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배경
1.2. 능력
1.2.1. 대지 부수기(Split Earth) Q/T
1.2.2. 마성의 칙령(DiabolicEdict) W/C
1.2.3. 번개 폭풍(Lightning Storm) E/G
1.2.4. 에너지 파장(Pulse Nova) R/V
1.3. 추천 아이템
1.4. 운영 및 공략
1.5. 치장 아이템
1.5.1. 뿔
1.5.2. 세트 아이템
1.6. 트리비아
1.6.1. 도타올스타즈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1)]
1. 도타 2의
영웅 레슈락 ¶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2/26/Leshrac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2/26/Leshrac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2/26/Leshrac_icon.png)
레슈락
Leshrac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e/e9/Leshrac.png](http ://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e/e9/Leshrac.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e/e9/Leshrac.png)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0/0e/Dire_icon.png/16px- Dire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0/0e/Dire_icon.png/16px- Dire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0/0e/Dire_icon.png/16px- Dire_icon.png)
다이어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f/f9/Icon_Str.png /32px-Icon_Str.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f/f9/Icon_Str.png/32px- Icon_Str.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f/f9/Icon_Str.png/32px- Icon_Str.png)
16 + 1.5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b/ba/Icon_Agi.png /32px-Icon_Agi.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b/ba/Icon_Agi.png/32px- Icon_Agi.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b/ba/Icon_Agi.png/32px- Icon_Agi.png)
23 + 1.7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f/f0/Icon_Int_selected.png/32px- Icon_Int_selected.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f/f0/Icon_Int_selected.png/32px- Icon_Int_selected.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f/f0/Icon_Int_selected.png/32px- Icon_Int_selected.png)
26 + 3
죽음의 칙령을 내린다!
[1]
레벨 1 16 25
체력 454
910
1518
마나 338
949
1534
공격력 45-49
92-96
137-141
방어력 3.32
7.07
11.73
공격속도 0.72
0.88
1.07
이동 속도 315
회전 속도 0.5
시야
낮/밤
1800/800
사정 거리 600**(원거리)**
발사체 속도 900
공격 딜레이
선+후
0.4+0.77
캐스팅 딜레이
선+후
0.7+0.8
기본 공격 속도 1.7
역할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0/04/Pip_ganker.png/24px- Pip_ganker.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0/04/Pip_ganker.png/24px- Pip_ganker.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0/04/Pip_ganker.png/24px- Pip_ganker.png)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1/1e/Pip_pusher.png/24px- Pip_pusher.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1/1e/Pip_pusher.png/24px- Pip_pusher.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1/1e/Pip_pusher.png/24px- Pip_pusher.png)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c/c3/Pip_disabler.png/24px- Pip_disabler.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c/c3/Pip_disabler.png/24px- Pip_disabler.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c/c3/Pip_disabler.png/24px- Pip_disabler.png)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0/01/Pip_roamer.png/24px- Pip_roamer.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0/01/Pip_roamer.png/24px- Pip_roamer.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0/01/Pip_roamer.png/24px- Pip_roamer.png)
누커 압박 무력화 지원
★★★ ★★★ ★ ★
성우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4/Flag_of_the_United_ States.svg/22px-Flag_of_the_United_States.svg.png](http://upload.wikimedia.org /wikipedia/commons/thumb/a/a4/Flag_of_the_United_States.svg/22px- Flag_of_the_United_States.svg.png)
[[PNG external imag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 4/Flag_of_the_United_States.svg/22px-Flag_of_the_United_States.svg.png)
에릭 뉴섬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9/Flag_of_South_Korea .svg/22px-Flag_of_South_Korea.svg.png](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 ommons/thumb/0/09/Flag_of_South_Korea.svg/22px-Flag_of_South_Korea.svg.png)
[[PNG external imag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 9/Flag_of_South_Korea.svg/22px-Flag_of_South_Korea.svg.png)
도타 2 출시 / 포팅 순서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2)]
고통받는 영혼, 레슈락은 자연의 심장부에서 뜯겨 나와 반은 존재의 차원에, 반은 다른 차원에 걸쳐 있는 존재이다. 그는 날카로운 지성으로 모든 창조물의 마음속에 있는 끔찍한 공포를 한순간도 놓치지 않고 감지할 수 있다. 레슈락은 위대한 철학자로서 존재의 의미를 탐구했다. 그는 영험한 시간의 수정을 이용하여 본질의 내면을 파헤치던 중 끔찍한 비밀을 접했고, 그때문에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맞았다. 이제 레슈락의 번뜩이는 눈빛은 다른 어떤 것으로도 밝히지 못하는 깨달음의 가장 어두운 심연을 비춘다. 다른 정령들처럼 레슈락은 자연과 완전한 합일을 이루었으나, 그의 자연은 사악하고도 끔찍한 것이다. 레슈락은 홀로 현실의 사악한 진실을 꿰뚫어보며, 자선을 베풀며 우주의 특별한 보상을 바라는 이들을 혐오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3)]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4)]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abilities/leshrac_split_eart h_hp2.png](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abilities/leshrac_s plit_earth_hp2.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abiliti es/leshrac_split_earth_hp2.png)
시전 대상
지점
효과 대상
적
피해 유형
마법
![attachment:/avicon.pn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avicon. png)
일정 범위 내의 대지를 부수어 그 안에 있는 적에게 피해를 입히고 짧은 시간 동안 기절시킵니다.
