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436 lines (256 loc) · 31.3 KB

초소형국민체.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436 lines (256 loc) · 31.3 KB

超小型國民體, micronation

Contents

  1. 개요

1.1. 항목명에 대해

  1. 역사

2.1. 19세기~20세기 초

2.2. 1960년대~1980년대

2.3. 인터넷의 영향

  1. 특징

3.1. 영토

3.2. 시민권

3.3. 주권

  1. 종류
  2. 대한민국의 초소형국민체
  3. 일본의 초소형국민체
  4. 리그베다 위키에 등재된 초소형국민체

7.1. 현실

7.2. 과거

7.3. 창작물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1)]

1. 개요 ¶

이들 나라는 스스로를 '국가'라고 주장하지만 세계의 다른 커다란 국가들은 그들을 그저 재미있는 돌+I라고 생각하거나 그들의 존재조차 모르고 있다. - 네이버 웹툰 국가의탄생

실제 영토나 사유지 안에 세워진 작은 국가 또는 정부조직을 말한다. 다시 말해 마치 국가인 척 하면서 노는 일종의 설정놀음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장난으로 보이지만, 본인들은 자신들의 초소형국민체를 진지하게 국가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초소형국민체가 실제로 인구, 영토, 주권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물론 진짜 장난삼아 만든 초소형국민체도 있다.

바티칸 시국, 모나코, 산마리노, 안도라, 나우루, 리히텐슈타인 등의 소국은 엄연하게 국제사회에서 승인된 국가이므로 초소형국민체가 아니다. 또한 실질적으로 독립한 상태이지만 다른 국가들로부터 승인받지 못하고 있는 미승인국가(가령 트란스니스트리아, 소말릴란드)와도 다른 개념이다.

초소형국민체를 연구하는 학문을 마이크로패트롤로지(Micropatrology)라고 하며, '초소형교부학(敎父學)' 또는 '극소형교부학'으로 번역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2)]

1.1. 항목명에 대해 ¶

'초소형국민체'라는 말이 대한민국에서 쓰인 것은 한국어 위키백과의 한 사용자가 2006년 1월에 micronation의 내용을 서술하면서 '초소형국민체'라는 번역어를 만들어 문서명으로 등록한 것이 최초이다. 그 이전으로는 인터넷에서 '초소형국민체'라는 단어가 쓰인 기록이 없다.

그러나 위키백과에서 시작된 이 용어는 인터넷 상으로 조금씩 퍼져 나가 2013년 현재 micronation의 번역어로 널리 쓰이고 있다.

조선일보[1]

그런데 2012년 5월 경, 위키백과의 다른 유저가 '초소형국민체'는 독자연구로 만든 잘못된 용어라고 주장하면서 '극소형 국가'를 micronation의 번역어로 내세웠다[2]. 그 후 micronation을 음역한 '마이크로네이션'으로 항목명이 변경되었는데, [위키백과의 토론](http://ko.wikipedia.org/wiki/%ED%86%A0%EB%A1%A0:%EB%A7%88%E C%9D%B4%ED%81%AC%EB%A1%9C%EB%84%A4%EC%9D%B4%EC%85%98)을 보면 알겠지만 별다른 토론도 없이 거의 일방적으로 항목명이 바뀌었다가, 2012년 6월 이후 토론이 진행되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6월 21일까지도 초소형국민체란 이름이 완전히 지지를 얻지 못하는 것은 위에서도 밝혔듯이 이 '초소형국민체'란 이름의 첫 출처가 '위키백과'라는 점이다. 위키백과의 원칙 중 하나인 '위키백과를 출처로 삼는 것을 금지'하는 것에 어긋난다.

그러나 첫째, 글을 올릴 당시에는 micronation를 어떻게 번역할지 사회적인 합의 자체가 없었으므로 어떤 식으로든 표제어를 정해야 하며, 둘째, 현재에는 마이크로네이션보다 '초소형국민체'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데도 받아들이지 않을 수는 없다는 반론이 제기되었다. 6월 19일 무렵에는 토론에 다중 계정이 개입하는 바람에 6월 21일까지는 정상적인 진행 자체가 안 되었다.

