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89 lines (54 loc) · 8.88 KB

현대물.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89 lines (54 loc) · 8.88 KB

양판소장르 한 가지.

Contents

  1. 개요
  2. 내용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8%84%EB%8C%80%EB%AC%BC?action= edit&section=1)]

1. 개요 ¶

보통 책에 표기하는 장르명은 '현대 판타지'다. 현대를 배경으로 했으나 어반판타지를 기대하고 봤다가 피를 한 바가지 토한다. 오직 대리 만족형 장르다. 현대를 살아가는 인물이 무협지무공이나 판타지 소설마법 같은 힘을 얻어서 그 힘으로 사회 정의를 구현하거나, 돈을 벌거나 사회적으로 지위를 얻는 작품이다. 사실 깽판을 치거나.

이원호김진명의 소설처럼 주로 성인들의 대리 만족을 목적으로 하기에 3, 40대 성인 주인공이 현대물의 주인공이 되는 경우가 많다. 한마디로 쌈마이. 부진한데다 말라붙고 썩어 죽어가는 시장이지만 10년 가량 이어지다 보니 10대, 20대였던 독자들이 나이를 먹어 사회인이 되었고, 그에 맞춰 주인공들 연령대가 높아진 것.

이렇다 해도 2012년 전후한 현 양판소 시장의 대세는 현대물이 꽉 쥐고 있다. 원래 현대물 등장 초기만 해도 유행은 잠시일 뿐 금새 사라질 거라고 예상하곤 했는데, 희한하게 수명이 길어지고 있다.

본격적 판타지는 반 이하로 줄고 무협은 그나마 지지층 덕분에 유지중이지만 현대물은 야금야금 세력을 넓혀가는 중. 대여점 수가 줄어들면서 양판소 출판 시장 자체가 줄어든 것을 생각하면 기이할 정도로 끈질긴 생명력이다. 도서대여점에서라도 빌려보는 주 독자층이 더이상 중고딩 계급이 아니라 현대물 주인공처럼 20~30대 전후로 사회의 쓴 맛을 좀 보고 대리만족이라도 느끼려는 계층으로 옮겨가서인것 같다.

그렇다보니 좀 네임밸류 있는 작가들조차 현대물에 손대보는 경향이 슬슬 생기고 있다. 조진행 작가의 후아유, 우각 작가의 명왕신세기전 같은 것이 그 예.

이차원용병, 전능의 팔찌, 후아유, 60억분의 1, 개천에서 용났다, 일식이가 간다 등이 여기에 속한다.

최근에는 현대에 등장한 괴물들을 사냥하고 괴물들로부터 나온 부산물들을 팔아치우는 레이드물이라는 하위장르까지 생겼다. 그리고 갑질물이라고 남들위에 올라 소위 갑질을 하는 물건까지 생겨났다. 그래봤자 뭐해 불쏘시개인데 하지만 지금 독자들이 이런 소설만 주구장창 밀어주잖아? 안될거야아마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98%84%EB%8C%80%EB%AC%BC?action= edit&section=2)]

