공중장비들의 어그로를 1순위로 끈다. 근처에서 보병으로 매복하다가 공중장비가 폭격을 안하면 재빠르게 타서 뒷통수를 갈기자.그리고 괴인들은 훗 하면서 피해간다 -
천마 1
대공 장갑차. 게파드나 신궁, 오리콘 따위보다 훨씬 효용성이 높은 존재로, 8발의 AM_B 미사일을 탑재하고 연속해서 쏴댈 수 있기 때문에 지상 대공장비로는 최상위에 군림하는 존재. 덕택에 고수방에 들어가면 채팅에 실시간으로 천마의 위치가 갱신된다. 아군 지상조나 또 다른 공중장비, 특히 천마잡기 딱 좋은 하인드, 혹은 폭탄으로 한 방에 천마를 날릴 수 있는 급강하 A-10이 처리해 줘야한다. 공중장비 유저 입장에서 고정천마는 짜증 그 자체. 다만 내구도는 시망이라 라팔의 기총소사가 십수 발만 박혀도 금방 터진다. 또 사격각이 오리콘이나 게파드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에, 고고도를 커버하려면 언덕같은 경사에 적절하게 올라가서 락온을 시도하도록 하자. 미사일을 8발이나 쏠 수 있다고 이거 끌고 전차 잡으려는 초보들은 천마가 대공 장갑차라는 걸 잊지 마라. 대공미사일 8발 다 꽂아봤자 전차 체력은 3칸정도밖에 달지 않는다.그러니까 제발 내가 타려던 천마 눈앞에서 리스폰해서 끌고 나가서 적 탱크에 싸움걸지 좀 마라 -
OERLICON 1
고정식 대공포. 준수한 내구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웬만해선 터지지 않지만 MD500등이 미사일을 연짝으로 갈구면 연기때문에 앞이 전혀보이지 않는다그리고 펑예측사격을 웬만큼 잘하지 않으면 데미지 주기 힘들다. 그래도 스치기만 해도 터지는 다른 대공장비들과는 달리 상당히 내구력이 강해서, 공중장비가 기지를 폭격하는 상황에 오리콘 잘 하는 사람이 기지에 있는 오리콘 잡고 지속적으로 수리하면서 대공 탄막을 펼쳐주면 일단 한 숨 돌릴 수 있을 정도. 또 V키를 눌러 1인칭으로 시점변경하면 사격각이 매우 커져서 전방위를 커버할 수 있는데, 베테랑 파일럿들은 머리 바로 위의 정말 작은 사각지대를 노려서 급습해 들어온다. 이렇게 되면 예측사격이고 뭐고 빨리 내려서 목숨부터 구하고 보자. -
LEOPARD 2
레오파드 전차. 홈페이지 설명에 따르면 다른 전차들보다 방어력이 좀 더 센 거 같은데 체감하긴 힘들다. 게다가 기관총 포탑도 하나밖에 없는 주제에 그나마도 노출되어 있어서 르끌레르에 비해 2번 포탑 쓰기도 힘들다.어차피 5번슬롯 있는 중화기병이 3, 5번슬롯에 대전차미사일 들고 쏴제끼면 7초만에 터져나가는 건 레오파드고 뭐고 똑같다. -
DPV 3
상당히 빠른 기동성을 갖고 있는 버기 카 형태의 장비. 2번탑승칸에 5연발 유탄기관총이 장착되어 있는데, 언덕 경사에 올라가 이걸 활용해서 간이 포격으로 보병을 학살하는 사람들도 있다. 내구도는 험비보다도 떨어지고 운전석까지 보병 사격에 노출되어 있을 정도로 방어력은 시망이지만 유탄기관총이 강력해서 체력 좀 떨어진 탱크는 순삭시킬수도 있다. -
TOW 1
고정형 대전차 미사일. 락온이 가능하다. 시즈워 맵에서 볼 수 있는데, 이걸 잡고 좀 쏘다보면 정찰병의 자비없는 흉탄이 날아오는데다 적 전차들의 최우선 섬멸 대상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전차를 락온하고 싶으면 재블린이나 프레데터를 사는 게 정신건강에 좋다. -
HUMVEE CUPOLA 3
험비 M2와 별 다를건 없지만 기관총 포탑에 사수 보호용 장애물이 설치되어 좀 더 안전하다. 라고는 해도 후방은 여전히 훤히 노출된데다 정찰병 고수들은 머리 노려서 잘만 잡는다. -
