營進交通
- 개요
- 운행 노선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81%EC%A7%84%EA%B5%90%ED%86%B 5?action=edit§ion=1)]
대구광역시의 버스회사로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북로41길 24에 있다.[1]
1979년 11월 10일
시내버스 운송 면허를 취득하여
일신교통[2]
이라는 이름으로 수성구 파동에서 설립했다. 원래는
대우자동차버스만 많이 이용하여 설립한 후 대우자동차버스 출고 하여 본래 전 차량 대우자동차버스 회사인데 [3]
1991년 현대자동차버스 출고하여 [4]
2015년
이후에는 현대자동차버스 출고 한다. 파동 종점 자리에 파동 화성파크뷰 아파트가 들어서게 되면서 가창교 인근의 차고지를
2002년 달성군 가창면
삼산리[5]
로 이전하였다가 2008년 11월24일 가창면 삼산리를 떠나
북구 검단동 민들레아파트 북편으로 다시
이전하였다. 이로 인해 가창면 방면으로 많이 운행하는 노선들의 공차가 대거 늘어나게 되었다.
삼산리로 이전한 후 2003년 상기운수로 사명을 바꾸었다가, 같은 해에 부민교통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러던 중 2004년 1월 사장이 회사 자금을 유용한 후 잠적한 사건이 발생하였고 이 때
하루 동안 운행을 중단했다. 그 사건 이후 사장이 바뀌고 영진교통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과거부터 현대버스와 자일대우버스를 전
차량 골고루 운용하고 있다.[6]
전국 최초로 2012년에 NEWBS106 천연가스
입석형 및 급행2번용 좌석버스 모델을 구매한 회사이기도 하다.[7]
대구광역시에서 유일하게 전비형 로얄시티
좌석버스[8]
와 2008년 F/L 전의 로얄시티 좌석 1/3 개폐창[9]
과 NEW BS106 좌석형을 구매한 회사이기도 하다.
세진교통과 더불어
대구광역시에서 유이하게 볼 수 있는
순수하게 구매한 팬더 로얄시티 좌석버스를 볼 수 있는 회사이기도 하다.[10]
2011년에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만
출고하다가 2012년 이후에는 NEWBS106만
출고하다가[11]
2015년 1월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버스 2대와 저상버스 3대를 출고했다.[12]
저상버스는 2008년까지는 대우BS110CN을
출고하다가[13]
2009년부터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14]
을 출고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wi
ki/%EB%8C%80%EA%B5%AC%EA%B4%91%EC%97%AD%EC%8B%9C%20%EC%8B%9C%EB%82%B4%EB%B2%84
%EC%8A%A4)에서 드물게 로얄시티에다가 고급옵션인 우드그레인 대쉬보드를 다수 적용하였다.
참고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중 유이하게 사장이 여성이다. [15]
정확히는 공동 사장제를
채택했으며 남편 명의로 운영 중이다.
운행하는 노선들 중
급행2번에
많이 증차되어 일반버스 4대가 좌석형으로 개조되었고[16]
452번과
가창2번을
운행하다가 증차를 위해 개조된 차량들이다. 그 중 2005년식 로얄시티였던 2대(2362,2363호)는 2014년에 NEWBS106
유로6으로 대차됬다. 인가 댓수에 비해 중거리 이상인 노선 수가 많아
순환3번과
급행2번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운행 노선들의 배차간격이 길다.
검단동으로 옮긴 후에는 종점 역할을 하지 않다가 2013년 말 653번이 종점을 바꾸게 되어 종점 역할도 하고 있다. 다만 영진교통은 653번에 배차하지 않는다.
성보교통과 더불어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급행버스를 모두 운행하는 회사 중 하나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81%EC%A7%84%EA%B5%90%ED%86%B 5?action=edit§ion=2)]
모두 49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볼드**는 주력 노선을 말한다.