리그베다 위키도 한 위키러에 의해 '초소형국민체' 문서가 '마이크로네이션'으로 변경된 직후 문서명에 대한 토론이 있었다. 2012년 6월 17일에 구글 "다음 단어 정확하게 포함" 검색 결과 "초소형국민체" 26,400건, "마이크로네이션" 1,210건, "극소형 국가" 57건이고, 토론과 구글 검색 결과를 근거로 다시 현재의 '초소형국민체'로 문서명이 정해졌다.

참고로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micronation을 음역한 ミクロネーション(미크로네-숀)이라는 용어를 쓴다. 중국어 위키백과에서는 私人国家(사인국가[3])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 광둥어 위키백과에서는 蚊型國家(문형국가), 즉 모기만한 나라라고 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3)]

2. 역사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4)]

2.1. 19세기~20세기 초 ¶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는 초소형국민체들 중 가장 오래된 것들은 19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부분은 괴짜 모험가들이나 투기자들에 의해 창설되었고, 몇 개는 괄목할 만큼 성공적이었다. 그 예로는 클루니즈-로스家가 지배했던 인도양 상의 코코스제도가 있다.

그 외에는 남부 칠레아르헨티나에 걸친 아라카니아-파타고니아 왕국(1860년1862년), 북아메리카의 인디언스트림 공화국(1832년1835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세당 왕국(1888년~1890년) 등이 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초소형국민체는 1865년 카리브제도에서 창설된 레돈다왕국이다. 레돈다 왕국은 인정받는 나라로 발전하지는 못했지만 왕과 귀족제도가 있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왕위 계승권 주장이 이어져오고 있다.

20세기 초, 영국의 룬디 섬의 소유자였던 마틴 콜스 하먼은 그 자신을 왕이라 칭하고 동전, 우표를 발행하였다. 룬디 섬은 사실상의 영지로서 통치되었지만 마틴 콜스 하먼은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룬디는 이후의 지역적 초소형국민체들의 선구자라고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캐나다 노바스코샤 주 해안에 있는 바위섬에 세워진 아우터발도니아 공국이 있다. 이는 펩시 콜라의 회장이었던 Russel Arundel이 설립했고 69명의 어부가 살고 있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5)]

2.2. 1960년대~1980년대 ¶

1960년대와 1970에는 지역적 초소형국민체가 많이 설립되었다. 이들 중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1967년 설립되어 오늘날까지 유지되고 있는 시랜드 공국이다. 시랜드 공국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의 북해에 버려진 해상 요새에 세워졌다. 그 외에도 자유주의 원칙에 따라 설립되고 인공 섬을 건설하려는 계획이 있었지만, 그들 중 세 개만이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다고 알려져있다.

로즈 아일랜드 공화국이탈리아 리미니에서 11 킬로미터 떨어진 아드리아해 상에 1967년 설치된 400 평방미터 규모의 구조물에 세워졌다. 이들은 우표를 발행하였고, 에스페란토를 공용어로 채택하였다. 그러나 세금을 납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탈리아 해군에 의해 점령되어 파괴되었다. 이 나라의 정보는 이탈리아 일이라 그런지 다른 언어보다 이탈리아어 위키백과가 매우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1960년대 후반에는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동생이자 그 자신도 작가였던 레스터 헤밍웨이가 비슷한 계획을 세웠다. 자메이카의 서해안 인근 바다에 작은 목재 구조물을 세운 것이다. 레스터는 이 구조물을 뉴 아틀랜티스라고 불렀고, 그 자신을 명예 시민 겸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 구조물은 폭풍에 의해 손상을 입었다. 이후 멕시코 어부가 이 구조물을 약탈했다. 레스터는 뉴 애틀랜티스를 바하마 인근의 840 평방미터 규모 구조물로 옮겼다고 전해진다. 이 새 국가는 "티에라 델 마르"(Tierra del Mar, 바다의 땅)이라고 불렸다.

네바다 주의 사업가 마이클 올리버가 수립한 자유주의 신국가 건설 계획인 미네르바 공화국은 1972년에 세워졌다. 올리버와 그의 동료는 피지 남부 태평양에 있는 모래톱인 미네르바 리프에서 준설 작업을 벌였고 마침내 작은 인공 섬을 세웠다. 그러나 국제적 인정을 받고자 하는 그들의 노력은 성공을 거두지 못했으며, 결국 인근 통가에서 미네르바 공화국을 무력으로 합병했다.