사정거리 : 750
효과반경 : 150 / 175 / 200 / 225
기절 지속시간 : 2
기절 지연시간 : 0.35
피해량 : 120 / 180 / 240 / 300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d/d5/Cooldown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d/d5/Cooldown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d/d5/Cooldown_icon.png)
9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8/8b/Mana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8/8b/Mana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8/8b/Mana_icon.png)
100/125/140/160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79/Black_King_Bar_tin y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79/Black_King_Bar_tiny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79/Black_King_Bar_tiny_icon.png)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3/3e/Linken%27s_Sphere_ tiny_dull_icon.png](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3/3e/ Linken%27s_Sphere_tiny_dull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3/ 3e/Linken%27s_Sphere_tiny_dull_icon.png)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b/b7/Diffusal_Blade_tin y_dull_icon.png](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b/b7/Dif fusal_Blade_tiny_dull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b/ b7/Diffusal_Blade_tiny_dull_icon.png)
레슈락은 사악한 의지로 자연을 왜곡합니다. 레슈락의 앞을 가로막는 운 없는 이들은 요동치는 대지에 삼켜지는 신세가 됩니다.
- 0.35초의 지연 시간이 있습니다.
- 효과반경 내의 나무들을 파괴합니다.
적당한 범위 내의 땅을 쪼개 피해를 주고 기절시키는 광역 스턴기다. 쿨다운, 마나 소모, 피해량 전부 우수하지만 시전 딜레이가 커서 효과 반경이 넓어지기 전엔 맞추기가 심각하게 어렵다. 능력 레벨을 올려 범위가 넓어진다 해도 예측시전을 쓰지 않으면 대놓고 맞아주는 상대는 없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행동불능기가 있는 스벤(도타 2),지진술사 등과 함께 연계하도록 하자.
긴 시전 딜레이 때문에 모션 캔슬[2]
을 사용하는데 좀 더 편하다고 할 수 있지만 사용하고 나서 다른 행동이 가능한 컨카나 리나 그리고
더 쓰기 쉽고 강력한 기절 기술을 지닌 지진술사, 스벤, 자키로등과 비교하면 범위도 좁고, 피해량도 생각보다 크지 않아 애매한 스킬이라는
평이 많다. 이 때문에 자신에게 접근하는 상대를 떨칠려고 대지부수기를 쓰려는데 그 시전 동작을 보고 이리저리 방향을 바꾸는 상대와의
초식 동물로써 육식 동물과의생존을 위한 심리전을 하고 있다보면 정말 암걸린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5)]
1.2.2. 마성의 칙령(DiabolicEdict) W/C ¶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abilities/leshrac_diabolic_e dict_hp2.png](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abilities/leshra c_diabolic_edict_hp2.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abiliti es/leshrac_diabolic_edict_hp2.png)
시전 대상
없음
효과 대상
적 유닛, 건물
피해 유형
물리, 관통
![attachment:/avicon.pn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avicon. png)
레슈락의 주위에 마법의 폭발을 일으켜 적 유닛과 구조물에 복합적인 피해를 줍니다. 범위 내에 있는 유닛이 적을수록 개별 유닛이 받는 피해가
커집니다. 10초 동안 지속됩니다.[3]
효과반경 : 500
지속시간 : 10
피해량 : 9 / 18 / 27 / 36
폭발 숫자 : 40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d/d5/Cooldown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d/d5/Cooldown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d/d5/Cooldown_icon.png)
22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8/8b/Mana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8/8b/Mana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8/8b/Mana_icon.png)
95/120/135/155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5/5d/Black_King_Bar_tin y_dull_icon.png](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5/5d/Bla ck_King_Bar_tiny_dull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5/ 5d/Black_King_Bar_tiny_dull_icon.png)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3/3e/Linken%27s_Sphere_ tiny_dull_icon.png](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3/3e/ Linken%27s_Sphere_tiny_dull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3/ 3e/Linken%27s_Sphere_tiny_dull_icon.png)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b/b7/Diffusal_Blade_tin y_dull_icon.png](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b/b7/Dif fusal_Blade_tiny_dull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b/ b7/Diffusal_Blade_tiny_dull_icon.png)
이공간에서 시간의 에너지를 폭발시켜 닿는 모든 것을 증발시킵니다.
