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신성 플래시맨 주역 메카
플래시 킹 플래시 타이탄
[JPG image (35.26 KB)]
- 소개
- 성능
- 구성 비클
- 활약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4%8C%EB%9E%98%EC%8B%9C%20%ED%8 2%B9?action=edit§ion=1)]
슈퍼전대 시리즈의 주역메카
제9작 전격전대 체인지맨
~
제10작 초신성 플래시맨
~
제11작 광전대 마스크맨
→
플래시 킹 →
초신성 플래시맨에 등장하는 거대로봇이자 1호 로봇.
탱크 코만도, 제트 델타, 제트 시커가 합체해서 완성되는 로봇으로 합체 구호는 '합체! 플래시 크로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4%8C%EB%9E%98%EC%8B%9C%20%ED%8 2%B9?action=edit§ion=2)]
전고 51.2m, 중량 675t, 프리즈니움 제질의 합금으로 제작. 비행 속도는 마하 2.5이며 내장 무기로 복부의 킹 미사일, 가슴의 킹 빔과 레인보우 빔, 눈에서 발하는 킹 플래쉬, 로켓 펀치의 일종인 킹 너클을 탑재하였고 주 무기는 킹 실드와 코즈모 소드. 이마에서 광선을 내뿜어 힘을 증폭시키는 풀 파워, 몸을 회전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빅 플래시라는 기술도 가지고 있다. 내장된 슈퍼 컴퓨터는 피리를 부는 것도 가능할 정도로 정교하다.
마무리 기술은 슈퍼 코즈모 플래시로 높이 점프한 후 고속으로 2회전하면서 생긴 힘으로 적을 가르는 기술이다. 참고로 플래시맨 5인이 탑승하지 않으면 발동하지 않는다. 추가로 회전력을 이용한 코즈모 소드 불꽃 되돌리기도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4%8C%EB%9E%98%EC%8B%9C%20%ED%8 2%B9?action=edit§ion=3)]
-
탱크 코만도: 레드 후뢰시가 타는 탱크로 무장은 미사일 2개. 주로 300km의 속도로 땅을 달리지만, 합체시 하늘을 마하3의 속도로 난다. 합체시 머리와 본체가 된다.
-
제트 델타: 그린 후뢰시와 옐로 후뢰시가 타는 전투기로 무장은 메가빔 포. 최고 비행속도는 마하 10.2. 합체시 오른팔과 오른다리가 된다.
-
제트 시커: 블루 후뢰시와 핑크 후뢰시가 타는 정찰전투기로 무장은 2연발 레이저포. 또 위에 원형 파츠가 있는데 이것은 킹 쉴드가 됨. 합체시 왼팔과 왼다리가 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4%8C%EB%9E%98%EC%8B%9C%20%ED%8 2%B9?action=edit§ion=4)]
역대 전대의 거대 로봇들 중에서 아군의 거대 로봇은 무적이라는 공식을 최초로 깨버린 파격적인 거대로봇이다. 극 중반부 15화에서 쟈 즈콘다에게 처참하게 파괴되어 이후 플래시타이탄이 등장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러나 플래시 타이탄이 등장한 이후에도 주역 자리를 빼앗기지 않았고 타이탄보다 더 많이 등장을 하는 등 꾸준히 사용되며, 종반부 49화에서 최종 결전 때 최종 보스인 대제라 데우스(쟈 데우스라)와 맞붙어 그를 쓰러뜨리는 엄청난 활약을 펼쳤다.
최종화인 50화에서 쟈 데모스와의 1차전까지 활약하지만 최종보스를 쓰러뜨린
눈부신 활약은 어디갔는지 이 싸움에서 킹 미사일은 하나도 안 먹히고, 킹 빔은 오히려 흡수당해서 데모스를 파워업 시켜버리고, 최후의 보루로
슈퍼 코스모 플래시를 시전했으나 쟈 데모스의 내구력을 견디지 못해 결국 코스모 소드가 부러지고 말았으며 마지막에는 데모스에게 처참하게 당하여
전투불능 상태로 쓰러지고 만다.[1]
이후 2차 최종 결전 때는 플래시타이탄으로 마무리.
여담으로 플래시 킹의 실드는 전투중 쓴 일이 손에 꼽을 정도로 활용도가 적은데, 이상하게도 수전사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 후 폼을 잡을 때만은 실드를 언제나 손에 들고 있었다.
국내판에선 코스모 소드가 슈퍼 우주검이란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필살기명도 "슈퍼 우주검 후뢰시".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VS 해적전대 고카이저 THE MOVIE에서 고버스터에이스가 환상의 레인저키에 의해 변신하여 다시 등장하는데, 고작 킹 너클만 날리고 끝나서 내심 많은 활약을 기대했던 국내 팬들이 많이 아쉬워했다.
테마곡은 '빛나라! 플래시 킹.'
\----
[1]
그렇지만 심하게 파괴당한 쟈 즈콘다 때와는 달리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쓰러졌다. 아마도 처음 당해본 기억이 있어서인지 수리와 개수로 어느정도 방어력 보강은 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