2. 내용 ¶

  • 발단

    • 빙의물의 형식을 빌어 무협이나 판타지 세계의 인물이 현대의 어떤 인물의 몸으로 환생한다. 무협 고수나 이계의 인물이 시공간을 넘어 현대 인물의 몸으로 빙의되는 전개가 나오기도 한다.[1] 이세계 드래곤도 넒게 보면 현대물이다.
    • 현대의 인물이 다른 세계에서 건너온, 혹은 고대의 잊혀진 유적을 발견하여 마법이나 무공 아니면[2] 외계인의 최첨단 기술력을 얻어 먼치킨이 된다.
    • 현대 레이드물: 현실 세계에 갑자기 괴생명체나 위와 다를 것 없는 수준의 이세계의 침공이 발생하자 군은 현대무기가 안 통했다는 식으로 졸개화하여 탈탈 털리고[3] 소수의 능력자들이 생겨남.[4] 당연하지만 주인공은 이 소수중 한명이며 이들은 마법 그 자체나 마법, 혹은 무공스러운 초능력으로 레이드를 다닌다. 적들과 주인공 진영인 능력자들은 대개 등급 비슷한 것으로 강함이 분류된다.[5] 또한, 몬스터(괴생명체)들은 거의 무조건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신비한 광물을 떨어뜨리며 이 광물은 에너지 자원을 대체할 수 있어 높은 가격으로 거래된다는 설정이 붙는다.
    • 회귀물과 엮여서 주인공이 과거로 돌아가기도 한다. 그리고 주식을 한다
    • 겜판소와 엮이기도 하는데 이 같은 경우는 두가지 부류로 나뉘어진다. 하나는 겜판소의 기본 정의대로 주인공이 가상현실 게임을 하는것, 다른 하나는 현실 세계가 게임처럼 되어서 주인공의 눈에 사람들의 능력치가 보이거나 하는것이다. 판타지 소설은 아니지만 후자의 경우, 웹툰인 더 게이머가 있다.
  • 내용

    • 조폭물과 얽히기도 한다. 하지만 실상 조폭들은 전투력 측정기일뿐.
    • 정치가 혹은 유력가(드래곤)의 지원, 무공이나 마법의 습득(기연), 주인공에게 호감을 갖는 연예인이나 미녀들(하렘)등등으로 배경만 현대지 실상은 중세 판타지를 배경으로 한 양판소와 다를바 없다.
    • 주인공에게 동생이 있으면 반드시 여동생이며, 여동생이 있으면 반드시 미녀라는 설정이다. 99%는 해당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 민족주의, 애국주의나 환독오른 환빠스러운 내용이 들어가있기도 한다.
    • 또 다른 특징으로는 공감팔이인지 현 사회의 이슈를 반영한듯한 소재들을 쓴다는건데, 대개 양판소가 그렇듯이 순수문학들에서만큼의 고발이나 깊이 정도는 기대하기 어렵다. 오히려 이런 경우 출판 후 1년만 지나도 독자들이 못 알아먹기 때문에 역효과만 난다.[6] 제대로 알고 쓰는 것도 아니라서, 출자전환순환출자같은 것도 구분하지 못하고 쓰는 경우가 많다. '엔하그룹 출자전환 구조의 중심인 엔하중공업을 개미들의 힘으로 엎었다'라거나
    • 쉽게말해 기존의 양판소들에 현대배경 스킨만 씌운 형태의 장르이다.

\----

  • [1] 성진의 '더 마스터'에서는 1만년 넘은 드래곤과 100살 무림인이 현대 주인공의 정신속에서 우연히 만난다. 이들은 서로 다투다 승부가 안나 마법과 무공의 우월성을 가리기 위해 주인공을 키워주기로 한다. 그런데... 아무리 그래도 1만살 넘은 드래곤이 100살 무림인을 못 이겨?! 헛살았나보지
  • [2] 어반 판타지처럼 다채롭고 개성있는 능력자들이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중세시대 배경 양판소와 다를바 없이 무공과 마법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시대에 맞지 않는 괴리감에 촌스럽다. 의화단
  • [3] 대부분 실드 같은 것이 괴생명체를 둘러싸고 있어 공격이 안 먹힌다는 설정을 쓴다. AT필드?
  • [4] 아래의 겜판소 요소가 섞이는 경우도 많다. 여기서 두 부류로 나뉘는데 신 같은 존재가 개입하여 자동으로 스탯창이나 스킬이 생긴다거나 아니면 정부 쪽에서 기준을 만들어 능력자들의 수준을 나눈다. 겜판소 요소를 차용하는 것은 아무래도 설정이나 강약의 수준을 쉽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인 듯. 게임 자체가 요즘 독자들에게 익숙한 것도 있고.
  • [5] 겜판소 요소를 차용한 경우, 레벨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 [6] 사실 양판소만의 문제가 아니나 순수문학은 공부해서 보기라도 하지 양판소는 그렇지도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