- 10초간 총 32회의 폭발을 일으킵니다.
- 튼튼한 방패나 크라켄 껍질과 같은 데미지 감소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폭발은 레슈락이 방해 효과에 걸리거나 죽은 상태에서도 이어집니다.
- 효과반경 내에 있는 투명 상태의 영웅에게도 맞습니다.
- 건물에 40%의 추가피해를 줍니다.
레슈락이 구조물 철거반인 이유. 레벨 4 기준으로 500 범위 내에 있는 적들에게 50의 피해를 32번 주는데, 구조물이건 뭐건 근처에만 있으면 피해를 받는다. 운이 엄청 좋다면 한 대상에게만 1600의 피해를 먹일 수도 있으나 적용 대상이 다수일 경우엔 많이 맞을 놈은 많이 맞고 적게 맞을 놈은 적게 맞는다. 즉, 라인 크립이나 중립 크립들이 근처에 있으면 피해가 분산되므로 잘 생각하고 질러야 한다.
이 능력의 최대 특징이자 강점은 건물에도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점이다. 초반에 레슈락을 상대하다 전선을 비우기라도 한다면 잠깐 사이에 포탑이 박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레벨 7에 마성의 칙령을 마스터한 레슈락은 거미여왕이나 그림자주술사 저리가라 할 수준으로 순식간에 전선을 초토화시킬 수 있으니, 레슈락이 상대편에 있다면 건물 방어와 라인 컨트롤을 매우 신중하게 해야 할 것이다.
구조물를 밀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이 능력의 사거리가 레슈락의 일반 공격 사거리보다도 짧다는 것이다. 제대로 비비지 않고 평타를 때리면 구조물에 딜을 넣지 못한 채 능력 시전이 끝날 수도 있다. 문제는 혈석을 뽑기 전의 레슈락은 유리(...)라는 것. 또한 지속시간이 긴 편이라 철거하려고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크립들이 오면 철거 능력의 상당수가 분산되기 때문에 혼자서 철거하려면 꽤나 골치 아프다. 동종업계 경쟁자(??)인 퍼그나의 경우 전선이 포탑 쪽으로 밀렸다 싶으면 바로 달려가서 황천 폭발을 한대 꽂아줄 수 있지만, 레슈락의 경우 짧은 사거리와 긴 지속시간 때문에 퍼그나처럼 야금야금 먹기보다는 한번에 밀어야해서 전체적으로 철거 능력에 있어서는 퍼그나가 약간 더 우위에 있다. 총 딜링은 마성의 칙령이 우수하지만 서술했듯이 도중에 크립이 오면 꽤 난감하고 치고 빠지면서 포탑을 갉아 먹는 것도 힘들기 때문에 포탑을 밀다가 포탑을 방어하려는 상대쪽에서 갑자기 싸움을 걸면 피하지도 못하고 그냥 그 자리에서 노루 고기가 될 뿐이다.
참고로 본 능력을 한 번 발동하면 레슈락이 죽거나 율 등으로 무력화당해도 그 자리에서 계속 폭발을 일으킨다. 죽어도 민폐
이런 메카니즘을 역으로 이용해서 갱을 당할 때 이걸 발동하고 율로 자신을 띄우던가 어둠의 검으로 몸을 감춰 안전하게 딜을 넣을 수도 있다.
