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전국 공영차고지 분포
2.1. 서울특별시
2.2. 부산광역시
2.3. 인천광역시
2.4. 대구광역시
2.5. 대전광역시
2.6. 광주광역시
2.7. 울산광역시
2.8. 강원도
2.9. 경기도
2.10. 경상남도
2.11. 경상북도
2.12. 전라남도
2.13. 전라북도
2.14. 제주특별자치도
2.15. 충청남도
2.16. 충청북도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1)]
버스 회사들끼리 공동으로 버스들을 주박시키는 구역으로 철도로 치면 차량기지 역할이다. **님비현상**의 대표적인 폐해이다.
본래 1990년대 개인 자가용이 대폭 보급되기 전에는 핌피현상까지는 아니더라도 오히려 환영받는 시설이었다. 공영차고지가 가깝다는 말은 곧 시내버스 노선이 많다는 뜻이었고 그만큼 교통이 편리하다는 뜻이었다. 하지만 자가용의 급증으로 버스의 이용객이 감소하게 되고 소음 문제 등의 여러 단점이 부각되기 시작되면서 오히려 괄시받는 시설이 되었다.
서울특별시,
경기도 등 일부 지역의 경우 버스 회사들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주민들이 땅값
때문에 님비 행위를 하기 때문에 부족하다. 님비 사유 중 하나가 CNG(천연가스로 압축천연가스(Compressed Natural Gas)의
약자이다.)충전소의 폭발 위험인데 실제로는 도시가스를 압축 분해해서 만든 가스이기 때문에 크게 위험하지는 않다.[1]
여담이지만
광명(하안동)공영차고지의 경우는 차고지 설립 전이나 후나 용도가 변한 게 거의 없다. 구
한성운수 차고지는 현재 주차장으로 구
보영운수 차고지는 자동차 등록사무소로 쓰고 있다. 결국
관할 지자체에서 주로 시가지와는 거리를 둔 외진 곳에 하나의 공영차고지를 만들고, 거기에 버스 회사들을 한 곳에 모으게 된다.
물론 공영차고지가 없는 지역의 경우 버스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마련한 차고지를 이용하지만 차고지를 마련할 수 없을 정도로 상황이 열악한
경우에는 시외버스터미널과 같은 버스터미널을 차고지로 쓰는 경우도
다반사다.[2]
보통 공영차고지 안에는 버스를 주차시킬 수 있는 시설과 정비시설, 세차시설, 주유소, CNG충전소 등이 있다. 보통 버스 종점과 함께 차고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그렇지 않은 곳도 많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에 있는 영통회차장(영통공영차고지)은 시가지 한복판에 공영차고지가
있는 특이한 경우인데, 사실 영통회차장이 조성될 당시에는 그 곳이 수원시의
외곽 미개발 지역이었으나 영통, 신영통 등이 개발되면서 주변에 아파트가 들어서 시가지 한복판으로 변하게 된 것이다. 그러다 보니 천연가스
충전소 바로 옆에 아파트가 있는, 다른 곳에서는 상상조차 하기 힘든 모습을 볼 수 있다. 지금은 코앞에
분당선
망포역까지 있는 환승 거점이 되버려서 주민들의 항의는 많지 않다.
이 동네와 저동네하곤 완전 딴판 다만 장기적으로 이전 계획이
잡혀있다.
주로 버스 동호인들에게 주요 출사지이며, 여기에서는 버스의 다양한 진풍경도 볼 수 있다고 한다. 2개 이상의 버스 업체가 모여 있는 곳이다 보니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수가 상당해서, 차량 운행이 뜸한 휴일의 공영차고지를 보면 수십에서 백여 대가 넘는 버스들이 주차되어 있는 ㅎㄷㄷ한 광경을 볼 수 있다.
부산광역시의 경우, 천연가스 충전 등 여러
문제로 인해 공영차고지를 지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의견 충돌이 있었다가[3]
우여곡절 끝에 2012년 5월 5일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에
부산광역시 최초의 공영차고지가 조성되었다.
버스 회사들의 경영 상태 개선을 위해 공영차고지를 만드는 경우도 있다. 창원시가 그 예로, 공영차고지를 조성한 다음 기존 회사 차고지 부지를 팔아 매각 대금으로 부채를 탕감한다는 계획.
