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애장왕 김중희
←
41대 헌덕왕 김언승 →
42대 흥덕왕 김경휘
시호 헌덕왕(憲德王)
성 김(金)
휘 언승(彦昇)
생몰년도 음력
? ~ 826년 10월[1]
재위기간 음력
809년 ~ 826년 10월 (18년)
- 찬탈자
- 김헌창의 난(822년)
- 무엇을 하였는가
- 삼국사기 기록
신라의 제41대 왕이다. 소성왕의 동복 동생이고, 애장왕의 숙부로 아버지는 원성왕의 장자 인겸이다. 본격 고려숙종과 조선세조의 대선배.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7%8C%EB%8D%95%EC%99%95?action= edit§ion=1)]
790년 당에 다녀왔으며, 김제공의 난을 진압하였으며, 할아버지 원성왕에 의해 794년에 시중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795년에는 이찬으로서 재상이 되었고, 796년에는 병부령을 제수받기도 하였다. 즉 원성왕 말기에 이미 정치적으로 상당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만큼 원성왕의 정치가 측근정이기도 했지만..
애장왕의 즉위와 함께 섭정이 되었고, 곧바로 상대등에 올랐다. 애장왕 대 그의 세력은 상당했는데, 그를 지원하는 아우 수종(후에 흥덕왕)이 시중에 올라있었기 때문이었다. 결국 그러한 세력을 바탕으로 809년 아우 수종(혹은 다른 아우 김제옹이 더 유력하다)과 함께 반란을 일으켜 애장왕과 그 동생 체명을 죽이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이분도 세조 필. 즉위 후 헌덕왕은 당나라에는 애장왕이 병사했다고 알렸다. 물론 그대로 알렸다면 당나라 측에서 시비를 걸 수도 있었던 걸 감안한 조치겠지만 인륜적으로 보면 영 찜찜한 것은 사실. 참고로 당시 당나라 황제는 당헌종.
그의 재위연간에는 잦은 자연재해와 기근이 있었지만, 왕권은 크게 약화되지 않았다. 도리어 당에서는 이사도의난이 일어나서 816년에 당의 출병요청을 받아들여 군대를 파견하기도 하였다.
한편 애장왕대부터 이어져오던 왕권강화정책을 그대로 진행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녹진의 인사원칙에 대한 제언이었다. 헌덕왕의 아우이고 상대등에 있었던 충공이 병에 들자, 집사시랑이었던 녹진이 충공에게 인재의 쓰임을 목재의 쓰임에 비유하여 인사처리에 적절한 대책을 제언하였고, 이를 들은 충공은 물론 헌덕왕과 수종 모두 기뻐했다고 전하고 있다. 그런데 이 때 녹진이 제언한 인사정책은 전제왕권에 매우 유리했으므로 다른 진골귀족세력의 반발을 사게 되었다. 헌덕왕의 인사정책은 근친혈족 위주의 정국운영을 고착화시켰다는 한계가 있다. 그랬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 바로 김헌창의 난.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7%8C%EB%8D%95%EC%99%95?action= edit§ion=2)]
태종 무열왕계로서 왕위에 근접했으나 원성왕계에게 왕위를 빼앗겼던 김주원의 아들이었던 김헌창은 김주원이 명주(강릉)로 물러난 이후에도 중앙정계에서 활약하여 807년에는 시중으로 임명되어 당시 상대등이었던 언승 다음가는 권력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그를 달래 반란을 막으려는 원성왕 때부터 내려온 정책이기도 했다.
하지만 언승이 애장왕을 살해하고 왕위에 오르자 시중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고 813년엔 무진주 도독, 816년엔 청주도독, 821년에는 웅천주 도독으로 전보되었는데 이에 불만을 품고 822년에 반란을 일으키게 되었다. 나라 이름을 장안(長安)이라 하고, 연호를 경운(慶雲)이라 했다.
반란세력은 순식간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웅주를 중심으로 무진주(광주와
전남), 완산주(전주와
전북), 청주,[2]
사벌주(상주와
경북 서북 대부분)를 장악하고
국원경(중원경/충주), 서원경(청주),
금관경(김해)의 사신(장관) 및 여러 군, 현의 수령을 복속시켰다. 가히 호남 + 충청 +
영남의 낙동강 서쪽을 더한 후기전성기
백제에 맞먹는 영토를 복속한 셈이다.#
영토
하지만 한산주(한주),삽량주(양주), 패강진,[3]
북원경(원주)와 같은 북부 지방의
군세가 결집하면서 반란은 더이상 확대되지 못한다. 원래 본거지인 명주까지 닿지도 못했던 것은 물론이다.