다만 범위가 짧아서 크게 부각 되는 장점이 아니라는게 함정
마성의 칙령이 4레벨이 찍히면 이거 한번만 쓰고 평타를 섞어주면 정글 정리가 된다. 마나 회복이나 마나가 확보가 안된 초중반엔 꽤 쓸만한 편. 게다가 물리 피해라서 머드 골렘도 처리가 가능하다.
과거에는 이 문서의 초기 버전부터 마성의 칙령이 마법 피해와 물리 피해를 번갈아가며 입힌다고 서술되어 있었지만, 실험
결과 평범하게 복합
피해를 주었다. 아 쫌 그러니까 실험 좀 해보고 적읍시다 그러다가 6.82 버전에서 피해량 유형이 대대적으로 개편되면서
주문 면역을 관통하는 물리 피해를 주게 되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6)]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abilities/leshrac_lightning_ storm_hp2.png](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abilities/leshr ac_lightning_storm_hp2.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abiliti es/leshrac_lightning_storm_hp2.png)
시전 대상
유닛
효과 대상
적
피해 유형
마법
![attachment:/avicon.pn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avicon. png)
대상 적 유닛을 번개로 내려치고 인근 적 유닛으로 옮겨가는 번개 폭풍을 불러냅니다.
사정거리 : 800
전이거리 : 650
전이 횟수 : 4 / 5 / 6 / 7
피해량 : 80 / 140 / 200 / 260
둔화량 : 75%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d/d5/Cooldown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d/d5/Cooldown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d/d5/Cooldown_icon.png)
4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8/8b/Mana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8/8b/Mana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8/8b/Mana_icon.png)
90/100/110/120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7e/Linken%27s_Sphere_ tiny_partial_icon.png](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 7e/Linken%27s_Sphere_tiny_partial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 7e/Linken%27s_Sphere_tiny_partial_icon.png)
린켄의 구슬의 소유자가 주 대상이면 막힙니다. 부차적인 대상이면 피해는 막히지만 번개가 옮겨가는 것은 막을 수 없습니다.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79/Black_King_Bar_tin y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79/Black_King_Bar_tiny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79/Black_King_Bar_tiny_icon.png)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7e/Linken%27s_Sphere_ tiny_partial_icon.png](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 7e/Linken%27s_Sphere_tiny_partial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 7e/Linken%27s_Sphere_tiny_partial_icon.png)
고통받는 영혼이 가는 길을 가로막는 자들은 그가 부리는 원소의 힘을 목격하고 거대한 폭풍을 마주치게 됩니다.
시전거리가 800이나 되는데, 번개가 시전 대상 주변에도 떨어지기 때문에 실제 시전거리는 훨씬 길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 라인 크립을 통해 영웅들에게 그대로 피해를 줄 수 있다.
둔화 효과는 0.75초 지속된다. 짧지만 둔화량이 매우 높기 때문에 추노할 때 적절히 쓰면 유용하다. 번개폭풍을 맞춘 직후엔 대지부수기를 맞추기 더 쉬워지지만 그렇다고 해도 어느정도 상대 움직임을 예측해서 연계를 해야한다. 게다가, 번개 폭풍 또한 대지부수기처럼 시전 딜레이가 있어서 번개가 맞는 순간에 너무 멀리 있으면 대지부수기와 연계가 안되기도 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7)]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abilities/leshrac_pulse_nova _hp2.png](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abilities/leshrac_pu lse_nova_hp2.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abiliti es/leshrac_pulse_nova_hp2.png)
시전 대상
없음
효과 대상
적
피해 유형
마법
![attachment:/avicon.pn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avicon. png)
레슈락이 인근 적 유닛에게 매초 피해를 입히는 에너지 파장을 내뿜습니다.
효과반경 : 450
피해량 : 100 / 130 / 160**(160 / 190 / 220)**
초당 마나 소모량 : 20 / 40 / 60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d/d5/Cooldown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d/d5/Cooldown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d/d5/Cooldown_icon.png)
0
![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8/8b/Mana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8/8b/Mana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8/8b/Mana_icon.png)
70 / 90 / 110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e/eb/Aghanim%27s_ Scepter_small.png/16px-Aghanim%27s_Scepter_small.png](http://hydra-images.curs ecdn.com/dota2.gamepedia.com/thumb/e/eb/Aghanim%27s_Scepter_small.png/16px- Aghanim%27s_Scepter_small.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 umb/e/eb/Aghanim%27s_Scepter_small.png/16px-Aghanim%27s_Scepter_small.png)
초당 피해량이 증가합니다.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79/Black_King_Bar_tin y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79/Black_King_Bar_tiny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7/79/Black_King_Bar_tiny_icon.png)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b/b9/Linken%27s_Sphere_ tiny_icon.png](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b/b9/Linken%27s_Sphere_tiny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 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b/b9/Linken%27s_Sphere_tiny_icon.png)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b/b7/Diffusal_Blade_tin y_dull_icon.png](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b/b7/Dif fusal_Blade_tiny_dull_icon.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b/ b7/Diffusal_Blade_tiny_dull_icon.png)
고통받는 영혼 레슈락은 유사시 시공간 자체를 조작하여 열등한 존재들을 유린할 수 있습니다.
