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호 일람
- 간선 철도
- 지선 철도
- 기타 철도
- 전용선/인입선
5.1. 인입선이 분기하는 역 목록
- 공사중/계획중
- 폐선/미성선
- 그 외에 존재사실만 알려져 있는 정도의 철도노선
- 현재 전철화되어 있지 않은 구간
- 그 외 노선 정보와 역 정보가 분리되어 있는 항목들
- 전 구간의 역 문서가 작성된 순서
![http://info.korail.com/mbs/www/images/content/150401_map.jpg](http://info.ko rail.com/mbs/www/images/content/150401_map.jpg)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B%8F%84%20%EB%85%B8%EC%8 4%A0%20%EC%A0%95%EB%B3%B4/%EB%8C%80%ED%95%9C%EB%AF%BC%EA%B5%AD?action=edit&sec tion=1)]
정기 여객 열차는 수도권 전철을 포함한 모든 열차를 말하며 바다열차 등 매일 또는 매주 일정한 주기로 운행하는 열차가 있다면 모두 포함하나, 진해선의 진해 군항제 임시 열차 등 년 단위의 부정기 여객 열차, 코레일이 아닌 곳에서 임대 및 전세로 운행하는 자체 열차(예:육군훈련소 신병 자대배치 열차)는 제외한다.
노선의 상태
✈
운행중(여객)
정기적으로 여객열차가 운행
₣
운행중(화물,건설)
정기적으로 여객열차가 운행하지 않으나 다른 종류의 영업을 함 (Freight)
₡
운행중(운영용)
기지 입출고선 등 영업이 아닌 철도 시스템의 유지를 위해 운행
⊗
운행중단
정기 여객, 화물 열차 없음. 부정기 운행 내지는 운행 중단
☯
개량중
정기적으로 여객열차가 운행하며 신선, 복선화, 전철화 등 개량중
⇔
연장중
정기적으로 여객열차가 운행하며 노선을 연장하는 중
☭
공사중
새로 노선을 착공하여 공사가 진행중
✍
설계중
철도시설공단의 사업 목록에 올라있으나 실제 공사가 이루어지기 이전
☑
계획중(공식)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나오거나 후에 중앙정부의 계획에 등재된 사업
☒
계획중(비공식)
위의 조건에 맞지 않으나 정치권이나 지방정부에서 추진중인 인지도 있는 노선
☠
폐선
물리적으로 운행이 불가능해진 노선
↕
단선
전구간 단선
↕↕
쌍단선
전구간 쌍단선(단선 병렬)
↑↓
복선
전구간 복선
↑⇟
부분복선
일부구간 복선
↑↓²
복복선
전구간 복선
⁻
예외
짧은 일부 구간은 앞에 표시된 것 보다 선이 적음
⁺
예외
짧은 일부 구간은 앞에 표시된 것 보다 선이 많음
전철화 여부
⌆
전철
전구간 전철화
⊼
부분전철
일부구간 전철화
∧
비전철
전구간 비전화
⌆⁻
예외
대부분 전철이나 짧은 일부 구간은 전철화 되어있지 않음
∧⁺
예외
대부분 비전화 되어있으나 짧은 일부 구간은 전철화 되어있음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B%8F%84%20%EB%85%B8%EC%8 4%A0%20%EC%A0%95%EB%B3%B4/%EB%8C%80%ED%95%9C%EB%AF%BC%EA%B5%AD?action=edit&sec tion=2)]
매우 특수한 상황인 동해북부선, 공사중인
영동선 말단 구간[2]
을 제외하면 전 노선 전 구간에서 여객 영업을
한다.
