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154 lines (90 loc) · 8.57 KB

천리장성.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154 lines (90 loc) · 8.57 KB

Contents

1 개요

2 고구려의 천리장성(요동 방어선)

3 고려의 천리장성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9C%EB%A6%AC%EC%9E%A5%EC%84%B 1?action=edit&section=1)]

1 개요 ¶

한국사에서 두 차례 등장하는 다른 위치의 장성.

이 이름들은 모두 현대에 와서 "천리"가 되었다는 기록에 따라 임의로 붙여진 이름이나, 사실상 공식 이름이 되었다.[1]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9C%EB%A6%AC%EC%9E%A5%EC%84%B 1?action=edit&section=2)]

2 고구려의 천리장성(요동 방어선) ¶

王動衆築長城 東北自扶餘城 東南至海千有餘里(왕동중축장성 동북자부여성 동남지해천유여리)
왕이 백성을 동원하여 긴 성을 쌓았다. 그 성의 동북쪽은 부여성에서 시작하여 동남쪽으로 바다까지 1천여 리가 되었다.
삼국사기 영류왕 14년 기사.

![1000lijangsung.png](http://z2.enha.kr/http://rigvedawiki.net/r1/wiki.php/%EC %B2%9C%EB%A6%AC%EC%9E%A5%EC%84%B1?action=download&value=1000lijangsung.png)

당나라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고구려가 631년(영류왕 14년)에 축조를 시작한 장성으로 요동반도의 비사성에서 만주벌판의 부여성까지 요동방어선을 따라 지어졌다.

고구려의 천리장성은 곳곳에 있는 토성들을 연결하면서 쌓은 토축성으로 너비가 약 6m이며 높이는 2~3미터의 고르지 않은 성벽이다. 하지만 돈대누각 같은 방어시설이 없는 단조로운 구성때문에 영구적인 방어보단 임시방편으로 적을 잠시동안이라도 저지할 목적으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성을 축조하는 데는 무려 16년이 걸려 647년에 완공되었으나 고구려-당전쟁때 당의 침입을 막지 못하고 요동성이 그냥 뚫려버렸고 고구려가 계속된 전란으로 인해 요동방어선이 붕괴되자 사실상 장성은 무의미해져버렸다.

이 장성은 방어선의 의미보단 다른 이유로 더 유명해졌는데 바로 연개소문의 쿠데타, 연개소문은 641년 천리장성 축조의 총 지휘를 맡았다가 642년 10월 영류왕과 온건파 대신들을 싹 쓸어버리는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는 삼국사기의 기록이고, 삼국유사는 연개소문이 영류왕에게 건의해 천리장성을 쌓았다는 것이다.

이후로도 (흔히 양만춘이라 불리는) 안시성주는 연개소문에 반기를 들어 천리장성이 고구려 정부와 다른 입장을 취했을 것으로 알려져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9C%EB%A6%AC%EC%9E%A5%EC%84%B 1?action=edit&section=3)]

3 고려의 천리장성 ¶

만적침략, 유소축천(蠻狄侵略 柳韶築千, 북방 오랑캐의 침략에, 유소(柳韶)가 천리를 쌓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천리장성을 쌓다 - 마흔네 번째 이야기_북방 오랑캐의 침략을 막기 위해

(평안도 의주목의) 옛 장성을 세간에서는 속칭 만리장성이라고도 한다.[2]
신증동국여지승람, 세종실록 지리지

![chunrijangsung.gif](http://z4.enha.kr/http://rigvedawiki.net/r1/wiki.php/%EC %B2%9C%EB%A6%AC%EC%9E%A5%EC%84%B1?action=download&value=chunrijangsung.gif)

고려장성(高麗長城)이라고도 한다.

고려의 천리장성은 (거란),(여진)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조되었으며 현재도 그 흔적이 남아 북한국보로 지정되어있다. 고구려의 장성이 요동반도에서 만주 중부까지 이어져있다면 고려의 장성은 압록강 하류 어귀(강동6주)에서 평안남도 북단을 가로질러 함경남도의 동해 바닷가(정평 해안의 도련포)까지 이어져 있었다.

본래 고려 초때부터 북방민족의 침입에 대비하려 했으나 이러저러이유[로](/wi ki/%EC%84%B1%EC%A2%85) 실행하지 못했다가 3차에 걸친 여요전쟁이 끝난 후인 1033년(덕종 2)에 평장사 유소(柳韶)로 하여금 성을 쌓게 하였다. 유소는 옛 석성(石城)을 수리하고 위원진,정융진을 두어 국방을 강화하였고 유소는 이러한 석성들을 바탕으로 축성 계획을 세웠고, 국경 각 지에 산재해 있던 성들을 연결하고 새로 축조하거나 보수하여 11년이 지난 1044년(정종[3] 10년)에 완성하였다. 다만 사실상 덕종 때의 1년에 대부분을 쌓은 것으로 본다고 한다. 거란은 항의했으나, 고려의 무마로 넘어갔다.

고구려의 장성과는 달리 석재를 사용하였고, 기초에는 흙을 단단히 쌓아 성축을 높였으며 평지에는 양면축조방법[4], 절벽에는 절벽 그 자체를 성벽으로 삼는 방법을 사용했다. 더불어 임시방편으로 지은 고구려 때와는 달리 경비초소를 두는 등 최전방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시킨 것으로 보인다.

성벽의 높이와 폭이 4~7m(높이와 폭이 각각 25자) 정도로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성이다. 대몽항쟁때는 조금 황당하게 무너졌으나 상대가 너무 먼치킨이라 그렇다, 의주 등지에서 일부 성곽은 아직도 남아있다.

만리장성과 비교하다보니 만리장성과 북방이민족과의 관계를 천리장성과 여진족에 대입하여 설명한 경우도 있었다. 즉 이민족을 막기위해 장성을 쌓은게 아니라 장성을 쌓아서 이민족이 본격적으로 문명세계와 분리되면서 결집했다는 이야기. 60년뒤 윤관여진정벌이 일어난걸 생각하면 흥미로운 가설이다.

동북공정으로 중국에서 헛소리 할때 소재가 되기도 한다. 중국 여러 역사학자가 천리장성은 만리장성 일부분이라며 주장을 하는데 이 주장으로 현 고려 천리장성까지 중국 땅이라고 개드립을 치기도 한다. 천리장성이 만리장성의 일부라니 대륙의 환빠는 욕심도 많다

\----

  • [1] 만리장성 역시 "장성"이라고만 불렀으나 후에 만리장성이란 수식어가 붙었고, 중국인들은 아직도 장성이라고 부른다.
  • [2] 이것이 환빠들에게 넘어가서 그만 대륙고려설, 대륙조선설의 떡밥거리가 되었다. orz
  • [3] 고려 3대 왕이 아닌 후대의 왕
  • [4] 일반적으로 성벽은 공사에 들어가는 자원을 줄이기 위해 외벽에만 석재를 사용하거나, 외벽만 높게 짓는다. 그렇지만 성문처럼 적의 공격이 집중되는 곳이나 평지처럼 지형에서 오는 혜택을 기대하기 어려운 곳에서는 중간에 흙이나 돌을 넣고 안팎에서 돌을 쌓아 내외벽을 모두 갖추는 축성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를 양면축조법(또는 협축식 축조법)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