키면 몸에서 빛을 내면서 범위 안에 있는 모든 적들에게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힌다. 번개폭풍 + 대지 부수기를 맞추고 마성의 칙령을 사용함과 동시에 에너지 파장으로 비비는 것이 주로 레슈락이 한타에서 사용하는 콤보.
피해량은 좋지만 본 능력을 쓰기 위해서는 적 영웅들에게 비벼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너무 들이대면 허약한 레슈락은 복날 개 패듯 두들겨 맞고
죽는다. 칼날 갑옷을 키고 달려들어봤자 노루 고기가 되는 건 똑같지 때문에 혈석이 나왔을 때나 적에게 기절을 건 뒤
비비거나, 바이스의 낫으로 적을 돼지로 만든 뒤 비비거나, 상대방의 체력이 적을 때에나 비비자. 서포터 레슈락이라면 그냥 뒤에서 번개폭풍 +
대지부수기를 쓰는게 낫다. 파밍을 못해서 마나 재생이나 몸빵을 확보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도저히 쓸 수 없기 때문.
마나를 매우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번개폭풍이나 대지부수기에 좀 더 투자하고 난 11레벨 때 몰아서 찍거나 이것마저도 마나소모 감당이 안될거
같다 하면 아얘 다른 스킬들을 다 찍고 나서(...) 투자하기도 한다. 더 심하면 아예 찍지도 않고 스탯을 찍는다(...)[4]
이 능력 덕분에 레슈락이 후반 라인 압박력이 좋다. 혈석이나 바이스의 낫 등이 확보되면 마나의 부담이 적어지기 때문에 에너지 파장으로 크립들을 쓸어담고 전선을 엄청난 속도로 밀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마나만 충분하다면 계속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포탑 철거에 좋은 마성의 칙령과 조합하면 그야말로 적의 포탑과 병영을 순식간에 밀어버리는 레슈락을 볼 수 있다.
이 스킬과 신광검 어둠의 검이 조합되면 변태같은 지속데미지를 적도 모르게 넣어줄 수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8)]
추천 아이템
스타팅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tango_lg.png](http://m 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tango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clarity_lg.png](http:/ /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clarity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clarity_lg.png](http:/ /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clarity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flask_lg.png](http://m 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flask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gauntlets_lg.png](http ://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gauntlets_lg.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g auntlets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courier_lg.png](http:/ /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courier_lg.png)
초반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magic_stick_lg.png](ht 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magic_stick_lg.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m agic_stick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oots_lg.png](http://m 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oots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racer_lg.png](http:// 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racer_lg.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w ard_observer_lg.png)
코어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magic_wand_lg.png](htt 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magic_wand_lg.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m agic_wand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phase_boots_lg.png](ht 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phase_boots_lg.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p hase_boots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loodstone_lg.png](htt 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loodstone_lg.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 loodstone_lg.png)
시츄에이셔널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loodstone_lg.png](htt 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loodstone_lg.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 loodstone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lack_king_bar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lack_king_bar_lg.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 lack_king_bar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sheepstick_lg.png](htt 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sheepstick_lg.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s heepstick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ultimate_scepter_lg.pn g](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ultimate_scepter_lg.p 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u ltimate_scepter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link_lg.png](http://m 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blink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shivas_guard_lg.png](h 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shivas_guard_lg.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s hivas_guard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flying_courier_lg.png] (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flying_courier_lg.png)
[[PNG external image]](http://media.steampowered.com/apps/dota2/images/items/f lying_courier_lg.png)
- 신비의 장화 : 레슈락은 마나 소모가 끝내주기 때문에 신비의 장화를 산다.
