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f/Jean- henri_fabre.jpg/200px-Jean- henri_fabre.jpg](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f /Jean-henri_fabre.jpg/200px-Jean-henri_fabre.jpg)
[[JPG external imag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f/Jean- henri_fabre.jpg/200px-Jean-henri_fabre.jpg)
Jean-Henri Fabre(1823.12.22 ~ 1915.10.11)
프랑스의 곤충덕후곤충학자이자 박물학자로 현대의 곤충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프랑스 식 발음으로는 r발음 문제로 엉히 파브흐가 맞겠지만...
- 유년에서 청년 시절
- 곤충학자가 되다
- 곤충기
- 이외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20%EC%95%99%EB%A6%AC%20%E D%8C%8C%EB%B8%8C%EB%A5%B4?action=edit§ion=1)]
프랑스의 남부 지방인 생레옹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가난한 농부여서 돈이 많이 없었다고 한다. 아버지는 아들인 앙리가 그저 농부가 아닌
착실하게 평범하게 살아가면 좋겠다는 순박한 소원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아무튼 가난 속에 파브르는 장난감마저 만져본 적이 없을 정도였다.
하지만 어렸을 때부터 파브르는 마을 앞에서 흐르는 시냇가에서 노는걸 좋아했는데, 이때부터 싹수가 보여서주변의
벌레들을 관찰하며 즐겼다고 한다. 나중에는 벌레들을 키우기도 했다. 하지만 계속 되는 가난
때문에 파브르는 초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객지에 나가서 돈을 버는 상황이 된다.
철도 막노동업을 비롯하여 온갖 잡일을 하면서도 학구열이 뛰어난 청년이었던 파브르는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열심히 공부해서[1]``[2]
19살에 초등학교 교사 임용 시험[3]
으로 합격하여 교사로 취직하게 된다. 그 후에도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아서 1849년에는 또 중학교 교사가 되었고 또 4년 후에는 고등학교 교사가 된다.3단 진화 물론
이때도 곤충에 대한 공부는 쉬지 않고 했던 모양이다. 오쿠모토 다이사부로가 지은 8권짜리 파브르 곤충기에는 동료 교사들이
파리를 연구하는 파브르에게 '파리'라는 별명을 붙여 주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20%EC%95%99%EB%A6%AC%20%E D%8C%8C%EB%B8%8C%EB%A5%B4?action=edit§ion=2)]
1854년 겨울, 파브르는 레옹 뒤프르(1780~1865)의 소책자를 읽게 된다. 그리고 거기에 크게 감명을 받아서[4]
곤충학에 일생을
바치기로 결심하게 된다. 이듬해인 1855년에 노래기벌을 연구하고 발표했으며, 얼마 안 가서 아비뇽의 르키앙 박물관장(Musée
Requien)으로 임명된다. 또 1868년에는 나폴레옹3세에게 [레지옹 도뇌르 훈장](/w
iki/%EB%A0%88%EC%A7%80%EC%98%B9%20%EB%8F%84%EB%87%8C%EB%A5%B4%20%ED%9B%88%EC%9
E%A5)을 받는 등 승승장구 했으나, 관학파의 비난과 공격으로 인해서
교단과 박물관장 자리에서 물러나야했다. 그렇게 물러난 파브르는 과학 보급서를 저술했지만 크게 빛을 보지 못하고 여전히 빈곤 속에서
허덕여야했다.
이런 가난 속에 영국의 철학자이자 교육부 장관이던 존 스튜어트밀이나 찰스다윈(벌레나 식물 연구에도 상당한 관심을 가져서 벌이나 식충식물 관련 책자도 썼다.)과도 편지를 보내 친하게 지냈다. 밀에게는 3천 프랑의 돈을 빌린 적이 있는데 어린이 곤충 도서를 쓰면서 이 책이 제법 잘 팔려서 받은 인세로 몇 해에 걸쳐 기어코 이자까지 내주면서 깨끗하게 갚았다. 밀이 이자는 안 내도 된다고 했음에도 이 돈으로 나와 내 식구가 살 수 있었기에 작은 성의에 지나지 않는다고 했다.