노선
기점
종점
길이
역 수[3]
상태
복선
전철
기종점접속노선[4]
441.7
90
✈
↑↓⁺[5]
⌆
광명역[6]
부산역[7]
346.4
9[8]
⇔[9]
↕↕
⌆
115.2
12
✈
↕
∧
94.4
38
⇔
↑⇟
⊼
27.0
21
✈
↑↓²⁻[10]
⌆
56.1
23
✈
↑⇟⁺[11]
⊼
289.5
44
☯
↑⇟
⊼
80.7
20
✈
↑↓
⌆
35.1
3
✈
↑↓
⌆
건천연결선
145.8
39
☯
↕
∧⁺[12]
감호역[13]
11.1
2
⨂
↕
∧
강릉역[14]
193.6
35
☯
↕
⌆
160.2
29
✈
↑⇟
⊼
180.4
33
✈
↑↓⁻[15]
⌆
373.8
82
☯
↑⇟⁺⁻[16]
⊼
115.0
19
✈
↑↓⁻[17]
⌆
104.1
20
☯
↑⇟[18]
⌆
252.5
48
✈
↑↓
⌆
183.8
5[19]
✈
↕↕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B%8F%84%20%EB%85%B8%EC%8 4%A0%20%EC%A0%95%EB%B3%B4/%EB%8C%80%ED%95%9C%EB%AF%BC%EA%B5%AD?action=edit&sec tion=3)]
본선
노선
기점
종점
길이
역 수[21]
상태
복선
전철
노량진역[22]
이촌역[23]
0.5
0
₣
↕
⌆
가산디지털단지역[24]
구일역[25]
1.2
0
₣
↕
⌆
구로기지
1.4
1
₡
↕
⌆
3.0
2
₣
↑↓
⌆
2.2
3
✈
↑↓
⌆
(분기점)[26]
2.2
2
₣
↕
∧
(분기점)[27]
2.1
2
₣
↕
∧
8.8
3
₣
↕
∧
3.1
2
✈
↑↓
⌆
4.6
2
✈
↑↓
⌆
2.9
2
₣
↑↓
∧
5.7
2
✈
↕
⌆
29.0
8
☯
↕
∧
4.7
2
₣
↕
∧
1.6
2
✈
↑↓
⌆
3.5
2
₣
↑↓
∧
8.3
3
✈
↑↓
⌆
금천구청역[28]
광명역[29]
1.5
0
✈
↕↕
⌆
광명기지
1.4
1
₡
↑↓
⌆
오송역[30]
오송기지
0.3
0
₡
↕
∧
대전역[31]
대전북연결선분기(경부고속선)
5.8
1
✈
↕↕
⌆
옥천역[32]
대전남연결선분기(경부고속선)
4.2
0
✈
↕↕
⌆
영동정비기지선분기
영동기지
0.1
0
₡
↕
∧
지천역[33]
대구북연결선분기(경부고속선)
3.5
0
✈
↕↕
⌆
동대구역[34]
대구남연결선분기(경부고속선)
4.0
0
✈
↕↕
⌆
(분기점)
3.3
1
✈
↕↕
⌆
부산연결선분기(경부고속선)
부산진역[35 ]
3.5
0
✈
↕↕
⌆
문경역[36]
22.3
4
₣
↕
∧
1.8
2
₡
↑↓
⌆
7.0
6
☯[37]
↑↓
⌆
2.4
2
₡
↑↓
⌆
수색역[38]
고양역(장래)
2.2
2
₡
↑↓
⌆
1.7
2
✈
↑↓
⌆
31.8
11
₣
↕
∧
2.1
1
₡
↑↓
⌆
21.3
3
₣
↑↓
⌆
8.2
3
₣
↕
∧
21.2
7
₣[39]
↕
∧[40]
18.6
4
₣
↕
∧
초남역[41]
6.2
2
₣
↕
∧
황길역[42]
2.7
2
₣
↕
∧
광주송정역[43]
11.9
2
✈
↕
⌆
11.4
4
₣
↕
∧
2.5
1
₡
↑↓
⌆
6.1
3
₣
↑↓
∧
2.2
2
✈
↑↓
⌆
8.6
2
₣
↕
∧
3.6
2
₣
↕
∧
4.6
2
₣
↕
∧
5.6
2
₣
↕
∧
12.9
4
✈
↕
∧
6.4
2
₣
↕
∧
5.9
3
₣
↕
∧
4.2
2
₣
↕
∧
대야역[44]
8.9
2
₣
↕
∧
군산화물역[45]
11.6
2
₣
↕
∧
17.5
4
₣
↕
∧
1.7
2
₣
↕
∧
11.6
3
₣
↕
∧
4.9
2
₣
↕
⌆
2.3
2
₣
↑↓
⌆
문단역[46]
0.7
1
₣
↕
⌆
봉정역[47]
1.8
1
✈
↕
∧
2.2
2
✈
↕
∧