굳이 단순한 입출고 외에도 공영 차고지에서는 시내버스 이외의 전세버스 등의 차량 안전검사를 수행하기도 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2)]
주의 : 지자체에서 조성한 공영차고지가 아닌 곳(업체 차고지나 CNG충전소 등)은 기재하지 마시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3)]
2.1. 서울특별시 ¶
-
탄천공영차고지 - 강남구 삼성동 186-6
- 사실은 그냥 탄천 옆에 만든 주차장에다가 버스 세울 곳 몇 개 만든 것이다(…). 4434번과 41번이 여기서 회차했지만, 이후 242번으로 통합되면서 현재 이 곳에는 시내버스가 없다. 강남01번 마을버스가 운행 종료 후 여기서 주박한다.
-
강동공영차고지 - 강동구 아리수로 426 (강일동 565-4)
- 입주업체 : 대원여객, 서울승합, 강동교통(마을), 신명운수(마을)
-
강서공영차고지 - 강서구 개화동로8길 17 (개화동 663)
- 입주업체 : 다모아자동차(강서영업소), 공항버스, 정평운수, 대운교통(마을), 새한교통(마을), 홍도산업(마을)
-
난곡공영차고지 - 관악구 난곡로 93 (신림동 678-3)
[4]
- 입주업체 : 보성운수, 세광운수(마을), 오케이버스(난곡영업소)
-
도봉공영차고지 - 도봉구 도봉로 961 (도봉동 341-1)
- 입주업체 : 서울교통네트웍, 한국brt(도봉영업소), 오렌지버스(마을), 진양운수(마을)
-
상암공영차고지 - 마포구 가양대로 117 (상암동 1667)
- 입주업체 : 다모아자동차(본사)
[5]
- 입주업체 : 다모아자동차(본사)
-
염곡공영차고지 - 서초구 양재대로 254 (염곡동 300-1)
- 입주업체 : 대흥교통, 삼성여객, 선흥상운(마을)
- 이 곳이 공영차고지가 되기 전까지 4권역에 공영차고지가 없었다. 장지동차고지와 송파(복정역)차고지가 4권역 지역 노선의 공영차고지를 겸했다. 본래 삼성여객 소유였으나 2013년 9월경 서초구 관내 공영차고지 신설을 위해 서울특별시에서 800~900억 원을 들여 매입, 공영차고지로 전환된 상태다. 당시 서울특별시의 재정난 때문에 이 매입건이 굉장히 논란을 빚었다. 2014년 대흥교통이 마장동을 떠나 이 차고지에 입주했으며 서초구 마을버스 업체인 선흥상운(서울 버스 서초21 운행)도 이 차고지를 사용 중이다. 2004년 노선 개편 직전까지 서울버스가 이 차고지를 사용한 바 있으며 더 이전에는 아진교통도 입주한 적이 있었다(개편 전 없어진 구 17번 좌석버스 운행).
-
송파공영차고지 - 송파구 헌릉로 869 (장지동 579)
- 입주업체 : 남성교통, 대성운수, 한서교통, 한국brt(본사), 태진운수(송파영업소)
-
장지공영차고지 - 송파구 충민로6길 61-29 (장지동 862)
- 입주업체 : 서울버스, 진화운수
-
양천공영차고지 - 양천구 신정로7길 17 (신정동 1312)
- 입주업체 :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오케이버스(본사), 한빛운수(마을)
-
은평공영차고지 - 은평구 수색로24길 19 (수색동 414-1)
- 입주업체 : 보광교통, 원버스, 유성운수, 선진운수(은평영업소)
-
진관공영차고지 - 은평구 진관동 78-8
- 입주업체 : 제일여객, 한국brt(진관영업소), 신성교통
-
중랑공영차고지 - 중랑구 신내역로 25 (신내동 63)
- 입주업체 :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용림교통, 상진운수(중랑영업소), 북부운수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4)]
2.2. 부산광역시 ¶
-
동부산공영차고지 -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416)
- 입주업체 : 부산여객, 부일여객, 세익여객, 일광여객, 해동여객(기장영업소)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5)]
2.3. 인천광역시 ¶
-
장수공영차고지 - 남동구 수현로 9 (장수동 411)
- 입주업체 : 삼환여객
-
송도공영차고지 - 연수구 아카데미로51번길 42 (송도동 13-44)
- 입주업체 : 대인교통, 인천교통공사, 천지교통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6)]
2.4. 대구광역시 ¶
-
대곡공영차고지 - 달서구 한실로 10 (대곡동 411)
-
대천공영차고지 - 달서구 달서대로 117 (대천동 759)
[6]
- 입주업체 : 대명교통, 세운버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중정비 기지인 월배차량기지사업소와 마주보고 있으며 2006년에 개장했다. 그러나 이 차고지에는 CNG 충전소가 없기 때문에 대곡공영차고지로 이동하여 충전해야 한다.
