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136 lines (93 loc) · 8.68 KB

이모티콘.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36 lines (93 loc) · 8.68 KB

Contents

  1. 설명
  2. 참고항목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D%B4%EB%AA%A8%ED%8B%B0%EC%BD%9 8?action=edit&section=1)]

1. 설명 ¶

보통 인터넷상에서 감정이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일종의 그림기호. 이름의 유래는 감정을 뜻하는 'emotion', 조각을 뜻하는 'icon'을 합친 말.

원래는 서로의 얼굴을 볼 수 없는 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자신의 감정을 나타내야 하는 채팅 등에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 주였지만, 사용 범위가 점차 넓어져서 활판인쇄물에까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키백과에 따르면 최초의 이모티콘은 :-)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카네기 멜론 대학의 스콧 팔맨 교수가 1982년 9월 19일 오전 11시 44분에 전자게시판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1]전설의 시작

한국에서 최초로 사용된 이모티콘은 ^^과 -_-이라고 전해지며,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나우누리의 유머게시판인 것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2000년대 중반 즉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전엔 네이트온이나 MSN메신저에서 특정 키워드를 치면 클립아트로 변환되어 나오는 그것도 이모티콘으로 인정하는 수정주의자와 문자의 조합만을 이모티콘으로 인정하고 있는 원리주의자가 나뉘었으나, 카카오톡이 대중화되고 나서는 특정 키워드를 클립아트로 치환하는 방식의 이모티콘[2]도 이미 이모티콘이라고 다들 부르고 있다.

크게 나누자면 동양식 이모티콘과 서양식 이모티콘으로 나뉘며, 동양식은 주로 가로 읽기로 만들어지고 서양식은 세로 읽기로 만들어지는 것이 특징. 동양식은 눈표정을, 서양식은 입표정을 중시하는 특징이 있기도 하다. 이는 해당 문화권의 캐릭터 특징에 따라 나타난 특징이라는 의견이 많다.[3]``[4] 반면에 한자의 모양새를 이모티콘으로 써먹는 경우도 많다. 일본에서는 顔文字(얼굴 문자)라고 부르며, 진화형으로 AA가 있다. AA의 경우 키보드로 입력 할 수 없는 범위의 특수문자까지 다양하게 조합해서 만드는 것이 특징. 그렇기 때문에 보통은 바로바로 입력할 수가 없으므로 이런 식의 모음 사이트가 만들어져 있다. 물론 키값을 외워놨다가 그때그때 입력하는 괴인들도 존재는 한다.
(예 : 。◕‿◕。) 왠지 드래그로 블록을씌우면 호러가 된다

동양식의 예: -_-, ㅇㅅㅇ, ^ㅇ^, ㅠ_ㅠ, =ㅁ=, ^^,  ̄▽ ̄)b, ++,';',;,◎_◎,⊙_⊙,'.', ㅡ_ㅜ, °=°, OTL[5], [눈_눈](http://bbs2.ru 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read?articleId=18453471&bbsId=G005&item Id=143)[6] ㅗ^-^ㅗ t(^v^t) 응슷응, 슷응슷,응믐응~이것이 바로 2단티콘이다
서양식(주로 컴퓨터)의 예: :), :-), :-D, :-P, :-X, XD, X-D, :3, :Q, ;O ¯\
( ͡° ͜ʖ ͡°)_/¯

이러한 동양식, 서양식 이모티콘의 분류는 2012년도 수능대비용 국어 수능특강에 지문으로 나오기도 했다.

보통의 경우에는 온라인상에서만 사용되지만, 친구끼리 주고받는 편지나 쪽지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며, 당연히 문장으로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소설책(인터넷 소설)에다가 이것을 다량으로 투입해서 욕을 먹은 사례도 존재한다(예: 귀여니). 많이 쓰면 속칭 외계어라 까인다.

많은 가정에 인터넷 보급이 이루어지던 1997부터 2004년경까지는 과도하다 싶을 정도로 많은 웹상의 어느곳에서나 이모티콘을 볼 수 있었으나, 귀여니초딩이 대대적으로 까이기 시작하면서부터 차츰차츰 그 양이 줄어들어, 지금은 다양한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사람을 찾아보는 것이 힘들다.[7] 하지만 이젠 아예 안 써도 '딱딱한 사람'으로 보이니 미묘한 일. 특히 게임에서의 그 영향은 절대적에 가까워져서 대부분의 유저들은 하나 내지 3가지 정도의 이모티콘을 사용한다.

이모콘티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간혹 있다. 이모콘티

한편, 유니코드 6.0(2010년 10월)에서 에모지와 함께 이모티콘용 문자를 따로 배당받았다(U+1F600 ~ U+1F64F). 보기 물론 아직까지는 이 영역을 쓸 수 있는 서체가 그다지 많지 않은 편이라는 것이 아쉬운 점.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D%B4%EB%AA%A8%ED%8B%B0%EC%BD%9 8?action=edit&section=2)]

2. 참고항목 ¶

\----

  • [1] 이는 디지털 상에서의 최초의 이모티콘이며 이런 기호와 글자를 조합해서 사람 표정을 표현한 예는 적어도 타자기를 이용하여 19세기 말부터 있었다.
  • [2] 감이 안 잡히신다면 카카오톡에서 아무나한테 (메롱)이라고 써서 메세지를 보내보자. 바로 메롱 모양의 아이콘으로 치환되어 나온다.진짜 아무나한테 보내지는 말자
  • [3] 보통 동양 문화권의 만화,애니메이션 등에 나오는 캐릭터의 경우 눈을 중시하며, 눈을 크게 그리는 경우가 많고 서양 문화권의 경우는 눈 외로도 코와 입의 모양과 표정까지 사용하여 캐릭터의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
  • [4] 한국에서는 동양식 이모티콘이 대세였으나 2014년 현재는 서양식 이모티콘도 간간히 쓰이는편이다. 특히 롤 인벤에서는 꽤 자주볼수있다.
  • [5] 일본에서는 otl 대신 orz를 쓴다. 소문자로.
  • [6] 여기 참고.
  • [7] 하지만 줌마체에서는 아직도 이모티콘의 이용 빈도가 매우 높다. 아무래도 줌마체 주 이용층인 30대 이상 기혼 여성들이 인터넷 보급 초창기 시절에 유행에 가장 민감한 층인 젊은 여성들이었던 만큼 2000년대 초반 유행했던 이모티콘을 애용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아무래도 그 때 유행의 선도 주자였지만 시대의 변화상을 따라가지 못하고 구 세대의 언어 문화를 그대로 답습해 '줌마체'라 불리우는 특유의 문체 양식을 쌓아가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