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821 lines (493 loc) · 46.8 KB

AKB48.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821 lines (493 loc) · 46.8 KB

AKB48 그룹

개요 그룹명 거점 주요 사항

일본 AKB48 도쿄 멤버 일람 / 디스코그래피

SKE48 나고야 멤버 일람 / 디스코그래피

NMB48 오사카 멤버 일람 / 디스코그래피

HKT48 후쿠오카 멤버 일람 / 디스코그래피

NGT48 니가타 2015년 10월 결성 예정

해외 JKT48 자카르타 멤버 일람 / 디스코그래피

SNH48 상하이 멤버 일람 / 디스코그래피

해체 SDN48

도쿄 (2009년 8월 ~ 2012년 3월)

관련
항목

용어 / 구조 / 극장 공연 세트리스트 / 카미(역대 인기 멤버 일람)
악수회 / 선발총선거 / 가위바위보 대회 / 드래프트회의

미디어
믹스

AKB49연애금지조례 / AKB0048

![http://www.music- lounge.jp/v2/common/im/uf/articl/201503/akb48/main.jpg](http://www.music- lounge.jp/v2/common/im/uf/articl/201503/akb48/main.jpg)

[[JPG external image]](http://www.music- lounge.jp/v2/common/im/uf/articl/201503/akb48/main.jpg)

2015년 3월 4일 발매된 39번째 싱글 <Green Flash>의 선발 멤버.

이리야마 안나 / 키자키 유리아 / 시마자키하루카 / 마츠이 쥬리나(SKE48) / 마츠이 레나(SKE48) / 사시하라 리노(HKT48) / 야마모토 사야카(NMB48) / 코지마하루나 / 카시와기유키 / 다카하시미나미 / 와타나베 마유 / 요코야마 유이 / 미야와키 사쿠라(HKT48) / 카와에이리나 / 이코마 리나(노기자카46) / 코지마마코

괄호 안에 표기했듯이 위의 멤버는 모두가 오리지널 AKB48가 아니고, 몇몇은 SKE48, NMB48, HKT48, NGT48 등 AKB48의 자매그룹과 말로만라이벌 그룹인 노기자카46의 멤버이다. 자매그룹의 에이스 멤버를 AKB48의 싱글에 선발멤버로 넣음으로써 자매그룹의 홍보와 판매량 증가를 동시에 노린 것으로 보이는데, 나중에는 자매그룹 멤버들이 AKB48의 웬만한 멤버를 능가하는 독자적인 팬층을 구축하면서 아예 AKB48 겸임을 시키는 경우도 생겼다.

Contents

  1. 개요
  2. 그룹 이름과 인원 수
  3. 운영과 관련 기업
  4. 기록
  5. 역사
  6. 구성원
  7. 그룹명
  8. 컨셉
  9. 구조
  10. 극장공연 & 디스코그래피
  11. 포토북 & 사진집
  12. 관련 그룹

12.1. 자매 그룹

12.2. 라이벌 그룹

12.3. 표절 그룹

12.4. 파생 유닛

  1. 방송 출연 및 파생 미디어

13.1. 패러디

  1. 한국에서의 AKB48
  2. 사건사고
  3. 같이 보기/하위 항목

[edit]

1. 개요 ¶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일본의 방송 작가, 작사가이자 아이돌 프로듀서인 아키모토 야스시(秋元康)가 프로듀스하고 AKS에서 운영하는 아이돌 그룹이다. '만나러 갈 수 있는 아이돌'을 컨셉으로 돈키호테(4번 항목)의 아키하바라 점 8층에 위치한 전용 극장인 AKB48 극장에서 상시 라이브 공연을 열고 있다. 2014년 현재 자매 그룹으로 일본내에 SKE48, NMB48, HKT48가 있으며, 그리고 포맷 및 라이선스 수출을 통해 해외 회사가 운영하는 JKT48, SNH48가 있다.