-
동호공영차고지 - 동구 경안로 700 (동호동 206-8)
-
방촌공영차고지 - 동구 둔산로40길 18 (방촌동 27-16)
-
봉무공영차고지 - 동구 팔공로 400 (봉무동 126-1)
-
관음공영차고지 - 북구 관음로 127 (관음동 354)
-
범물공영차고지(2015년 말 완공 예정) - 수성구 범안로 98 (범물동 1290)- 입주업체 : 신진자동차, 현대교통
- 범물용지4단지아파트 앞에 있으며 구내에는 CNG충전소가 없지만 관계삼거리에서 무학네거리 방향으로 200m 건너편에 범물CNG충전소가 있다. 사실상 공영차고지 역할을 하고 있지만 현 범물1동 차고지는 임차 차고지이며 토지 주인은 대구도시공사. 대구도시공사에서 계속 차고지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가 어떻게 합의가 됐는지 2015년 3월에 착공하여 연말까지 조성하기로 했다.
-
매곡공영차고지 - 달성군 다사읍 달구벌대로 701-45 (매곡리 1112)
- 입주업체 : 없음
[8]
- 낙동강 인근 매곡리에서 하빈면으로 가는 길목에 있으며 2005년에 개장했다. 가스 충전소도 있다.
- 입주업체 : 없음
-
금호공영차고지(조성 예정) - 북구 사수동 -
유곡공영차고지(2015년 말 완공 예정) - 달성군 유가면 유곡리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7)]
2.5. 대전광역시 ¶
-
낭월공영차고지 - 동구 금산로 471 (구도동 81)
- 입주업체 : 산호교통, 선진교통
-
원내공영차고지 - 유성구 계백로801번길 31 (원내동 461)
- 입주업체 : 경익운수
-
신대공영차고지 - 대덕구 신탄진로315번길 72 (신대동 4-1)
- 입주업체 : 선진여객, 충진교통, 한일버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8)]
2.6. 광주광역시 ¶
-
용산공영차고지 - 동구 용산동 343
- 입주업체 : 없음
-
월남공영차고지 - 동구 남문로 333 (월남동 177)
- 입주업체 : 동화운수
-
첨단공영차고지 - 북구 불태3로 3 (월출동 695-9)
- 입주업체 : 천일버스
-
장등공영차고지 - 북구 장운길 55 (장등동 858-3)
- 입주업체 : 대창운수(제2차고지)
-
매월공영차고지 - 서구 불암길 154 (매월동 373-1)
- 입주업체 : 없음
-
세하공영차고지 - 서구 눌재로 470 (세하동 385-1)
- 입주업체 : 없음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9)]
2.7. 울산광역시 ¶
-
꽃바위공영차고지 - 동구 문현로 120 (방어동 1039)
- 입주업체 : 학성버스
-
농소공영차고지 - 북구 호계로 80 (창평동 813-3)
- 입주업체 : 대우여객, 유진버스, 한성교통
-
율리공영차고지 - 울주군 청량면 웅촌로 1263 (율리 139-8)
- 입주업체 : 남성여객, 신도여객, 울산여객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10)]
2.8. 강원도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11)]
2.9. 경기도 ¶
-
고양공영차고지 - 고양시 일산서구 대수길 105 (대화동 2328)
- 입주업체 : 고양교통
-
광명공영차고지 - 광명시 범안로 966 (하안동 314)
- 입주업체 : 보영운수, 한성운수
- 특이하게도 광명시 면허 버스회사인 화영운수 버스는 하나도 없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들만 모여 있다. 광명 시내에 산재해 있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의 여럿 차고지를 하나로 통합한 것이 지금의 하안동 광명공영차고지이기 때문.
-
군포공영차고지 - 군포시 번영로 179-46 (부곡동 773-3)
-
부곡공영차고지 - 군포시 송부로 153 (부곡동 881-1)
- 입주업체 :
-
고강공영차고지 - 부천시 오정구 봉오대로556번길 26 (고강동 597)
- 입주업체 : 도원교통, 청우운수
-
부천공영차고지 - 부천시 오정구 벌말로 43 (대장동 688)
- 입주업체 : 도원교통, 부천버스, 성광운수
-
사송공영차고지 - 성남시 수정구 사송로 41 (사송동 279)
- 입주업체 : 경기고속, 광성마을버스(마을), 분당마을버스(마을)
-
남부공영차고지 - 수원시 권선구 동수원로 22 (곡반정동 611)
- 입주업체 :
-
서부공영차고지 - 수원시 권선구 호매실동 1407
- 입주업체 :
-
영통공영차고지 - 수원시 영통구 영통로200번길 1 (영통동 980-2)
- 입주업체 : 성우운수
-
북부공영차고지 -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1220번길 46 (파장동 23-5)
- 입주업체 :
- 속칭 이목동차고지. 특이하게 서울 441번이 충전하러 의왕시 고천동에서 온다.