하루는 다윈이 보낸 편지에서 벌이 얼마나 집을 잘 찾는지 아나? 벌집에서 최대한 멀리 벌을 내보내도 반드시 집을 찾아온다니까. 이런 편지를 보고 실험을 했는데 생활이 그다지 풍족하지 못한 탓에 집 근처에 있던 벌집에서 벌을 따로 잡아다가 아침부터 멀리 뛰어가서 먼거리에서 벌을 풀어주고 집으로 돌아오나 실험을 했다고 한다. 아무리 멀어도 벌이 잘 찾아오자 심지어 천막까지 가지고 며칠동안 야영가듯 멀리 최대한 걸어가서 거기서 벌을 풀어서 벌이 오는 속도 및 방향을 연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친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진화론은 부정했다. 하지만 다윈도 파브르도 이 점으로 서로 싸우거나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의 진화론 부정은 곤충의 행동에는 학습이 아닌 본능밖에 없는데 그 본능이란게 곤충의 기본적인 생존은 물론 몇몇 경우에는 번식에까지 필연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나나니벌, 호리병벌등의 번식인데 이들은 애벌레의 먹이를 잡아 마비시켜서 애벌레의 먹이를 만드는 곤충이다. 그런데 마비에 실패해 죽어서 썩어버리거나 혹은 도로 살아나 버리면 애벌레의 생존은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번식자체가 되지 않는데 자연선택은 커녕 종의 생존자체가 가능할 수 있단 말인가? 이런 이야기에 대해서는 다윈 자신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을 정도로 당시의 진화론 연구로는 설명이 불가능한 것들이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20%EC%95%99%EB%A6%AC%20%E D%8C%8C%EB%B8%8C%EB%A5%B4?action=edit§ion=3)]
사실 파브르를 가장 괴롭혀 온건 가난 뿐이 아니었다. 위에 언급한 동료 교사들의 경우처럼 파브르는 곤충 연구를 하면서 항상 주변 사람들의 편견어린 시선을 받아야 했고, 한때는 오랑주에 살 때 자연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 땅 주인이 집 앞의 플라터너스 나무들을 모조리 베어 버리자 그로 인해 마찰을 빚기도 했다.(오쿠모토 다이사부로 저술의 곤충기에서는 이 사건이 파브르를 세리냥으로 이주하게 만든 계기라고 설명하고 있다. ) 계속 가난 외에도 다른 사람들과의 시선과 마찰에 시달려야했던 파브르는 거처를 세리냥으로 옮겼다. 그곳으로 이사한 이유는, 그 집 앞의 넒은 벌판이었는데, 엉겅퀴와 수레국화 등 온갖 잡초만 무성했던 곳인지라 땅 이름도 아르마스(황무지, 불모지) 였다. 그러나 파브르에겐 곤충 연구를 하기엔 더할나위 없던 곳인지라, 단숨에 헐값으로 땅과 집을 사버리고! 세리냥으로 이사를 하게된다.
그리고 거기에서 곤충기를 출판했다. 10권으로 이루어진 이 곤충기는 그 당시에 있던 모든 곤충학의 정수라고 불릴만 할 정도였다. 이것을 계기로인지 파브르는 다시 급격히 인기를 얻게 되고, 나중에는 1910년에 파브르 후원회가 설립되며, 또한 스톡홀름 학사원에서는 린네상을, 프랑스 정부에서는 훈장과 연금을 수여하는 등 다시 인기를 얻게 된다. 노벨상은 몇번 후보에 오르는데 그쳤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20%EC%95%99%EB%A6%AC%20%E D%8C%8C%EB%B8%8C%EB%A5%B4?action=edit§ion=4)]
![http://www.le-livre.fr/photos/R32/R320041845.jpg?width=200](http://www.le- livre.fr/photos/R32/R320041845.jpg)
곤충기 이외에도 식물에 관심이 많아, 식물기를 저술하였다. 곤충기 수준으로 다양하고 자세한 식물의 구조와 특징을 29장의 차례에 걸쳐 저술했다. 비록 곤충기보다는 많이 알려져있지는 않지만 국내에서 2014년 교양필독서 100선에 들을 정도로 그만큼 좋은 책이다.
늘그막에는 비행기 연구에도 참여했는데 1910년 87살 노령임에도 글라이더를 설계하여 잠깐 하늘을 날아보기도 했다.
\----
[1]
다만, 파브르는 공부에 기본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집을 나와 막노동일을 하기 이전까지 성당에서 복사를 서며 학비를 면제받으며 왕립 학원, 레스킬 신학교를 다니며 라틴어에 능통하게 되었었고, 이것이 사범 학교의 근로 학생 선발 시험에 합격하게 되는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2]
라틴어에 능통한 게 지금으로 따지면 영어를 문법, 회화 모두 원어민 수준으로 구사하는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무렵에는 라틴어의 중요성이 매우 높았다.[3]
정확히는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사범학교'의 근로 학생 선발 시험이다.[4]
레옹 뒤프르의 논문을 보고 감명을 받았다기 보다는 곤충의 생태를 연구하는 학문이 있다는 사실에 크게 감명을 받았던 듯 하다.과연 곤충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