9.6
3
₣
↕
⌆
구절리역[48]
45.9
7
✈
↕
∧
문곡역[49]
0.8
1
✈
↕
⌆
강경역[50]
5.8[51]
3
₣[52]
↕
⌆
3.6
2
₣
↕
∧
북송정역[53]
북송정분기(경전선)
1.0
1
✈
↕
⌆
12.0
2
⊗[54]
↕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B%8F%84%20%EB%85%B8%EC%8 4%A0%20%EC%A0%95%EB%B3%B4/%EB%8C%80%ED%95%9C%EB%AF%BC%EA%B5%AD?action=edit&sec tion=4)]
노선
기점
종점
길이
역 수[55]
상태
복선
전철
직결 운행 노선
13.4
10
✈
↑↓
⌆
13.1
9
✈
↑↓
⌆
26.0
14
✈
↑↓
⌆
시흥기지
2.0
1
₡
↑↓
⌆
안산선의 지선
19.2
9
✈
↓↑
⌆
52.9
36
✈
↑↓
⌆
분당기지
2.3
1
₡
↑↓
⌆
분당선의 지선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B%8F%84%20%EB%85%B8%EC%8 4%A0%20%EC%A0%95%EB%B3%B4/%EB%8C%80%ED%95%9C%EB%AF%BC%EA%B5%AD?action=edit&sec tion=5)]
인입선이란 철도노선의 본선이나 역에서 화물을 취급하기 위한 장소까지 별도의 측선을 분기한 것을 의미한다. 특별히 정해진 명명방식은 없으며
취급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서 자갈선이나 군용기지선, 부두선등의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인입선 중에서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선로를 전용선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대체로 군용 화물선등이 여기에 해당하며 이 곳의 사진을 찍을
경우 코렁탕 시식행사를 가질 수 있으니 주의하자.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B%8F%84%20%EB%85%B8%EC%8 4%A0%20%EC%A0%95%EB%B3%B4/%EB%8C%80%ED%95%9C%EB%AF%BC%EA%B5%AD?action=edit&sec tion=6)]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B%8F%84%20%EB%85%B8%EC%8 4%A0%20%EC%A0%95%EB%B3%B4/%EB%8C%80%ED%95%9C%EB%AF%BC%EA%B5%AD?action=edit&sec tion=7)]
본선
사업명
기점
종점
길이
상태
복선
전철
개통[57]
호남고속선(2차 구간)
64.9
☑
↕↕
⌆
2019
지제역[58]
61.1
✍
↕↕
⌆
2016
21.5
✍
↕
∧
2019
구로차량기지 이전
10.9
✍
↑↓
⌆
2022
수도권 북부내륙화물기지 인입선
화물기지
3.2
☭
↕
∧
2012
보성~임성리 철도
79.5
☭
↕
∧
2018
포항~삼척 철도(동해중부선)
171.3
☭
↕
∧
2016
울산신항 인입철도
7.9
✍
↕
∧
2016
서해선 복선전철
89.2
✍
↑↓
⌆
2018
소사~원시 복선전철(소사원시선)
23.3
☭
↑↓
⌆
2016
대곡~소사 복선전철(대곡소사선)
19.6
✍
↑↓
⌆
2016
19.9
☭
↑↓
⌆
2017
10.4
☭
↑↓
⌆
2015
120.0
☭
↑↓
⌆
2017
복선전철화 2차 구간