헌덕왕은 장군 8명으로 서울을 지키게 하고 장웅(長雄)·위공(衛恭)·김제릉(悌凌)으로 헌창을 치게 했다. 장웅은 도동현(道東峴/지금의 영천)까지 몰아닥친 헌창의 군사를 격파하고, 위공과 제릉은 장웅과 합세하여 삼년산성(三年山城: 충남 보은)을 공격한 다음 인근의 속리산에서 헌창의 군을 격멸하였다. 후의 신무왕의 아버지가 되는 김균정(均貞)은 성산(星山/ 지금의 성주(옛 성산가야 땅))에서 승리했다.
이렇게 각지에서 승리를 거둔 토벌연합군이 집결한 후 웅천주의 중심인 웅진(공주)으로
쳐들어가니 김헌창은 농성했다. 하지만 결국 함락되고 김헌창은 자살했다. 그 후 헌창의 아들 김범문梵文은 한주의 고달산적(高達山賊)
수신(壽神) 등과 난을 일으켰으나 규모도 훨씬 약소했고 이것도 실패하였다. 대대로 안되는 왕의 꿈 그리고 이 사건 이후
무열왕계의 후손들은 진골에서 6두품으로 강등당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7%8C%EB%8D%95%EC%99%95?action= edit§ion=3)]
조카를 죽이고 즉위는 했지만 딱히 조카보다 나은 모습을 보여주지는 않았고 크게 뚜렷한 업적도 없다. 조카처럼 뚜렷한 정치 목표를 가지고
그것을 위해 매진했던 것도 아니었고 연이은 자연재해와 기근에는 속수무책이었다. 물론 헌덕왕이 구휼을 벌인 기록은 찾아볼 수 있지만 오히려
파티를 벌이며 왕이 손수 거문고를 타고 놀면서 70대의 고위관료가 거기에 맞춰 춤을 추었다는 기록도 찾아볼 수 있다.[4]
뭐야
이거. 이 지경이니 구휼을 벌여도 민생에는 도움이 안 된 것은 당연지사. 특히 후계자이자 동생인 흥덕왕이 직접 지방을 돌며 구휼활동을 열심히
벌인 것과도 비교된다.
그 와중에 김헌창, 김범문 부자의 난까지 겪고 연이은 천재지변으로 인해 민생이 도탄에 빠져 도적들이 크게 창궐하는 등 신라 사회의 혼란은 더욱 가중화되어 간다. 신라 해적(신라구)이 나타나 일본까지 노략질하고 신라인들이 당이나 일본에 인신매매되기 시작한 것도 바로 그의 치세. 당시의 민생이 어느 정도였는지는 이 기록이 잘 말해준다.
十三年 春 民饑 賣子孫自活。
13년(821년) 봄에 백성들이 굶주려, 자손을 팔아 생활하는 경우도 있었다. - 《삼국사기》
그나마 업적이라고 할 만한 것은 당시 융성하던 발해를 견제하기 위해 북방에 장성을 축조하고 북방영토를 개척한 것 정도.
《삼국사기》 지리지에 의하면 이 무렵에 신라의 북방 개척이
진행되어 오늘날의 황해도 북부와 평안남도 남부 일대에 군현이 설치되었다. 당시 발해의 국왕은 발해 중흥의 명군인 선왕
대인수였다. 당나라와 발해가 중흥의 명군들이 다스리던 때에 비해
심히 암울하다. 물론 천재지변이란 건 답이 없지만 그가 왕으로서 보여준 모습 또한 그리 적절치는 못했다.
결국 암군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비슷한 유형의 인물들인 고려의 숙종이나 조선의 세조와 비교해도 왕으로서의 능력이 심히 떨어지고 업적도 적다는 건 부정하기 힘들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7%8C%EB%8D%95%EC%99%95?action= edit§ion=4)]
4. 삼국사기 기록 ¶
一年秋七月 헌덕왕의 가계와 즉위 과정
一年秋七月 김숭빈을 상대등으로 삼다
一年秋八月 대사면을 하다
一年秋八月 김창남을 당에 보내 책봉을 받다
二年春一月 양종을 시중으로 삼다
二年春一月 하서주에서 붉은 까마귀를 바치다
二年春二月 왕이 친히 신궁에 제사지내다
二年春二月 국내의 제방을 수리하다
二年秋七月 유성이 자미원에 들어가다
二年秋七月 서원경에서 흰 꿩을 진상하다
二年冬十月 김헌장을 당에 보내 공물을 바치고 순종의 복을 기원하다
二年冬十月 유성이 왕량에 들어가다
三年春一月 원흥을 시중으로 삼다
三年春二月 웅원을 완산주 도독으로 삼다
三年夏四月 처음으로 평의전에서 정사를 돌보다
四年 균정을 시중으로 삼다
四年 충영에게 궤장을 하사하다
四年秋九月 숭정을 발해에 사신으로 보내다
五年春一月 헌창을 무진주 도독으로 삼다
五年春二月 시조묘를 배알하다
