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족 촌수 명칭
팔촌
- 개요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C%94%EC%B4%8C?action=edit§ ion=1)]
나와 촌수가 8촌이 되는 친척. 아저씨뻘의
칠촌의 아들/딸과, 조카뻘의 칠촌의 아들/딸이 여기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는
항렬상 동렬이 되는 칠촌의 자식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고, 이를 팔촌 형제라고 한다. 팔촌
형제는 나와 같은 고조부모에서 갈라져 나온 방계 혈족이다. 그리고 8촌은
대한민국 민법상 혼인이 불가능한 친족 범위의 경계선으로,
여길 넘어가면 자유롭게 혼인이 가능하다. 팔촌 이상의 친척도 9촌, 10촌 등으로 계속해서 촌수를 세어갈 수는 있으나 여기서부터는
법적으로도, 사회적 인식으로도 남으로 본다. 간혹 20촌까지는 친척으로 치는
예외가 있기는 하다.
믿으면 골룸
너무 먼 친척까지 친척으로 포함하면 서로 친구로 지냈는데 알고보니 한 쪽이 할아버지 항렬이고 한 쪽이 손주 항렬인 경우도 흔하다. 대표적으로
구씨의 구자○ 항렬이 구○모 항렬의 할아버지 항렬이며, 권씨의 권영○ 항렬이 권혁○ 항렬의 할아버지 항렬이다. 가끔 친구로 지냈는데 항렬로는
고조할아버지보다도 높은경우도 있으며[1]
이 경우는 매우 높은 확률로 파까지 다른 경우로, 촌수로는 50촌 이상으로 완전히
남이다. 그쯤되면 모계쪽으로 촌수가 가까울 확률이 더 높다.
왜 팔촌이 금혼의 범위인가 하면, 유교 문화에서 친척이 죽었을때 상복을 입는 복상의 범위가 같은 고조부를 조상으로 두는 친척 집단인 '동고조팔촌' 이었기 때문. 이를 유복친(有服親)이라고 해서 가장 좁은 친족집단의 범위로 봤다.
다만 유교에서의 유복친은 부계 중심이라 부계만 쳤지만, 현행 민법상 금혼 범위는 부/모계를 불문하고 8촌이다. 과거 민법에서는 부계 8촌, 모계 4촌이 친족의 범위였으나 이게 남녀평등원칙에 어긋난다는 여성단체들의 주장으로 부/모계 공히 팔촌으로 늘어났기 때문.
이게 그다지 틀린 말은 아닌데, 부/모계 공히 팔촌이라는 건 실상 너무나 범위가 넓어진 것이다. 왜냐하면, 예를 들면 할머니의 이종사촌의
손자/녀, 외할머니의 고종사촌의 손자/녀도 부/모계를 불문하면 나에게는 팔촌에 해당하기 때문. 그리고 부/모계 공히 팔촌이라는 것에서 과연
어디까지를 친척 범위로 보느냐 하는 것도 논쟁이 많다. 실질적으로는 어머니의 가계인 외가라고 해도 외할아버지의 일가만을 친척으로 보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건 결국은 어머니의 부계 혈통만 신경쓰게 되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정말 남녀평등원칙을 따지자면 아버지의 모계(진외가)나
어머니의 모계(외외가), 할머니의 모계(진외증외가), 외할머니의 모계(외외증외가) 등등도 다 따져야 되는데 이건 실질적으로 너무 무리가 많기
때문.[2]
뭐 법이 바뀐 때를 기준으로 아래 세대를 향해 적용하면 되는 문제이기는 하다. 그냥 부계 모계 모두 4촌으로 바뀔
것 같다. 조금 지나면[3]
팔촌쯤 되면 그야말로 남이나 다름없다. 사돈의팔촌이라는 관용구가 나온 것도 팔촌이 먼 친척의 대명사였기 때문. 심지어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되어서 상견례를 갔는데 알고 보니 부모끼리 육촌 형제여서(즉 팔촌간) 혼인이 무산된 안타까운 사연도 아주 드물지만 종종 보인다. 팔촌이면 평생 살면서 얼굴 볼 일이 굉장히 드물다.
그리고 육촌 이상으로 세대간 연령이 넓어졌기 때문에, 맏아들로만 이어진 가계와 막내아들로만 이어진 가계의 팔촌 형제간은 항렬상으로는
형제간인데, 나이 차이는 할아버지와 손자 정도로 나는 경우도 있다.(...)[4]
\----
[1]
밀양 박씨 같은 경우에는 혁거세 60세손과 80세손이 공존한다.[2]
이렇게 진외가,외외가,진외증외가,외외증외가까지 포함하여 상기된 20촌을 계산하면 105만 명이 나오고. 겨우 24촌에서 대한민국 전 인구가 쫑난다..[3]
농담이 아닌 게, 사실 지금 세대에서는 명절 때 친족들이 모여도 딱 4촌까지 보는 경우가 많아(조부가 장남이면 6촌까지는 볼 수 있다.) 4촌까지 얼굴을 익히 아는 친척으로 인지하지만 5촌부터는 관혼상제라도 걸쳐야 겨우 얼굴을 보는 (즉, 어쩌면 평생 한두번 보는 것도 많이 보는 것일 수 있는) 이름만 친척인 사람들로 인지되고 있는 경우가 많고, 원래 민법상의 관습은 세대가 지나면서 바뀌어 가는 법이기 때문이다.[4]
과거 지방 소도시에선 7촌 재종숙과 고등학교 동창이라든가 8촌 삼종형이 담임선생이라든가 9촌 삼종고모뻘 되는 학생을 훈계해야하는 조카뻘되는 선생이 존재한다던가...이런 아스트랄한 상황이 종종 발생하였다. 현대에 와서는 거의 모르는척 하지만 시제나 기제 모시는 집안이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