同名交通 東明交通
- 개요
- 운행 노선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F%99%EB%AA%85%EA%B5%90%ED%86%B 5?action=edit§ion=1)]
대구광역시의 버스회사로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동석4길 11(금암리)에 있다.[1]
1979년 11월 22일
시내버스 운송 면허를 취득하여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서 설립하였다.
원래는 60대 정도를 보유한 회사로 추정되나, 1990년대에 극동버스, 일신교통에서 많은 차량을 받아서 보유대수 95대(예비차 포함)로 규모가 급격하게 커졌고 2001년에 경영난을 겪고 있었던 광남자동차에서 5대를 받아 보유대수 100대를 채웠다. 하지만 2006년 준공영제를 시행하면서 8대가 감차된 상태.
경상북도 칠곡군, 파계사 일대로 운행하는 시내버스들이 천연가스 충전을 위해 동명교통 차고지에 있는 가스 충전소를 많이 이용하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외에도 구미역으로 가는 구미 시내버스 노선인 61번도 동명교통을 종점으로 하고 있다. 경북교통 사장과 동명교통 사장과는 형제 사이로 알려져 있다. 칠곡3번 경운대학교행 한정으로 경상북도 구미시에 들어가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회사이기도 하다.
이 회사는 급행용 예비차량과 일반버스 예비차량을 철저히 구분하기 때문에, 급행3번용 예비차량도 스티킹된 상용차량처럼 다닌다(고정예비차). 따라서 급행도색 예비차량이 427번같은 노선들의 예비행선판을 달고 운행할 일은 100% 없다.
저상버스는 북구4번에 투입되는 2대를 제외하고 모두 427번에 몰빵하고 있다. 다른 노선들에는 저상버스 투입이 아예 안 된다.
그리고 2013년...
새로 신차를 투입했는데 후면 행선판이 2006년 개편 전 구 행선판이다! [2]
그것도 기존 것의 재활용이 아닌 새로 제작해서 붙인 것[3]
이라고
한다.부성여객 닮아가나...
특히 726번에 투입 중인 2695호[4]
는 2001년 이전에 제작된 행선판[5]
이 달려 있다.
칠곡3번에 투입 중인 2612호는 정규차량이지만 뒷면 행선판이 2006년 개편 당시의 예비행선판이다.
2000년 1월 22일 대구 도시철도2호선 신남역(당시에는 서문시장역) 공사 중 공사장이
붕괴되어 이 회사의 601번(현 600번) BS106 좌석버스 차량[6]
이 신남네거리에서 좌회전을 받으러 대기하던 도중 추락하여 승객
3명이 매몰사한 사건이 있었다. 대기하던 차량의 뒷 엔진 쪽으로 붕괴되어 차량이 추락하는 바람에 승객들이 숨졌고, 운전기사는
생존했다.[7]
이 사고로 신남네거리에서 반고개 방향의 직진이 전면 통제되는 바람에 몇몇 노선들은 신남네거리에서 중부소방서 방향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계명네거리로 우회해야 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F%99%EB%AA%85%EA%B5%90%ED%86%B 5?action=edit§ion=2)]
모두 92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볼드**는 주력 노선을 말한다.
- 급행3번 17대
- 427번 25대(저상버스 9대 포함)
- 726번 12대 - 대명교통과 공배
- 730번 17대
- 북구4번 - 4대(저상버스 2대 포함)
- 칠곡2번 8대
- 칠곡3번 4대
- 팔공3번 2대
[8]
- 영진교통과 공배 - 예비차 5대
\----
[1]
면허지는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 칠곡중앙대로 580으로 되어 있다.[2]
같은 시기에 기존 차량 일부에도 2006년 개편 전 구 행선판이 적용되었는데 그 중에서 726번에 투입된 구도색 차량들은 구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1대를 제외한 나머지 4대 전부 개편 전 구 행선판이다.[3]
새로 제작한 개편 전 구 행선판은 노선번호만 표시되어 있고 기종점은 적혀져 있지 않다.[4]
참고로 2695호의 대차전전은 동명교통 최초의 냉방형 일반버스로, 하차벨이 창틀이 아닌 에어덕트에 달린 1995년식 BS106이다.[5]
노선번호에 테두리가 없는 2006년 개편 전 구 행선판과 달리 노선번호에 테두리가 있다. 이전 버전에서는 1998년 개편 전 행선판이라고 적혀 있었으나 이 행선판은 1998년 개편 이후에도 썼고 노선번호에 테두리가 사라지고 노선번호 크기가 커진 행선판은 2001년 5월에 나왔다.[6]
2662호. 현재는 급행3번에 운행하고 있다.[7]
차내 CCTV에 나왔다.[8]
비정규 노선이며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만 지정된 기간 동안에 운행한다. 단, 12월부터 2월까지는 아예 운행하지 않으며 따로 인가 대수가 있는게 아니라 주말에 감차된 분량 및 예비차량들을 활용해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