- 염동력 지팡이 : 많은 지능 영웅들이 애용하는 아이템. 사정거리가 짧고 선딜이 큰 스턴기를 맞출 때, 누군가를 살려줄 때, 아니면 멍 때리던 적군 끊어먹을 때. 아니면 내가 도망칠 때 등등 용도가 많다.
- 율의 신성한 홀 : 일단 쓰기 시작하면 이 아이템은 레슈락을 위해 만들어진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나게 된다. 대지부수기를 맞추는데 큰 도움을 주고, 무엇보다 레슈락이 적진에서 무적 상태로 버틸 수 있게 만들어주기 때문. 상당한 마나 회복률은 덤. 다만 죽음의 예언자와는 달리 더 깊숙하게 들어가야하는 물몸이기 때문에 골드 수급이 좋다면 혈석이 낫다.
- 혈석 : 레슈락의 필수 아이템 추천 아이템에도 혈석이 두 개나 있다. 비싸니 잘 풀리지 않는 게임에선 율이나 염동력 지팡이를 먼저 맞추자. 비싼 혈석을 살 돈으로 바이스나 시바의 은총 같은 특수기가 있는 아이템을 대신 사는 게 더 좋다는 의견도 많은 편이다. 다 장단점이 있으니 형편과 상황, 조합봐서 고르자. 다만 혈석 스택이 쌓일 때는 한개만 쌓이는데 죽어서 깎일 때는 소지하고 있는 모든 혈석이 해당되기 때문에, 안죽을 자신이 있다면 두개를 가도 상관이 없지만 왠만하면 혈석을 한개만 맞추고 다른 지능템을 맞추는게 좋다.
- 린켄의 구슬 : 혈석만큼은 아니지만 모든 능력치를 골고루 올려주고 마나 재생력도 제법 된다. 보통은 혈석에 밀려서 선템으로 띄우지는 않기 때문에 이걸 사는 경우는 모든 영웅들이 다 그렇듯 상대 팀에 파멸의 사도가 있을 때가 많다.
- 칠흑왕의 지팡이 : 중반 이후 제대로 활약하려면 최전방에 나가야 하지만 정작 몸이 약한 레슈락의 생존력을 상당히 많이 올려준다. 다만 마나 문제도 해결 안하고 바로 가면 오히려 마나가 떨어져서 제대로 활약을 못할 수 있으므로 급하게 올리진 말자.
- 유령의 홀 : 상대 캐리가 잘 컸다면 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 애초에 레슈락이 기본 공격을 할 일이 별로 없기 때문에..
- 바이스의 낫 : 추가 CC기가 생기기 때문에 누가 사든 좋은 아이템이지만 쉽스틱은 게임 내에서 마나 재생률을 가장 많이 올려주는 아이템이라는 점에서 레슈락에게 또 다른 진가가 드러난다. 농담이 아니고 혈석하고 바이스를 같이 들고 있으면 궁극기를 항상 키고 있어도 마나가 거의 안 줄어든다.
- 시바의 은총 : 공속 감소 오라와 높은 방어력으로 레슈락의 생존력을 책임지는 후반 럭셔리 아이템. 모든 스킬이 사용 효과와 궁합도 좋고 마나 재생이 필요한 레슈락에게서 높은 지능은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된다.
- 타라스크의 심장 : 한타에서 오래 살아남아야하는 레슈락에게 엄청난 체력을 제공해준다.
- 점멸 단검 : 점멸 단검을 사면 대지 부수기의 짧은 사정거리를 보완하고, 상대방이 도망갈 경우엔 점멸 단검으로 다시 쫒아가서 궁극으로 비비는 게 가능하다. 궁극기와의 연계를 위해 시바의 가호나 아가님, 바이스의 낫을 사는 것도 좋다.
- 아가님의 홀 : 혈석이 맞춰진 다음에 사는게 일반적이다. 혈석이 나온 레슈락의 딜량 상당수는 궁극기에서 나오기 때문에 맞춰서 문제될건 없다. 게다가 혈석이 나온 시점에서도 빠른 파밍 속도가 더욱 빨라진다.