M1A2-ABRAMS_R 2
에이브람스 전차. 스킬 포인터 맵에서 볼 수 있으며 기동성이 비교적 빠른 것을 제외하면 그리 큰 특징은 없다. -
M109A6 PALADIN 1
팔라딘 자주포. 스킬 포인터 맵에서 볼 수 있으며 명중시키기 까다로운 곡사포 형태이지만 일단 맞추면 전차 체력이 절반 이하로 내려갈 정도로 위력이 강력하다. -
J90 1
90식 전차. 스킬 포인터 맵에서 볼 수 있으며 함께 등장하는 에이브람스와 별 다를 건 없지만 박스를 덮어씌운듯한 모양으로 어쩐지 투박해 보이고 에이브람스보다는 약간 떨어지는 느낌이다.명불허전 섬나라 육군 -
M2A2-BRADLEY 5
브래들리 장갑차. 기관포에 TOW 대전차 미사일까지 장착해서 순간 화력이 전차급으로 강력하지만 그렇다고 전차와 정면승부했다간 장갑차답게 비교적 떨어지는 내구도+TOW의 긴 딜레이 때문에 개발살나니 주의. -
MERKAVA MARK IV 3
메르카바 전차. 게임 내 전차들 중 최강의 대장갑 능력을 보여주는 전차로, 다른 전차들이 주포와 동축기관총을 장비한 것에 비해 주포와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하고 터보 차지 기능도 있는데다 3번 탑승칸의 기관총으로 보병을 견제할 수 있는 최고의 전차.
...면 좋겠지만 일단 다른 전차와 함께 나오는 맵이 없고 조종석과 주포 및 대전차 미사일 발사석, 기관총 사수석이 각각 다른 칸이기 때문에 공방에서 손발이 맞는 상대를 찾기란 쉽지 않다. 물론 친구와 PC방에 가서 운용한다면야 이보다 더 좋을 순 없겠지만 공방에서 적 전차를 쏘고 있는데 운전석에 올라탄 사람이 다른 곳으로 가 버린다면...내 킬 돌리도 -
M551 Sheridan 2
셰리든 전차. 토탈워에서 다른 전차들보다 싼 40포인트에 소환할 수 있는데, 공격력은 다른 전차들과 별 차이 없지만 방어력은 많이 떨어진다. 대전차미사일 한 방 맞으면 다른 전차들보다 1.5배는 더 많이 체력이 깎여나간다. 대물 저격총인 NTW-20 등에게 몇발 맞으면 불이나고 터져나간다. 물론 수류탄으로도 잘 잡혀서 매우 잉여스러운 전차. -
AAV-7A1 6
수륙양용 상륙돌격장갑차. 1번슬롯에 적절한 유탄발사기가 장착되어 있어 간이포격용으로도, 대장갑용으로도 쓸만하다. 그러나 등장하는곳이 토탈워인 포트 아일랜드 뿐이고, 40포인트씩 들여야 소환할 수 있으므로 10포인트를 들여 소환하는 가성비 최강 비젤느님에게는 한없이 밀린다.MBT도 비젤느님에게 밀리는 워록에서 감히 장갑차 따위가 유탄발사기 장착해봐야...그러나, 일단 6명이나 태울수 있고 LSSC나 PWC따위와는 비교도 되지 않는 준수한 내구력을 갖고 있는데다 MK_V와 달리 탑승자들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해상수송에서 큰 이점을 갖고 있다.그리고 6명 태운 장갑차는 중화기병의 좋은 킬 공급원이죠. -
WIESEL_TOW 1
토우 미사일을 장착한 비젤전차. 탑승석이 노출되어 있어서 비젤건보다 활용성이 매우 떨어진다. 게다가 워록에서 토우의 성능은 좀 안습해서(...) 보병 하나 한방에 죽이기가 쉽지않고 탱크랑 붙어도 연사가 매우 느려서 털린다. 누군가 비젤건을 다 뽑아버려서 탈게없을 때 쓰는 방법이 있다.걍 오토바이를 타고 말지 -
T80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10)]
-