121.8
✍
↑↓
⌆
2018
복선전철화 3차 구간
13.2
☭
↑↓
⌆
2016
군장산단인입철도
28.0
✍
↕
⌆
2018
성남~여주 복선전철
53.8
☭
↑↓
⌆
2015
여주~문경 철도
95.8
✍
↕
⌆
2021
미정
✍
↕
⌆
미정
거제역
미정
✍
↕
⌆
미정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B%8F%84%20%EB%85%B8%EC%8 4%A0%20%EC%A0%95%EB%B3%B4/%EB%8C%80%ED%95%9C%EB%AF%BC%EA%B5%AD?action=edit&sec tion=8)]
¶
본선[59]
노선
기점
종점
길이[60]
역 수[61]
상태
궤간
복선
전철
폐지
(사)
내금강역[62]
116.6
28
☠
1435
↕
⌆
1950
2.4
4
☠
1435
↕
∧
1982
1.6
3
☠
1435
↕
∧
1975
9.6
3
☠
1435
↕
∧
2004
9.2
3
☠
1435
↕
∧
1980
73.4
21
☠
762
↕
∧
1972
69.8
19
☠
1435
↕
∧
1985
12.3
11
☠
1435
↕
∧
1944
3.8
2
☠
1435
↕
∧
1997
?
2
☠
1435
↕
∧
1992
4.3
2
☠
1435
↕
∧
2009
임항선[63]
8.6
2
☠
1435
↕
∧
2012
동대문~유원지, 광장리
13.5
9
☠
1067
↕
⌆
1961
서울시내 각지
40.6
72[64]
☠
1067
?
⌆
1968
부산진역~온천장
10.9
?
☠
610
?
∧
1916
공설운동장~영도, 온천장
21.7
33
☠
1067
?
⌆
1968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B%8F%84%20%EB%85%B8%EC%8 4%A0%20%EC%A0%95%EB%B3%B4/%EB%8C%80%ED%95%9C%EB%AF%BC%EA%B5%AD?action=edit&sec tion=9)]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B%8F%84%20%EB%85%B8%EC%8 4%A0%20%EC%A0%95%EB%B3%B4/%EB%8C%80%ED%95%9C%EB%AF%BC%EA%B5%AD?action=edit&sec tion=10)]
- 경북선
- 경원선 소요산역 이북구간
- 경의선 문산 이북구간
- 경전선 진주역 이서구간
- 괴동선
- 군산화물선
- 대구선
- 동해남부선 신경주역 이남구간, 기장역이북구간 부전 기장역 사이에는 복선이지만 개통은 하지 않음
- 문경선
- 삼척선
- 교외선
- 장항선 신창역 이남구간
- 중앙선 영주역 이남구간
- 정선선
- 진해선
- 광양제철선
- 양산화물선
- 장성화물선
- 장항화물선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B%8F%84%20%EB%85%B8%EC%8 4%A0%20%EC%A0%95%EB%B3%B4/%EB%8C%80%ED%95%9C%EB%AF%BC%EA%B5%AD?action=edit&sec tion=11)]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2%A0%EB%8F%84%20%EB%85%B8%EC%8 4%A0%20%EC%A0%95%EB%B3%B4/%EB%8C%80%ED%95%9C%EB%AF%BC%EA%B5%AD?action=edit&sec tion=12)]
-
최소 10개 이상의 역을 운영하고,
-
영업을 하고 있으며,
-
길이가 40km보다 긴 노선에 한해서만 서술한다.