1977년 4월 1일에는 장서 수집가인 리처드 조지 윌리엄 피트 부스가 웨일즈에서 하이 온 웨이라는 마을을 그 자신이 군주로 취임한 왕국으로 선언하였다. 하이 온 웨이는 문학적 흥미에 기반하여 관광산업을 키웠다.

197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는 호주에서 특히 초소형국민체 활동이 잦았다. 대표적으로는 1970년 창설된 헛리버 공국이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6)]

2.3. 인터넷의 영향 ¶

인터넷 인구가 급증하여 오로지 전자매체로만 구성된 유사국가를 보다 쉽게 만들고 홍보할 수 있게 된 1990년대 중반에 들어, 초소형국민체 운동은 전통적으로 기이하다고 여겨졌던 반체제주의를 뛰어넘어 극명하게 취미에 가까운 관점을 취하였다.

초창기의 사례로는 1979년 당시 14살이었던 로버트 벤 매디슨이 세운 탈로사왕국이 있다. 탈로사 왕국은 1995년 11월 온라인 활동을 시작했고, 2000년에는 뉴욕타임즈 등의 인쇄매체에 소개되었다. 그 결과로, 온라인이나 시뮬레이션 기반의 초소형국민체가 극적으로 늘어났다. 온라인에서만 존재하는 초소형 국민체로는 2005년 세워진 러블리왕국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종류의 초소형국민체 활동은 대부분 외교 활동, 선거와 의회 운영, 가상 전쟁을 모사하는 데에 국한되어 있다. 이들의 외교 활동에는 조약 체결, 초소형국민체 연맹이나 초소형국민체 뉴스 연합 등의 범(汎)초소형국민체 활동이 있다. 이러한 활동들은 모두 블로그, 온라인 게시판 등을 통해 이뤄진다.

헛리버, 세보르가공국, 시랜드공국 등의 구세대 초소형국민체들은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주권을 홍보하고 관련 상품을 판매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7)]

3. 특징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8)]

3.1. 영토 ¶

보통 초소형국민체의 영토는 그 창시자들의 집이나 사유지 수준이다. 자기 집 주변에 철조망을 치고 나라를 세웠다고 주장하는 식이다. 네이버 웹툰 국가의탄생파라다이시움으로 이것을 잘 설명한다. 아니면 실제 국가의 주권이 미치지 않는 지역(남극이나 우주)을 영토라고 자칭하거나. 일부 비범한 자들은 공해상에 해상 구조물을 세워서 그걸 영토로 삼으려 시도하기도 한다 (시랜드공국처럼). 물론 해상구조물은 국제법상 영토로 인정받지 못한다. 그리고 국민이라고 해봐야 가족과 친척, 친구의 범위를 넘지 못하지만, 일부는 인터넷 상으로 '국민'을 받기도 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9)]

3.2. 시민권 ¶

인터넷으로 신청하면 시민권을 얻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단순 시민권(아틀란티움 제국)부터 귀족 작위(시랜드 공국)까지 있으며 일부는 이런 작위를 판매하기도 한다. 조선 후기의 양반첩이나, 종교개혁이전의 로마 교황청이 팔던 면죄부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굳이 영리를 추구하려는 목적보다는 이들이 국가를 유지하고 연대하는데 쓰이고 실제로도 큰 도움이 된다.

초소형국민체의 거의 모든 곳에서는 관광을 할 수 있으나, 사전 허락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10)]

3.3. 주권 ¶

초소형국민체들은 자신들의 여권을 따로 발행하는 경우도 있고, 들어가려면 입국 허가를 받아야 하며, 자체적으로 우표화폐를 발행하기도 한다 (물론 국제적으로 인정받지는 못한다). 총을 준비해두고 치안을 유지한다는 나라도 있다. '소국 연맹체'등의 비공인 초소형국민체끼리의 연대도 시도하여 현재 체육대회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피할수 없는 문제인 독립한 모국에 내야할 각종 세금은 아예 내지 않고 농성하는 경우도 있으나[4] 대개는 국제 원조기금이라든가 이런저런 핑계를 대 모국에 원조를 해준다는 둥 세계에 기여한다는 등의 구실로 에둘러서 지불한다. 몰로시아 공화국은 미국에 국제 원조 기금이라는 명목으로 세금을 낸다. 천조국에 원조를 하는 위대한 나라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11)]

4. 종류 ¶

오늘날에 존재하는 초소형국민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일곱가지 분류가 있다.