모닝구 무스메의 몰락 이후 한동안 침체되었던 일본 여성 아이돌 시장의 중흥기를 연 아이돌이다. 일본 최대 점유율 포털사이트 야후재팬의 연간 검색어 랭킹 인명부분 1위를 2010년부터 계속 차지해오고 있고 음악방송, 예능 버라이어티, 드라마, 패션쇼, 잡지, CF, 영화, 연극, 라디오, 아침정보방송,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등등 심지어는 경마방송이나 파칭코에서 까지 AKB48을 볼 수 있다. 말그대로 '일본 어디를 가도 AKB48을 보게 된다'는 말이 과언이 아닐정도. 이렇게 많은 곳에 AKB48이 나오는 이유는 그 영향력에 있다. 실제로 아사히 음료가 1997년부터 판매하고 있는 주력 캔커피 'WONDA'의 광고모델로 AKB48을 기용했는데, 지진의 영향으로 인해 일본 캔음료 시장은 2011년 1월~4월 기준으로 전년도 대비 2%가 감소했다고 하지만 오히려 아사히 음료의 'WONDA'는 10% 이상 매출이 상승했다고 한다. 이러한 일본내에서 AKB48의 기이한 엄청난 인기는 사회현상이라고 불릴 정도이며 'AKB48의 경제학', '심장을 사로잡는 기술', '360도 마케팅'등과 같은 AKB48의 인기의 요인과 효과를 분석하는 책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

AKB48이 아키하바라 오타쿠만의 문화가 아닌 '사회현상'이라고 불릴 수 있을만큼 대중적인 인기를 얻게 된 것은 AKB48만의 독특한 시스템의 총선거가 계기가 되었다. AKB48의 총선거는 아사히신문. 마이니치신문등의 주요 신문들과 각 방송사등 일본 미디어 전체가 선거 결과를 앞 다퉈 취재하고 속보로 보도하고 있고 심지어는 제4회총선거부터는 일본의 공중파방송후지TV에서 총선거를 생중계하고 있다. 제5회총선거 생중계 방송의 평균시청률은 20.3%, 순간 최고시청률은 32.7%에 달했다. 개표 이벤트가 진행된 닛산 스타디움에는 약 7만 명의 팬이 모였으며 국내외에서 700개 이상의 미디어가 밀려왔다. 총선거에는 보통 500여명이 넘는 취재진이 몰려들어 카메라 경쟁이 치열하며, 총선거의 결과를 예상하는 기사나 프로그램도 넘쳐난다. 또한 총선거가 끝나도 일본에서는 결과를 둘러싼 이슈가 끈임없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영향은 일본 정계까지도 미쳐 심지어는 일본의 미하라 준코 참의원은 "정치가 모두 AKB48을 본받아 국민을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AKB48은 또한 이른바 'AKB 효과'로 끝을 모르는 일본의 경기침체 속에서 경기를 부양하는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고 한다. 멤버들의 광고하는 제품의 매출상승과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CD가 팔리는 일본에서도 압도적 판매량을 자랑하는 앨범 판매량은 물론이고 총선거 또한 경제파급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일본의 경제평론가 모리나가 다쿠로는 제4회 총선거이벤트의 경제파급 효과는 200억엔(한화 약 3000억원) 이상이라고 분석했다. 투표권이 1장씩 들어있는 26th Single 真夏のSoundsgood!은 CD는 판매개시 2주만에 음반 판매액만 30억엔을 넘었다고 한다. 게다가 광고비, 가이드북 판매 등 직접 효과만 100억 엔. 여기에 간접효과까지 감안하면 200억 엔이 넘는다는 것이다. AKB48이 경기 부양 효과를 가지는 이유는 주 공략 대상이 기존 아이돌의 주 공략층인 10대가 아니라 공략 대상이 구매력 있는 성인 남성층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AKB48의 공연 관객의 95%는 남성이라고 한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멤버들의 가창력이나 춤 실력이 부족한 점, 상술을 통해 음반 판매량을 올리는 점, 규모와 인원수로 밀어붙이면서 다른 아이돌 그룹의 설 자리를 빼앗는다는 점 등 여러 가지로 비판을 받고 있다. '국민적 아이돌'이라는 별칭도 얻었지만, 사실 일본 대중들 사이에서 AKB48의 모든 멤버가 입지가 그렇게까지 탄탄한 것은 아니다. 일반인들은 'AKB48'이라는 그룹 이름, 그리고 개인 활동이 많은 일부 유명 멤버만 알 뿐이다. 이런 건 한국도 마찬가지인데, 일반인이 소녀시대 멤버의 얼굴과 이름을 9명 중 5명 이상 외우고 있는 사람이 드문 것과 마찬가지다. AKB48에서 유명 멤버 이외의 연구생이나 비인기 병풍멤버 이름은 AKB48의 팬들마저도 잘 모른다.