물론 레슈락이 파밍을 하는 만큼 아군 캐리들은 파밍할 곳이 줄어들겠지게다가 메가 크립도 그저 골드 수급용으로 만들어버릴 정도로 그냥 순식간에 녹아버리기 때문에 병영이 다 터져도 혼자서 막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9)]
전선을 무척 잘 미는 누커 영웅이다. 마성의 칙령과 에너지 파장 덕분에 꽤 재미있는 플레이 방식을 가졌다. 누커들이 다 그렇듯 초중반에
활약하게 되는데, 모든 스킬들이 정글을 쓸어먹는데 좋아서 파밍 속도는 꽤 좋은 편. 마나소모가 문제지 그러나 칠흑왕의
지팡이에 매우 무력해서 후반엔 활약하기가 힘들어지는데 재밌게도 칠흑왕의 지팡이의 지속시간이 가장 줄어든 극후반에 들어가면 다시
세진다(...). 하지만 레슈락 혼자서는 그 진가를 살리지 못하니 팀과 함께 푸시하면서 싸우자.
레슈락의 스킬트리는 굉장히 자유로워서 딱 찝어 말하기가 힘들다. 크게 마성의 칙령을 선마하냐, 번개 폭풍을 선마하냐 뿐이지 딱히 정석이라고
할만한게 없다. 그나마 보편적인거라면 번개 폭풍 상향 전부터 쭉 써오던 대지부수기, 마성의 칙령 번갈아찍기. 그러나 이마저도 고질적인 문제인
물몸이라는것 때문에 서포터임에도 밀라는 타워는 안밀고 번개 폭풍을 선마하기도 한다. 대지부수기의 딜레이가 길어서 그렇지
행동불능기를 가진 아군 서포터와 함께 갱킹을 하면 굉장히 강력한 편.
과거에는 주로 서포터로 쓰였기 때문에 럭셔리 아이템을 맞추기 힘들었지만, 대회에서는 푸쉬 메타가 유행하게 된 이후로 성장성이 좋다는 점에 주목해 파밍을 시키기도 한다. 이 전략이 성공하면 레슈락의 강력한 초중반 딜링을 기반으로 한타를 승리하고 구조물을 싹 밀어버릴 수 있다.
환영 창기사나 나가세이렌,
미포,
거미여왕 같이 쪽수로 상대하는 영웅들에게 강하다.
그러나 죽이지 못하면 역으로 개털린다. 미포는 풉풉으로 순식간에 노루를
고깃덩어리로 만들어버리고 거미여왕의 경우 증오의 꽃가지의
사용효과 침묵과 끝없는 허기에 개털리고 만다. 먹이사슬에 노루가 거미보다 아래라니
1:1 중부 라인 대전에서 래디언트 진영일 때 다이어쪽 비밀 상점쪽에서 도끼와 마나물약 7~8개를 사고 들어가 죽음의 칙령만 써서 게임을 끝낼 수 있었다. 허나 기술단 업데이트에서 중부 전투 모드는 중부를 제외한 포탑을 처음부터 무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패치되어 막혔다.
레슈락 장인으로는 현재 CSW팀에있는 뮤지카가 유명한데 초중반에 압도적인 광역 딜링 능력을 이용한 전투 이득과 완벽한 파밍으로 혈석을 10분에 뽑는세계 신기록을 세운 바 있다. 이 이후로 레슈락의 성장을 아무도 말리지 못했으며 차원이 다른 한타 기여도로 레슈락의 존재 의의를 보여주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10)]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11)]
**수정체 뿔
**Crystalline Sickles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9/93/Cosmetic_ico n_Crystalline_Sickles.png/256px-Cosmetic_icon_Crystalline_Sickles.png](http ://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9/93/Cosmetic_icon_Crys talline_Sickles.png/256px-Cosmetic_icon_Crystalline_Sickles.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 umb/9/93/Cosmetic_icon_Crystalline_Sickles.png/256px- Cosmetic_icon_Crystalline_Sickles.png)
희귀(Rare)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12)]
**뒤틀린 지혜 세트
**Twisted Wisdom Set
**분할의 가시 세트
**The Thorns of Sundering Set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c/ca/Cosmetic_ico n_Twisted_Wisdom_Set.png/256px-Cosmetic_icon_Twisted_Wisdom_Set.png](http ://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c/ca/Cosmetic_icon_Twis ted_Wisdom_Set.png/256px-Cosmetic_icon_Twisted_Wisdom_Set.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 umb/c/ca/Cosmetic_icon_Twisted_Wisdom_Set.png/256px- Cosmetic_icon_Twisted_Wisdom_Set.png)
![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umb/8/8b/Cosmetic_ico n_The_Thorns_of_Sundering_Set.png/256px- Cosmetic_icon_The_Thorns_of_Sundering_Set.png](http://hydra-images.cursecdn.co m/dota2.gamepedia.com/thumb/8/8b/Cosmetic_icon_The_Thorns_of_Sundering_Set.png /256px-Cosmetic_icon_The_Thorns_of_Sundering_Set.png)
[[PNG external image]](http://hydra-images.cursecdn.com/dota2.gamepedia.com/th umb/8/8b/Cosmetic_icon_The_Thorns_of_Sundering_Set.png/256px- Cosmetic_icon_The_Thorns_of_Sundering_Set.png)
희귀(Rare) 7.99$ 희귀(Rare) 7.99$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13)]
- Eul의 도타 때부터 존재한 도타의 최고참 영웅 중 하나. 도타 올스타즈에는 4.0 버전부터 등장하였다. 오리지널 도타와 비교했을 때도 능력 구성에 변동이 거의 없다.