MD500 2
경공격헬기. 기관총은 보병을 단 2발에 눕게 만들 수 있으며 TOW 대전차미사일은 보병따위는 한 방에 날려버리고 대전차 능력도 뛰어나다. 근데 내구도가 종이보다 못한 수준이라서 스팅어미사일에 한 방만 맞으면 바로 체력이 한 칸 정도만 남으며 빈사상태가 되는 데다 M134 미니건에 살짝만 긁혀도 터지고, 오리콘에게 근접에서 선빵 맞으면 5초도 안돼서 바닥에 누워있는 자신의 캐릭터를 볼수있다. 그냥 타기만 해도 어쩐지 4%의 충격 데미지를 받고 분명히 살살 착륙했는데 10%의 충격 데미지를 받는 녀석이다.병약 속성파르고나 도그 파이트 맵에서 진가를 발휘하는데, 아파치 헬기랑 1대 1로 붙여놔도 대부분 이긴다. 워낙에 동체가 작고 빠른데다 기관총까지 장비하고 있기 때문에 미사일을 예측사격해서 그 작은 동체에 맞춰야만 하는 다른 헬기들은 버틸 수가 없다. -
BLACKHAWK_MINIGUN 4
블랙 호크의 미니건 장착 버전. 3번 칸과 4번 칸에 각각 미니건이 하나씩 장비되어 있으며 연사가 느리지만 명중률이 뛰어나고 보병에게는 2발만 맞아도 삼도천을 건너게 하는 엄청난 데미지를 선사한다. 회피에 이골이 난 베테랑 파일럿과 베테랑 사수 두 명만 갖춰지면 적 기지 주위를 뱅뱅 돌면서 미니건으로 수십 명을 학살하는 진풍경을 연출하기도 한다. 보통 블랙 호크 미니건이 스폰되는 맵은 2대가 등장하니 재수없으면 2대의 미니건이 기지 주변을 선회하며 제물을 찾는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대 장갑 공격력은 낮지만 이상하게도 MD500은 잘 잡는다. .그리고 베테랑 중화기병들은 그걸 격추시킨다 -
BLACKHAWK_MISSILE 4
블랙 호크의 미사일 장착 버전. 미니건과는 다르게 2, 3, 4번 칸은 모두 수송칸이지만 조종사가 헬파이어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8발을 쏘고 재충전되는 방식이며 보병은 옆에만 맞아도 픽픽 떨어져 나가며, 전차도 4방 정도에 다 박살내는 헬파이어 미사일로 신나게 학살하고 다닐 수 있다.오토바이 타고가다가 걸리면 그날로 죽은거다거기다 처음 등장했을땐 록온 기능도 있어 A-10이고 뭐고 맵 끝에 있는 적 전차도 잡아먹는 괴물이었다. 때문에 굇수들은 장비 보급 포인트에서 까마득히 멀리 있는 보병이나 장비들이나 고지전중인 진지에 미사일을 퍼붓는다.몇번진지 교착중 이라는 채팅만 치면 후방에서 날아오는 8발의 미사일은 가히 압권.이 기체 유저와 친분만 있으면 내가 다니는 진지마다 집중폭격을 가해줘 여러모로 유용한 헬기.다만 내구도가 헬기 중에선 500MD 다음으로 취약하며, 천마나 신궁, 라팔의 AM_B 미사일에는 3방에, 스팅어에는 단 2방에 터진다. 근데 같은 블랙호크인 미니건 버전은 스팅어 3발을 꽂아도 안 터지는데?미사일이 유폭해서 그런 걸지도 모른다. -
A10 1
A-10 공격기. 기관포와 공대지 폭탄을 장비하고 있으며, 앙그렌 맵에서 볼 수 있다. 과거 고도제한이 없던 시절에는 고고도에서 폭탄을 떨궈주면 같은 A-10이 뜨지 않는 이상 잡기 거의 불가능한데다가 아군 본진 A-10까지 뺏겨버리면 정말 답이 없는 존재로서 전차도, 심지어 오리콘도 모조리 단 한 방에 박살내는 위력을 자랑하며 적 진지에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지만, 앙그렌 고도제한이 고작 300으로 설정된 지금에 와서는 뒤를 치지 않는 이상 정면으로 갔다간 대공장비, 특히 천마에 툭툭 떨어지며 스팅어미사일 락온 반경을 벗어나려면 제한고도 이상으로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스팅어까지 위협적인 존재로 변했다. 