  •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모사 : 탈로사 왕국, 크리스차니아, 노바 로마
  • 개인적인 흥미를 위한 활동 : 몰로시아 공화국, 러블리 왕국
  • 공상이나 창조적 허구를 위한 활동 : 쿠겔무겔 공화국 등
  • 의제를 홍보하기 위한 활동 : 보통 정치·사회적 개혁 운동과 연관된 초소형국민체들이다. 호주 퀸즐랜드 주 연안의 무인도 '산호해 군도'에 세워진 '코럴씨 아일랜드의 게이와 레즈비언 왕국'이 이 분류에 속한다. 저... 혐오발언은 아닌데 그 나라 2세는 어떻게 보는 거지[5]``[6]``[7]``[8]``[9]
  • 사기를 목적으로 한 단체 : 몇몇 초소형국민체들은 사기나 부정을 목적으로 세워진다.
  • 역사적 변칙 : 몇몇의 초소형국민체는 역사적 변칙이나 이상하게 해석된 법률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들은 대개 작고 분쟁중인 지역에 위치하며, 관광, 우표 및 화폐 판매 등을 통해 제한된 경제 활동을 유지한다. 세보르가 공국, 헛리버, 시랜드 공국 등이 해당한다.
  • 신국가 계획 : 신국가 계획은 완전히 새로운 국가체를 세우려는 시도이다. 그들은 보통 인공 섬을 세우려고 계획한다. 또한 자유주의 혹은 민주주의 이념을 내세운다. 미네르바 공화국이 이 분류에 해당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12)]

5. 대한민국의 초소형국민체 ¶

남이섬에 위치한 나미나라 공화국은 관광용 컨셉이라는 점에서 조금 애매하긴 하지만, 실제로 다른 초소형국민체들도 딱히 그렇게까지 진지한 사례는 아니며, 아래와 같이 일본의 지자체에서 만든 관광용 초소형국민체들 역시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초소형국민체로 인정을 받은 사례가 있으므로 나미나라 공화국은 초소형국민체로 인정받을 만한 요건을 충분히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오히려 전반적으로 보자면 비교적 안정적으로, 장기간 운영되고 있으며 확고하고 광범위한 영토(?)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초소형국민체들 가운데서는 상당히 사정이 좋은 셈.

![http://imgnews.naver.net/image/022/2012/09/17/20120917021186_0_59_2012091713 3003.jpg](http://imgnews.naver.net/image/022/2012/09/17/20120917021186_0_59_20 120917133003.jpg)

[[JPG external image]](http://imgnews.naver.net/image/022/2012/09/17/201209170 21186_0_59_20120917133003.jpg)

남이섬이 그럴싸해 보였는지 따라하는 다른 자치단체들과 [관련기사](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 LSD&mid=sec&sid1=103&oid=022&aid=0002440251)(...)

그 외에 특이하게도 SM엔터테인먼트가 2012년 SM타운 콘서트에서 가상국가선포식을 가진바 있다. 당시 각 나라 국기를 들고오며 화려하게 행사...를 했으나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경고를 먹은 후 1년 후에는 그냥 잊혀졌다.흑역사(...) 그리고 팬들이 산 여권은 계륵이 되었다.