五年春二月 현덕문이 불타다
六年春三月 숭례전에서 연회를 베풀다
六年夏五月 나라 서쪽에 홍수가 나 인민을 위로하고 조세를 면제하다
六年秋八月 바람과 안개로 인해 밤과 같았다
六年秋八月 헌창을 시중으로 삼다
六年冬十月 검모의 처가 한 번에 아들 셋을 낳다
七年春一月 당에 사신을 보내다
七年夏五月 눈이 내리다
七年秋八月一日 일식이 일어나다
七年秋八月 서쪽 변경에서 기근으로 인한 도적 봉기가 있어 군대를 보내 토벌하다
七年秋八月 큰 별이 익성과 진성 사이에서 나와 경성을 향하다
八年春一月 헌창이 청주 도독이 되고 장여가 시중이 되다
八年 기근이 들어 절강 동쪽에서 식량을 구하는 백성이 170명이나 되다
八年 한산주 당은현에서 돌이 100여 보를 움직이다
八年夏六月 망덕사의 두 탑이 부딪치다
九年春一月 김충공을 시중으로 삼다
九年夏五月 비가 오지 않아 산천에 비를 빌자 7월에 비가 오다
九年冬十月 굶어죽는 사람이 많아 구휼하다
九年冬十月 왕자 김장렴을 당에 보내 조공하다
十年夏六月一日 일식이 일어나다
十一年春一月 진원에게 궤장을 하사하고, 병이 든 헌정에게 70세가 되지 않았으나 지팡이를 하사하다
十一年春二月 상대등 김숭빈이 죽어 김수종을 상대등으로 삼다
十一年春三月 초적이 일어나 도독과 태수에게 잡도록 명하다
十一年秋七月 당의 이사도가 반역을 일으켜, 신라가 3만의 토벌군을 파병하다
十二年 봄 여름에 가물어 겨울이 기근이 들다
十二年冬十一月 당에 사신을 보내다
十三年 기근으로 자손을 팔다
十三年夏四月 시중 김충공이 죽어 영공이 시중이 되다
十三年夏四月 헌창이 웅천주 도독이 되다
十三年秋七月 패강 남천의 두 돌이 부딪히다
十三年冬十二月二十九日 큰 천둥이 치다
十四年春一月 동모제 수종을 부군으로 삼아 입궁시키다
十四年春二月 눈이 5척이나 내리고 나무들이 말라죽다
十四年春三月 헌창이 반란을 일으키다
十四年春三月十八日 김헌창 난의 진압 과정과 진압 후의 논공행상
十四年 김헌창 난에 앞서, 청주에 헌창이 패망할 징조로 기이한 새가 나타나다
十四年春三月 충공의 딸을 태자비로 삼다
十四年春三月 쓰러진 나무에서 움이 나다
十四年夏四月十三日 달빛이 핏빛이 되다
十四年秋七月十二日 검은 해무리가 생기다
十四年冬十二月 주필을 당에 보내 조공하다
十五年春一月五日 하늘에서 벌레가 떨어지고 눈을 맞으면서 다니다 햇볕을 보고 죽다
十五年春一月 원순과 평원 두 각간에게 궤장을 하사하다
十五年春二月 수성군과 당은현을 합하다
十五年夏四月十二日 유성이 나타나다
十五年秋七月 눈이 오다
十七年春一月 헌창의 아들 범문이 반란을 일으키려 하다 주살되다
十七年春三月 무진주에서 머리 2, 몸 2, 어깨 4의 아이가 태어나다
十七年夏五月 김흔을 당에 보내 조공하고, 12명을 숙위하게 하다
十七年 삽량주에서 흰 까마귀를 바치다
十七年 황지의 처가 한 번에 아들 둘 딸 둘을 낳다
十八年秋七月 백영에게 패강장성을 축성케 하다
十八年冬十月 왕이 붕어하다
보면 알겠지만 재위기간 내내 기근 등의 천재지변과 불길한 흉조가 이어지고 있다. 중간중간 일어나는 김헌창 계열 귀족들의 반란은 덤.
\----
[1]
《삼국사기》신라 본기에는 "옛 기록(古記)에는 826년 4월, 《신당서》에는 825년에 죽었다고 기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자치통감》과 《구당서》에는 모두 831년에 죽었다고 기록 되었지만 이 기록들이 잘못 된것이 아닌가 생각된다."라고 되어 있다.[2]
혹은 강주康州. 지금의 진주를 중심으로 한 경남 서부[3]
북부 경기도나 심지어는 대동강인근으로 추정되는 신라 북쪽의 군진, 한주 다음가는 신라의 군사 요충지로 추정된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 출제되었을 때에는 패강진을 대동강 유역으로 묘사했다.[4]
6년(814년) 봄 3월에 숭례전(崇禮殿)에서 신하들에게 연회를 베풀어 주었다. 즐거움에 극에 달하자 왕이 거문고를 타고, 이찬 충영 (忠榮)이 춤을 추었다. - 《삼국사기》 헌덕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