아무래도 라팔이나 F15보다 훨씬 둔중해서 회피기동이 좀 더 힘든 점까지 겹쳐 옛날에 비해 그 위세는 초라하다. 그래도 베테랑이 타면 순식간에 전차 몇 대 정도는 우습게 터뜨린다. 문제는 고도제한마저 걸린 마당에 장갑이 여타 전투기에 비해 종이다. 굇수 스팅어 유저만 있으면 스팅어 두대에 잔해가 되어버린다. 만약 A10 유저도 굇수고 스팅어 유저도 굇수이면 쏘고 피하고의 반복이 이루어지는 진풍경이 보여진다. 잡아내면 라디오 챗에 항공기 격추사실이 뜨고 팀원들의 격려까지 받아낼 정도로 고수가 잡으면 난리나는 기체. -
RAFALE 1
라팔 전투기.워록에서나마 팔려서 다행이다 라팔아기관포와 공대공 미사일을 장비하고 있으며, KF15에 비해 완연한 공대공 전투기라는 느낌이다. 공대공 미사일이 넉넉하게 16발이나 되고 기관포 공격력이 의외로 세서 기총소사로 몇 초 긁어주면 천마고 전차고 순식간에 터뜨릴 수 있다. 고고도에서 급강하하며 기총소사하면 초보들은 뭐가 때리는지도 모르고 순식간에 장비와 함께 폭사한다. -
KF15 1
KF15 전폭기. 라팔은 왼쪽 마우스 버튼이 기총소사고 오른쪽이 공대공미사일인데 반해 KF15는 왼쪽이 공대공 미사일이고 오른쪽은 공대지 폭탄을 장비하고 있다. 라팔이나 천마, 신궁의 AM_B 시리즈와 다른 AM_A 미사일을 워록에서 유일하게 발사하는 기종이며, 공대지 폭탄은 A-10보다는 조금 떨어지는 위력을 갖고 있고 전차 등의 지상 장비는 대체로 2방을 떨궈야만 부술 수 있다. 위력이 떨어지는 대신 공대지 폭탄이 16발에 1회 자동 충전 총 32발로 상당히 넉넉하다. -
CH_47 8
치누크 수송헬기. 수리 포인트 위에서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중화기병으로는 3, 5번 슬롯에 아무리 탄약충전을 해도 결코 부술 수 없는 수준의 무지막지한 방어력을 자랑한다. 2번 칸부터 8번 칸까지는 일정 고도 이상에서 내릴 때 자동으로 낙하산이 펴진다. 베테랑 군대가 잡으면레알 공수부대가 나온다. 앙그렌 맵에서 치누크 다 탑승-적 기지 가기-다 떨구기-다시 우리 기지로--다시 다 태우기 이걸 무한 반복 할수 있다. 그리고 이 헬기의 특성상 격추시키고 싶어도 할수가 없다...이 전략 운용할때 절대로 초수에게 운전 시키지 말자. 방어력 선택하고 기동성을 포기한지라 초보들은, 심지어 위관장교 레벨이라고 해도 자유자재로 조종하긴 힘들다. 그리고 킬을 많이 하고 싶은 사람은 대공할 때 이거 부수려고 하지 말자. 적어도 오리콘 2대가 십자포화로 갈기지 않는 이상은 제대로 데미지가 들어가지도 않는다. -
APACHE 2
아파치 공격헬기. 공대공 미사일과 헬파이어 미사일로 무장하고 있으며, 기동성이 MD500을 제외하면 가장 뛰어나기 때문에 숙련만 된다면 스팅어든 천마든 뭐든지 피할 수 있다. 그리고 공대공 미사일과 헬파이어 미사일의 위력이 무시무시하기 때문에 고수들이 그룬델이나 도그파이팅 맵에서 적진에서 호버링하면서 리스폰되는 모든 적들을 잡아버리는 광경을 종종 볼 수 있다.그리고 적들은 모두 방에서 나가겠지하지만 2번 체인건은 뎀지와 명중률이 상당히 떨어지고 각도가 잘 안나와서 공중장비 부사수중 가장 허접한 능력을 보여준다. 크레이터 도그파이팅 맵에서는 공중장비 락온기능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고수들은 어차피 다 피한다.크레이터 도그파이팅에서 2명탄 아파치는 좋은 킬 공급원이죠 -