참고 : 역 관련 정보, 철도노선 정보/북한
\----
[1]
가나다 순[2]
안인역 구간도 바다열차가 정차하지는 않으나 운행하므로 여객열차 영업구간이다.[3]
폐역 비포함.[4]
공간상 같은 기점일 경우는 길이가 더 긴 노선을 기재하였으며 기점과 종점의 접속노선만 기재한다.[5]
천안역구로역간 복복선, 구로역서울역간 3복선[6]
실제 기점은 시흥연결선 분기지점.[7]
실제 종점은 부산연결선 분기지점.[8]
대전역, 동대구역, 부산역 포함[9]
대전, 대구 도심 통과구간 건설중[10]
동인천역~인천역간 복선[11]
디지털미디어시티역~능곡역간 복복선[12]
범일역~부전역간 전철화[13]
북측역사[14]
여객은 정동진역, 화물은 안인역이 임시 종점임.[15]
여천역~여수엑스포역간 단선[16]
상봉역망우역간 복복선, 서원주역봉양역, 도담역~경주역간 단선[17]
조치원역~오송역간 단선[18]
제천역~입석리역간 복선[19]
오송역, 익산역, 정읍역, 광주송정역 포함[20]
노선별로 기점부터 종점순[21]
폐역 비포함.[22]
실제로는 용산삼각선분기(경부선)[23]
실제로는 용산삼각선분기(경원선)[24]
실제로는 구로삼각선분기(경부선)[25]
실제로는 구로삼각선분기(경인선)[26]
경부선 71.881km[27]
경부선 74.730km[28]
실제로는 시흥연결선분기(경부선)[29]
실제로는 시흥연결선분기(경부고속선)[30]
실제로는 오송정비기지선분기[31]
실제로는 대전북연결선분기(경부선)[32]
실제로는 대전남연결선분기(경부선)[33]
실제로는 대구북연결선분기(경부선)[34]
실제로는 대구남연결선분기(경부선)[35]
실제로는 부산연결선분기(경부선)[36]
현재는 점촌-주평 구간만 화물열차를 운행하고 나머지 구간(주평-문경)은 영업 중단됨.[37]
2012년 12월 15일 가좌공덕 구간 개통, 2014년 12월에 용산공덕 구간 개통 예정.[38]
실제로는 수색역에서 800m 떨어진 지점에서 분기한다.[39]
2015년 2월 1일부로 정기 여객열차 폐지.[40]
창원역~신창원역간 일부 구간에 전차선이 설치되어 있으나 정식 시설은 아니고 현대 로템에서 제조하는 철도 차량의 시운전을 위한 것으로 보임. 철거당했다는 소문이 있으니 추가바람[41]
광양제철선의 2지선철도[42]
광양제철선의 2지선철도[43]
실제로는 광주선분기[44]
실제로는 군산화물선 분기[45]
군산화물선의 2지선철도[46]
실제로는 북영주분기(영동선)[47]
실제로는 북영천분기(대구선)[48]
사실상 아우라지역까지지만 공식적으로는 구절리역. 철도 노선도에서는 구절리~아우라지간은 점선표시.[49]
실제로는 동백산분기(태백선)[50]
실제 기점은 채운역이지만 코레일에서는 강경역을 시작 역으로 보고 관리한다.[51]
채운~연무대간[52]
화물은 아니고 군용열차[53]
실제로는 북송정분기(호남선)[54]
영업 운행은 중단되고 시제차의 시운전만 이루어짐[55]
폐역 비포함.[56]
노선의 묶음은 배선, 역사성등을 고려하여 임의적으로 묶었으며 실제 개통시 노선의 명칭과 구간을 어떻게 나눌지는 명확히 보도되기 전까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57]
코레일 타임 참조[58]
정확히는 평택시 팽성읍의 분기지점[59]
(사)는 사철[60]
최장거리가 개업했을 때를 기준[61]
최장거리가 개업했을 때를 기준[62]
현 북한 지역[63]
정식 명칭은 마산항제1부두선.[64]
폐지 당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