- 도타2가 처음 출시됬을 때부터 나온 46명의 최초의 영웅들 중 하나이다.
- 히어로즈 오브 뉴어스의 영웅 토쳐러의 기반이 된 영웅이다.
- 한국 유저들은 레슈락으로도 불렀지만 토먼티드 소울의 앞 두글자를 딴 토먼이라고 주로 불렀다.
요즘은 노루 노루야캐요 - 배경 설정에 따르면 현실에 대한 끔찍한 비밀을 마주한 뒤 성격이 어두워졌다는데, 너프 나우에서 이걸 소재로 이런 만화를 만들었다.
- 이름의 유래는 매직 더 게더링에 있는 플레인즈워커 레쉬락(Leshrac). 능력 중에 하나가 한 때 흑색카드의 대표격이었던 극악한 칙명(Diabolic Edict)인 것을 보면 빼도 박도 못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0%88%EC%8A%88%EB%9D%BD?action= edit§ion=14)]
1.6.1. 도타올스타즈 ¶
![http://media.playdota.com/hero/90/icon.jpg](http://media.playdota.com/hero/9 0/icon.jpg)
토먼티드 소울__Tormented Soul
레슈락 더 멜리셔스_Leshrac the Malicious_
![http://media.playdota.com/hero/90/character.gif](http://media.playdota.com/h ero/90/character.gif)
![http://media.playdota.com/hero/90/skill-0.jpg](http://media.playdota.com/her o/90/skill-0.jpg)
![http://media.playdota.com/hero/90/skill-1.jpg](http://media.playdota.com/her o/90/skill-1.jpg)
![http://media.playdota.com/hero/90/skill-2.jpg](http://media.playdota.com/her o/90/skill-2.jpg)
![http://media.playdota.com/hero/90/skill-3.jpg](http://media.playdota.com/her o/90/skill-3.jpg)
내 곁의 고통. 내 안의 고통.
고통이여 나와 함께하라. 그리고 우리로 하여금 적을 정복하게 하소서.
그들은 우리의 고통을 이해하지 못하니.
당신은 이해하는가? 아니. 그 누구도 이해할 수 없다. 한 영혼에게 불가능한 일인 것을.
그러므로, 우린 그들에게 고통을 체험할 기회를 선사할 것이니... 내 영혼에 깃든 고통을.
도타 올스타즈의 모델은 세나리우스다.
\----
[1]
마성의 칙령 시전 시 대사다.[2]
스킬을 사용할 때의 시전 딜레이 중에 중지 명령으로 스킬 사용을 취소하는 것인데 스킬을 쓴 것으로 취급하지 않아 쿨다운이 돌아가지 않는다. 시전 딜레이가 어느정도 있고 그 스킬 한번의 적중 유무로 이니시에이팅이나 추격에 판가름이 나는 영웅들을 플레이 할때 이 테크닉을 이용해 더욱 신중하게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그래봤자 못맞추는 사람은 못맞춘다.[3]
현재 피해 유형은 물리로 바뀌었으나 인게임 툴팁은 여전히 이렇게 남아있다.[4]
서포터 레슈락이 이렇게 찍는다. 워낙 몸이 약해서 궁극기 사용하러 뛰어들었다간 그대로 황천행이고 스탯을 찍음으로써 몸빵을 확보하려는게 큰 이유이다. 어차피 레슈락 잡으러 오는 캐리들이라면 칠흑왕의 지팡이를 구비하고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