PARACHUTE 1
치누크에서 내릴때 나오는 낙하산.적군들의 시선을 한몸에 받는다 -
SuperHind 2
하인드 공격헬기. 아파치보다 방어력이 좀 더 좋고, 2번 칸의 사수석에서 대전차 미사일을 락온해서 발사할 수 있다. 2발 발사 후 자동 충전되는 방식이며, DPV 같은 경장갑은 1발, 중장갑 지상 장비는 대체로 2발을 모두 꽂으면 순식간에 터뜨린다. 아파치는 조종석에서 대부분의 화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하인드는 조종석에는 대장갑 공격력이 굉장히 떨어지는 로켓만 갖고 있기 때문에 주 화력은 2번 칸의 사수석이 담당하며, 따라서 아파치보다 조종사와 사수간의 협동 플레이가 요구된다. 지상 장비 락온을 이용해 천마에 대응하기 용이하고(산 너머에 있어도 락온이 찍힌다!) 방어력이 치누크만큼은 아니더라도 스팅어 4발을 꽂아도 터지지 않을 정도로 준수한 데다 상당히 날렵해서 정말 초보가 아닌 이상 기체를 좀 기울이는 것만으로도 스팅어 따위는 휙휙 피해내기 때문에 중화기병으로 이 녀석을 만났을 때는 중장거리에선 괜히 락온할 생각 말고 스팅어 예측 사격을,근거리에선 스팅어보다는 당장 미니건으로 바꿔들고 갈겨주자. 미니건 100발 정도를 꽂으면 격추시킬 수 있다.하지만 비상탈출을 시도한다면 어떨까?! -
Ka-50 Hokum 1
호컴 공격헬기. 현실에서의 자본가 돼지들의 아파치에 대응하는 마더러시아의 공격헬기! 라는 위엄은 어디가고 AM_C 공대공미사일과 Multi- Missile 공대지미사일이라는 웬 해괴망측한 무기들을 들고 나왔다. 홈페이지 공식설명에 적힌 무장이다!운영자들이 검색 한번 하기 굉장히 귀찮았나보다.토탈워인 포트 아일랜드에서 하인드보다 10포인트 싼 가격에 소환할 수 있는데, 대지든 하다못해 기동성이든 하인드 비해 10포인트가 아니라 30포인트쯤은 밀리는 느낌. 그래도 대공미사일이 락온이 된다는 점은 큰 메리트. 근데, 대지미사일이랍시고 쏘다보면 범위도 좁고 데미지도 영 부족하고, 기체는 육중해서 스팅어랑 천마 피하기 어렵다.물론 실력이 영 좋지않은 사람들이나 불평하지 잘만 다루면 좋은장비다. -
ChingKuo 1
현실에서의 대만 자국산 공격기 F-CK-1 징궈(Ching-kuo)를 기반으로 한 공격기. 토탈워 맵인 더스크 밸리의 NIU 진영에서 등장하며, 맵 상에서의 역활은 데르바란의 F-15랑 비견되는(사실상 이미지만 바꾼 KF-15와 같음) 0포인트로 소환가능한공짜 종이비행기공격기. AIM-9 사이드와인더와 Mk.84 범용폭탄을 장착하고 있다. -
F-16 1
F-16 전투기. 토탈워 맵인 더스크 밸리의 데르바란 진영에서 등장한다. 소환 포인트는 10. 30mm 공대공 기관포와 AM_B 공대공 미사일을 장비하고 있다. 플레어는 그런 거없다.안습 -
F-22 1
F-22 전투기. 토탈워 맵인 더스크 밸리의 데르바란 진영에서 등장하는 항공기이다. 소환 포인트는 20. 30mm 공대공 기관포와 AM_B 미사일을 장비하고 있다. 20포인트라는 소환금액에 걸맞게 플레어를 10개 장비하고 있다. 상대방이 락온을 건 상태에서 플레어를 쓰면 락온이 풀리며, 자신을 추적하던 미사일이 있으면 방향을 잃고 추적을 중단한다. -
SU-47 1