- 급행2번 13대 - 성보교통과 공배
- 순환3번 8대(저상버스 6대 포함) - 신진자동차와 공배
- 400번 5대(저상버스 2대 포함) - 현대교통과 공배
- 452번 12대
- 가창2번 8대
- 팔공3번 2대
[17]
- 동명교통과 공배 - 예비차 3대
\----
[1]
면허지는 북구 학정동 호국로 814로 되어 있다.[2]
구미시 시내버스 회사인 일선교통이 아니다.[3]
새한 BF101, 대우 BV101, 대우 BF101, 대우 BS105, 원래는 대우자동차버스 본래 전 차량 대우자동차버스들이 많이 이용한 차량이며 대우 BS106, 대우 BS106 하이파워, 대우 BS106 로얄시티, 대우 BS110 로얄논스톱, 대우 뉴 BS106, 조금만 이용 하였다.[4]
현대자동차버스 출고한 차량 현대 에어로시티520, 현대 에어로시티540, 출고 한 차량이다.[5]
우록리를 지나 팔조령 근처 범골 못 가서 있었다. 예전 가창2번 범골행 야간 막차 다이어에는 "범골경유 회사 입고" 라고 표기되어 있었다.[6]
일신교통 시절에는 현대버스를 조금 더 많이 이용했으며, 현재 영진교통 시절에는 자일대우버스를 조금 더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대우버스 끝을 내며 현재는 영진교통 2015년에 현대자동차버스 출고 하고 있다. 이제 현대자동차버스들 들오게 될 것이다.[7]
NEW BS106 디젤 모델은 안동시 시내버스 업체인 안동버스에서 전국 최초로 구매하였다. 초저상인 NEW BS110은 같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회사인 세운버스에서 앨리슨 자동변속기 장착 사양을 구매했고, 단축형인 NEW BS090은 충청남도 공주시 시내버스 회사인 시민교통에서 전국 최초로 구매.[8]
2357호. 대구광역시 최초의 로얄시티 좌석버스이기도 하다. 2008년에 로얄시티 입석형으로 대차되어 현재는 452번에 투입 중.[9]
2015년 1월 급행2번에 투입 중인 2006년식 로얄시티였던 2320/2326호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좌석형으로 대차되면서 해당 옵션 적용 차량이 사라졌다.[10]
다만 2010년 후반~2011년식의 순수 크롬형 좌석버스는 대구광역시에서 단 1대도 없다. 현대교통의 팬더 로얄시티 좌석버스는 계열사인 고령 경일여행 출신 중고차에다가 크롬형으로 개조(내부는 2010년 중반 이전의 크롬이 달려있지 않은 모델의 모습으로, 2009년식이다.)한 차량이다. 그 대신 이 차량은 경산시 시내버스 업체인 대화교통에서 다수 보유 중이며, 영천시 시내버스 업체인 영천교통에서도 1대 보유 중이다.[11]
순환3번에 투입중인 2316호 입석형을 제외하면 죄다 급행2번 좌석버스이다.[12]
양쪽 측면에 사이드 마커 램프가 달린 2015년식 저상버스 중에서는 대구 최초이다. 참고로 대구 최초의 사이드 마커 램프 부착 차량은 세운버스 649번 3710호/156번 3712호 NEW BS106이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중에서는 광남자동차 401번 1030/1073호이다.[13]
2006년 대구 3호 대우저상이자 대구 2호 BS110CN인 2335호(순환3번), 2008년 F/L모델 2313호(400번)와 2358호(순환3번)[14]
2009년 영진교통 유일의 SE형에다가 구도색 현대 저상버스인 2344호(순환3번), 2010년 2329호(400번), 2015년 2334/2339/2349호(순환3번)[15]
다른 한 곳은 현대교통. 다만 여기는 경일교통 계열이라 크게 의미가 없다. 같은 사장 명의로 되어 있는 안동시 시내버스 회사인 동춘여객도 마찬가지이다.[16]
다만 맨 뒷좌석과 그 바로 앞 2열시트는 일반시트 시절 그대로이다. 참고로 세한여객은 기존 527번에 있던 일반버스 4대를 급행4번에 신설 투입하기 위하여 모든 시트를 좌석시트로 교체하였다.[17]
비정규 노선이고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만 운행하는 맞춤노선이다. 단, 12월부터 2월까지는 아예 운행하지 않는다. 따로 인가 대수가 있는게 아니라 주말에 감차된 분량을 활용해 운행한다. 가끔 급행2번에 들어가는 상용차량이 팔공3번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