물론 진지하게 독립을 시도하면 국가보안법으로 코렁탕을 먹을 수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13)]

6. 일본의 초소형국민체 ¶

80년대 일본의 거품경제 시대에 각지의 지방자치단체가 관광과 홍보를 목적으로 초소형국민체를 만들었다. 초소형국민체 만들기가 붐이 되어 엄청난 수의 초소형국민체가 탄생했지만, 잃어버린10년과 함께 대부분이 예산부족, 관심부족으로 멸망(…)하고 말았다. 관광과 홍보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초소형국민체라는 점에서는 나미나라 공화국과 같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14)]

7. 리그베다위키에 등재된

초소형국민체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15)]

7.1. 현실 ¶

그 외 초소형국민체의 목록은영문판 위키백과를 참조. 2011년 2월 28일 월요일 현재 61개 단체가 등록되어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16)]

7.2. 과거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B4%88%EC%86%8C%ED%98%95%EA%B5%A D%EB%AF%BC%EC%B2%B4?action=edit&section=17)]

7.3. 창작물 ¶

\----

  • [1] '초소형국민체'와 '마이크로네이션'을 혼용하고 있다.
  • [2] 그 사용자는 자신이 만든 '극소형 국가'라는 용어도 독자연구로 만든 용어라는 점은 애써 부정했다.
  • [3] 우리말로 다듬어 보면 개인 국가에 가깝다.
  • [4] 헛리버공국의 경우, 과도한 밀 관련 세금, 토지거래의 심한 규제로 농민이 열받았던 사례. 어이없는 상황에서 오죽 열받았으면 독립한다고 했겠나. 우리도 정치 좀 잘 하자
  • [5]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모든 섹스가 성를 기반으로 행해지는 건 아니라는 사실이 어느 정도 답변이 된다. 실제로 서로를 단순한 친구로 인지하고 있는 생물학적 이성 관계인 성소수자들이 그저 매우 친밀한 삶의 동반자 개념으로 결혼해서 아이를 낳고 살아가는 사례가 있긴 있으니까. 이렇게 되면 그냥 이성애자 커플이랑 뭐가 다르게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당사자들 본인들이 그렇게 주장하니까 받아들이자. 뭐가 다르냐는 설명은, 이 세상에 그들 부부 둘만이 살아가는 건 아니라는 것으로 설명이 된다. 이성애자간의 부부라면 서로간의 연인 관계가 성립되고 나서도 배우자가 아닌 다른 이성에게 성적인 끌림을 느낄 가능성이 있고 그로 인해 간통이니 어장관리니 하는 사건들이 벌어진다. 하지만 이런 부부간에서는 "생물학적 이성간 섹스"의 의사를 그 부부 서로간에서만 느낀다는 것이, 혼외자에게 성적 끌림을 느낀다면 배우자가 속한 성별과 다른 성별의 사람에게 느낀다는 것이 이성애자 부부와 이런 부부의 차이점이다.
  • [6] 멀리 갈 거 없이 현대과학으로 불임시술받는 수많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합의한 게이부부 한쌍과 레즈비언 부부 한쌍이 한쪽은 정자기증 한쪽은 산모 역할을 하고 정자기증&임신중 돌봄의 대가로 상대에게 아이를 한명 건네는 방법 등도 있다. 국제 입양도 가능한데다 나라가 자리 잡으면 소수성애자들이 차별을 피해 이민 올 가능성도 크고 생각보다 방법은 많다.
  • [7] 위에도 지적하듯 이성애 섹스자체는 호오의 감정 없이도 가능하므로 이성애 섹스를 하는 게이/레즈비언이 존재하며 실제로 아이를 낳은 경우도 많다. 물론 딱히 좋아서 한다기 보다는 사회의 압력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 [8] 뻘한 소리지만 소아성애자나 군대내의 남색등 성폭행은 성적지향과 관계없이 지배욕과 권력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므로 상대방이 게이/레즈라고 해서 이성을 성폭행하지 않을 거랑 가정은 틀린 가정이다. 그냥 나쁜 놈들은 어디나 일정비율로 존재하며 기회가 되서 하는 거지, 취향맞춰 저지르진 않는다.
  • [9] 논의가 안드로메다로 간 느낌인데, '퀴어 내셔널리즘'(queer nationalism)을 기반으로 하는 초소형국민체이기 때문에 이스라엘유대인 귀환법처럼 본인이 동성애자라면 비자를 취득할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영구거주권을 가질 수 있게 하겠다고 한다. 2세를 동성애자 이민자(?)로 채우게 되는 셈. 코럴제도 육지 면적이 3㎢밖에 안되어서 땅이 부족할 듯
  • [10] 3해리 밖, 현재는 12해리라 포함됨.
  • [11] 이유는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