SU-47 전투기. 토탈워 맵인 더스크 밸리의 NIU 진영에서 등장하며, 소환포인트는 20이다. 플레어 10발과 30mm 공대공 기관총, AM_B 공대공 미사일을 장비하고 있다. 데르바란 진영의 F-22와 동급의 포지션인 항공기. 다만 속도는 SU-47이 조금 더 빠르다고 한다.개발자가 수호이 빠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11)]
-
LSSC 1
상륙용 경장갑 보트. 내구도는 험비보다 조금 좋은 정도지만 별 차이 없는 종이장갑이다. 2번 칸에서 기관총을 잡고 쏠 수 있는데, 험비보다도 더 심하게 전신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저격당하기 쉽다.하지만 기관총 명중률과 대인살상력은 수준급이라 저격 안당하게 요리조리 움직이면서 멀리 보이는 보병을 잡아주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두세방에 보병이 죽는다. 물론 이러한 플레이는 적 공중장비가 무력화되고 진지를 아군이 거의 다 먹었을 때 가능하다. -
MARKV 4
상당한 중장갑을 갖춘 공격용 보트. 2번 칸에서 유탄기관총을 쏠 수 있는데, 이걸 잘 쓰면 적 보트는 순식간에 격침시키고 적 진지에 간이 포격도 실행할 수 있다. 3번 칸과 4번 칸에는 기관총이 달려 있는데 LSSC처럼 전신이 노출되므로 가급적 기총은 쓰지 말자.그리고 오딧세이에서 좀 쓰지 마 -
HAMINA 4
소형 전투함 하미나. 조타석(1번), 대공 미사일(3번), 함포(2번), 기관총(4번)으로 이뤄져 있는데 기관총은 다른 해상 장비들처럼 전신이 노출되므로 저격에 주의. 디스텀 맵에서 등장하며, 방어력이 치누크 이상으로 좋아서 격침시키기 상당히 힘들지만 수리 포인트에서 멀리 떨어진 하미나는 전차, 장갑차, 보트, 라팔까지 합심해서 갈구다 보면 어느샌가 침몰한다.(그러나 하미나 승무원 중 공병이 있다면 침몰할 일은 절대 없다! 특히, 장비의 방어력에 상관없이 무조건 한번 수리하면 12%의 회복량을 갖기 때문에 파이프렌치를 들면 5번슬롯 장착한 중화기명 2명이 탄약 포인트 위에 서서 대전차미사일에 PC방전용 유탄발사기까지 갈겨대도 주는 데미지량이 공병의 수리량을 넘지 못할 정도다. 이런 이유로 워록 장비중 치누크와 더불어 가장 오래 생존 가능한 장비이다. 공병으로서 수리하려 배를 내리면 4번쪽 갑판 위에 서게 되는데 이때 함선은 정지하거나 느린속도로 기동해야 수리가 가능하다. 안그러면 공병은 바다로 휩쓸린다;;) 2번 칸은 함포를 쏠 수 있는데, 맞추기는 좀 어렵지만 숙달되면 MARKV 보트 따위는 순식간에 격침시키는 해상왕으로 군림할 수 있다. 3번 칸은 대공 미사일이며, RAM이라고 홈페이지 설명에 나와 있지만 게임상 취급은 AM_B 미사일. 라팔은 혼자서 하미나 격침시키기 불가능하다시피 하므로 괜히 혼자 접근했다가 대공미사일에 순식간에 개발살나는 일 없도록 주의하자. 1번칸인 조타석과 2번칸 함포는 저격(대물저격총)의 위험이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반대로 자신이 대물 저격총 유저라면 함포 바로 아래쪽을 노려 마구 쏴주면 함포석에 있는 사람을 사살할 수 있다. 함포와 대공 미사일의 경우 탄약이 거의 무제한이다.(한도가 있지만 다 소진하지 못할 정도로 충분히 있음) 탄약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반 영구적 장비이며 전략적 활용이 가능해 1회용, 단기용(?)으로 쓰려는 초보들이 정말 타면 안되는 '숙련자의 장비'라고 할 수 있다.(장기적 마인드가 필요!)