-
능곡공영차고지 - 시흥시 시흥대로 260 (능곡동 809-1)
- 입주업체 :
-
안양공영차고지 - 안양시 만안구 일직로 119 (석수동 555-7)
- 입주업체 : 삼영운수,보영운수,평촌운수(마을),편안운수(마을),동안운수(마을),신안운수(마을), 만안운수(마을)
- 사실상 삼영운수만 사용하며, 몇몇 마을버스도 주박용 차고지로 쓴다. KTX 광명역 인근에 있다.
-
의왕공영차고지 - 의왕시 왕소나무길 29-15 (월암동 602-2)
- 입주업체 :
- 본명보다는 소재지 이름을 따 월암공영차고지로 더 많이 불린다. 근방 도로 확장 사업도 월암공영차고지 주변 도로 확장 사업이다. 2013년에 완공되었으나 주변 도로 사정으로 이용하는 버스가 없다. 다만 위에서 말했듯이 주변 도로 확장 사업은 2014년 8월에
서야삽을 떴다. 코앞이 수원이라 그런지 의왕 시민보다는 수원시 입북동 주민들이 (안양 진출을 위해?) 더 관심을 가지는 것 같다.
-
하남공영차고지 - 하남시 하남대로284번길 45 (상산곡동 46)
- 입주업체 : 경기상운, 천지운수, 은방울교통(마을), 하남교통(마을)
-
동탄공영차고지 - 화성시 10용사로 636 (반송동 240)
- 입주업체 : 수원여객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12)]
2.10. 경상남도 ¶
-
김해공영차고지 - 김해시 골든루트로66번길 143 (풍유동 766-4)
- 입주업체 : 가야IBS, 동부교통
- 추가바람
존재감이 없는 관계로... 입주는 했으나 공영차고지 내부에 가스충전소가 없어 충전소간 공차회송 충전거리의 이격이 매우 길어졌으니 여전히 업체에서 기피중
-
웅상공영차고지 - 양산시 웅상대로 1510 (용당동 730)
- 입주업체 : 삼신교통(서창영업소), 푸른교통, 웅진교통(마을)
- 7289㎡ 크기에 주차대수중 64대(시내버스)와 15대(마을버스)까지 갖춰진 규모의 차고지가 조성하여 2015년 2월 4일에 완공된 양산시의 공영차고지이다. 내부에 cng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
남부공영차고지 - 진주시 내동면 내동로 170 (신율리 492)
- 입주업체 : 진주시민버스
-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대비하고 시내버스의 차고와 회차지로 사용하기 위해 2009년 1월 63억여 원을 들여 내동면 신율리 일대 2만 17㎡에 남부권 공영차고지 공사를 시작, 이듬해인 2010년 8월 공영차고지를 준공했다. 하지만 위에 기재된 창원처럼 공차 운행으로 인한 연료낭비로 인해 업체들의 기피로 2년 넘게 방치가 되어 있었으나 2012년 중순부터 입주를 완료하여 정상적으로 가동중이다.
경남지역 업체들은 공영차고지를 싫어하는가 봅니다기타정보는추가바람
-
덕동공영차고지 -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로 252 (덕동동 838)
- 입주업체 : 대중교통
- 조성이 완료되었지만 월영아파트 종점과 7km 떨어져 있어 공차 운행으로 인한 연료낭비로 인해 업체들의 기피로 입주가 되지 않고 있었다가, 2014년 1월 대중교통이 이 차고지에 입주했다. 공영차고지 내부에 CNG덕동충전소가 설치됨에 따라 2014년 11월 21일 부터는 마산↔진해 노선(160번, 163번, 164번, 860번)과 마산지선(250번, 251번, 252번, 253번, 254번, 255번, 257번, 258번, 259번, 262번)노선의 기/종점이 덕동공영차고지로 변경이 되었다. 내부에 CNG덕동충전소가 설치 되기 전에는 약5km떨어진 CNG가포충전소와 마인버스 차고지에 있는CNG그린창원충전소를 이용했다.