함포의 경우 사용하는 유저에 따라 달렸지만 대개는.. 표적이 클수록 명중률이 높고 낮을수록 명중률이 안좋다. 이것은 표적과 함선간의 거리와
함포의 포구속도와 곡사로 날아가는 함포탄의 특징[13]
, 유저의 숙련도(특히 예측사격의 숙련도), 함포탄의 낮은위력(전차포탄과 같은
스플의 위력을 기대하지말것!)에 따른 문제로 결론은 함포는 중-대형표적에만 효과가 있으며 거리가 있을땐 예측사격과 각도조절을 잘해야 킬을
하기 쉽다.
사실 하미나에서 킬을 잘할수있는 자리는 3번과 4번석인데.. 공중장비가 나오는 포트아일랜드맵에선 하미나는 공중장비입장에선 헬게 그자체로..
3번석의 유저가 킬을 올리기 아주 좋다. 4번석의 경우 기관총의 탄도가 직사로 곧게 나아가고 총구속도도 포탄보다빠르며 포탄과같은 위력은
아니지만 총알의 위력도 기관총중에선 상당하다. 조준만 잘하면 원거리의 적보병과 저격수들 잘 요리할수있고 중장갑표적을 제외하면 그 어떤것에도
치명타를 주고 아예 죽일수있다.
- PWC 1
해상에서의 오토바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보호장갑따윈 쥐뿔도 없기 때문에 저격이나 대전차미사일에 훅 가기 싫으면 이리저리 회피기동하면서 이동하고 빠르게 내려서 보병전을 전개하거나 장비를 탈취하는 플레이를 추천한다. 이놈이 해상의 오토바이 자리를 차지함으로써 LSSC는 해상에서의 험비로 그 지위가 승격...되었을려나?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12)]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13)]
장비 수리 기능을 가진 병과. 사용 무기는 의무병과 큰 차이가 없다.
아무래도 장비는 한번 쓰고 그냥 버리고 새걸 타는 것이 일상화된 한국식 플레이 패턴 때문에 선택하는 경우는 적다. 게다가 장비 수리하다 뒷치기를 당해 죽을 위험도 높고...더군다나 주력 화기들도 타 병과들의 주력 화기들에 비해서는 눈물나게 약하다. 하지만 탱크전 위주로는 공병만한게 없는데 탱크의 주포 딜레이 시간 동안 탱크 뒤에 내려서 고치기 신공으로 왠만한 지상전 장비는 때려잡을 수 있기 때문.게다가 팀이 탱크타고 뒤에서 공병이 탱크를 방패삼아 숨으면서 수리해주면 탱크전에서 2:1로 붙어도 간단하게 압승해버리기때문에 너무 없으면 그런대로 곤란한 병과 기 중화기병과 같은 공병말고는 이길만한 병과가 없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14)]
이름 그대로 의무병이다. 유일한 여캐. 공병과 사용 가능한 무기 차이는 없지만 이쪽은 직책 그대로 기계가 아닌 사람을 치료해준다. 전투 하기 귀찮은 사람들은 의무병을 선택해서 아군을 치유해주는 일만 반복해서 데스 수를 줄이고 포인트를 벌어가는 플레이를 즐기기도 한다. 그런데 자가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보병 고수들이 최고로 선호하는 병과가 되었다. 진지를 먹는 도중 전투로 인해 부상당한 몸을 스스로 회복하고 다음 진지로 가는식의 플레이로 보병치고는 어마어마하게 질긴 생명력을 가진다. 오죽하면 쥐라는 표현 외에 의료닌자라는 용어로 채팅치는 유저도 있다. 그 외의 플레이라면 상기한 듯이 아군 치료해주기인데...