차고지에 입주가 완료 되어도 마인버스는 차고지 내부의 충전소 때문에 이전을 안한다 카더라
-
성주공영차고지 - 창원시 성산구 불모산로48번길 5 (성주동 181)
-
양산공영차고지 - 양산시 물금읍 증산리 95-3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13)]
2.11. 경상북도 ¶
-
구미공영차고지 - 구미시 선기로 155 (선기동 747-33)
- 입주업체 : 구미버스, 일선교통
- 남통E편한세상아파트 인근에 있는 구미시의 유일한 공영차고지로 구미시 시내버스의 거의 모든 노선은 이 차고지에서 출발하고 종착한다. CNG 충전은 구미CNG충전소에서 하는데 봉곡네거리에 있으며 2007년 개장했다.
-
포항문덕차고지 - 포항시 남구 오천읍 문덕리 1188-414외
- 입주업체 : 신안여객
- 자세한 내용은 신안여객 참고.
-
포항양덕차고지 - 포항시 북구 새천년대로 1415 (양덕동 137)
- 입주업체 : 신안여객
- 차고지 내부에 CNG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102번(문덕↔양덕) 노선은 문덕차고지 소속이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14)]
2.12. 전라남도 ¶
-
대안공영차고지 - 순천시 해룡면 대안길 4 (대안리 840-2)
- 입주업체 : 동신교통
-
신월공영차고지 - 여수시 신월로 319 (신월동 1240-17)
- 입주업체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15)]
2.13. 전라북도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16)]
2.14. 제주특별자치도 ¶
-
서귀포공영차고지 - 서귀포시 토평공단로 20 (토평동 1768-1)
- 입주업체 : 서귀포공영버스
-
제주공영차고지 - 제주시 수목원서길 17 (노형동 568)
- 입주업체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17)]
2.15. 충청남도 ¶
-
공주공영차고지 - 공주시 의당로 114-16 (금흥동 418)
- 입주업체 : 삼흥고속, 시민교통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3%B5%EC%98%81%20%EC%B0%A8%EA%B 3%A0%EC%A7%80?action=edit§ion=18)]
2.16. 충청북도 ¶
\----
[1]
공영 차고지의 사례는 아니지만, 쌍문1동에 위치한 동아운수 정비소(옛 동북운수 자리)에 충전소를 지으려 할 때 주민들이 이 위험성을 부풀려서 충전소 건설을 막으려다가 오히려 역풍을 맞은 사례가 있다. 물론 충전소는 정상적으로 건설되었다.[2]
다만 버스 터미널을 이용한다고 해서 무조건 회사 사정이 안 좋은 것은 아니다. 버스 회사가 아예 버스 터미널을 운영해서 차고지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신성교통과 문산터미널이 대표적이다.[3]
특히 부산광역시의 경우 충전소 문제로 천연가스버스 도입이 늦어진 회사가 한둘이 아니라 더더욱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당장 삼진여객만 봐도 2010년에야 처음으로 천연가스버스를 투입했다.[4]
원래 한남운수의 차고지였는데 난곡경전철 차량기지로 사용하려고 했다가 난곡경전철이 흑역사에 빠지면서 공영차고지로 전환됬다. 또한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공영차고지 중 유일하게 천연가스 충전소가 없다.[5]
말만 공영차고지일 뿐 다모아자동차만 들어와 있다(남쪽 시경계 넘어가면 신촌교통 차고지가 있다). 일부 회사들은 월드컵파크7단지에서 운행을 끝낸 뒤 이 차고지로 와서 천연가스를 충전하러 온다.[6]
유천동시내버스공영차고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유는 남쪽에 유천교가 있고 대천동 옆 동네가 유천동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행정동은 서로 다른데 대천동은 월성1동, 유천동은 진천동 산하에 있다.[7]
칠곡3번 파계사행과 팔공3번이 다니는 코스. 금암리차고지에서 파계사까지 공차거리가 10km다.[8]
여기에 입주한 시내버스 회사가 없는 이유는 바로 옆에 매곡정수사업소가 있어서 상수원 오염을 우려한 대구광역시에서 시내버스 회사를 입주시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곡리공영차고지는 순수한 회차지 용도로만 이용 중이다. 같은 이유로 가창면에 가창공영차고지를 신설하려 했으나, 무산되고 대신 만든 게 관음동공영차고지이다. 대신 우록리로 들어가는 입구에 세왕교통 차고지가 있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