문제점이라면 좀체 가만 있는 인간이 별로 없다는 것. 공병은 여기저기 보급 날라주기 바쁘고 전투병과 중화기병은 당연히 가만 있을리가 없으며 정찰병은 가만히 있기는 한데 보통 피격 당할 일이 없거나 아니면 한방에 맞고 죽거나 둘 중 하나일 뿐이라 속터진다. 같은 의무병? 자가 치료가 되는데 굳이...
의무병 역시 공병의 보급 상자처럼 체력을 회복시켜주는 메딕 박스를 뿌릴 수 있다.
참고로 매번 이미지가 왔다갔다 하는 캐릭터이다. 상기한대로 한땐 남자 목소리를 냈고, 한 땐 공식 이미지와 게임 내 이미지가 따로 놀기도 했다. 그런데 2008년경 워록 리뉴얼이 개시되자 그야말로 누구세요 수준으로 딴 사람으로 환골탈태했다. 물론 이에 대해 국내외 유저들은 대호평.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15)]
스나이퍼. 모든 FPS의 스나이퍼와 특별히 다른점은 없다. 등산하기 좋은날씨구나
단지 캐쉬로 구매 가능한 105mm 지원 사격포의 위력이 절륜하다. 이걸 구매해면 주어지는 쌍안경이 있는데 이걸로 특정 지점을 조준하면 엄청 긴~ 딜레이를 가지고 조준된 지역에 무시무시한 데미지의 융단 폭격이 가해지는 아이템. 다만 실용성은 좀 적다는게 흠이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16)]
그냥 모든 FPS의 일반적인 병과.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한지? 2008년 리뉴얼때 별로 크게 변한게 없는 병과이기도 하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17)]
전투병과 비슷하지만 미니건, 판저파우스트 같은 중화기를 다루는 병과. 워록 베타시절에는 전투병과 총기를 공유했으나 너무 배틀필드 시리즈와 닮아서
완전한 중화기병이 되었다. 5번 슬롯을 구입하고 RPG와 팬저파우스트를 놓던가 M202와 RPG를 놓던가 스팅어와 미니건을 놓던가 하는
식으로 플레이하면 전차 따위는 7초만에 박살내고 헬기나 전투기가 중화기병 무서워서 제대로 공격하지 못하는 상황이 연출된다. 게다가
중화기 탄통박스를 구입하고 M202와 RPG를 들면 RPG는 8발, M202는 4발 쏘고 탄통박스를 먹는 식으로 총 20발을 쏠 수
있다. 로켓을 혼자서 28발씩 짊어지고 다니는 셈.파워드 슈트를 입은 게 분명하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18)]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B%8C%EB%A1%9D%28%EA%B2%8C%EC%9 E%84%29?action=edit§ion=19)]
근거리, 소규모, 장비가 없는 전투가 이루어지는 맵들만 플레이 가능한 채널, 게임모드로는 4:4로 데스매피를 벌이는 4:4 데스매치(과거 소규모 맵들), 목표물 폭파가 목적인 데르바란과 방어가 목적인 N.I.U가 대결을 하는 폭파 미션(과거 소규모 맵들), 12:12로 중립 진지를 점령하면서 진행하는 데스매치를 벌이는 데스매치(과거 중규모 맵들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