AKB48은 또한 동일본대지진 피해지 지원활동도 활발하게 펼쳐오고 있는데 지진 직후 2011년 3월 14일 동일본대지진의 피해지 지원을 목적으로 '누군가를 위해서' 프로젝트를 발족하고 기부금 계좌를 개설하여 멤버나 운영회사, 팬으로부터 모금, 부흥 지원곡 '누군가를 위해서'의 전액기부, 지진 이후로 발매된 앨범의 일부수입 등등을 일본 적십자사를 통해서 기부해왔고 2013년 3월 기준 총 기부액은 13억 4만 5094엔(한화 약 155억 4천 3백만원)에 달한다. 또한 2011년 5월부터 매월 1회씩 2013년 3월 기준 합계 22회에 걸쳐서 총 138명의 멤버가 피해지를 방문하고 미니콘서트와 악수회를 열어서 지원활동에 힘써왔고 팬들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전에 알리지 않고 깜짝 방문했다. 그리고 동일본대지진이 벌어진 3월11일에는 매년 AKB48, SKE48, NMB48, HKT48이 극장이나 재해지에서 부흥지원 특별공연을 펼치고 있다.

[edit]

2. 그룹 이름과 인원 수 ¶

AKB48은 'A K B forty-eight'라고 읽으며, 한국에서도 에이케이비사십팔이 아닌 에이케이비포티에잇으로 읽는 게 옳다. 원래 극장이 있는 아키하바라에서 따온 것이나 '아키하바라 포티에잇'이라는 이름은 쓰지 않는다. 자칫 팬 앞에서 잘못 읽었다가는 상대방이 불쾌해할 수도 있으나 별로 신경 안 쓰는 사람이 더 많다. 우리나라로 치면 H.O.T를 핫이라고 읽거나, SS501을 에스에스 오백일이라고 읽거나, 싸이를 프싸이라고 읽는 것과 같다.

AKB48이란 그룹의 이름 때문에 그룹인원수를 48명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2007년2010년에는 팀 A/K/B 각각 16명씩, 정규 멤버 수를 가능한 한 48명으로 맞추면서 활동하기는 했다. 하지만 졸업 멤버수에 비해 영입되는 멤버 수가 너무 많다 보니 2011년부터는 정원 제도가 사라졌다. 기수별로 오디션을 개최하여 2015년 현재 15기까지의 구성원이 재적하고 있으며, 총 재적 구성원은 정규 구성원 및 연구생 등을 포함하여 80명이 넘는다. 이 중 주요 멤버 120여 명을 뽑아 선발 멤버라는 이름으로 활동한다.

[edit]

3. 운영과 관련 기업 ¶

AKB48은 멤버수가 많다 보니, 각종 운영비가 엄청나게 많이 든다. AKB48 결성 초기에는 활동 경비를 대부분 AKS 사장인 쿠보타 야스시[1]가 담당했다고 한다. 또한 office48의 사장인 시바 코타로[2]도 상당수의 자금을 댔다고 한다. 여기에 아이디어를 담당한 아키모토 야스시를 합쳐서 운영진들 중에서도 이 3명이 각종 어른의사정들을 처리하는 핵심인물로 알려져 있다.

인기를 얻게 된 이후에는 여러 스폰서 기업들로부터 지원을 받아 활동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일본 최대의 광고회사인 덴츠와 일본 2대 파칭코 회사로 불리는 쿄라쿠. 덴츠와 쿄라쿠의 막대한 자본이 없었다면 AKB48이 지금의 자리에 오르는 것은 힘든 일이었다. SDN48이 해체한 이유도, 스폰서였던 IT 기업 GREE가 손을 뗀 이후 막대한 운영비를 감당 할 수가 없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때문에 AKB48은 덴츠나 쿄라쿠와 관련된 다양한 일을 하고 있다. 홍보 모델은 물론, AKB48을 소재로 한 파칭코 기계까지 나왔다.[3]

[edit]

4. 기록 ¶

2010년 5월 26일 발매한 싱글 <ポニーテールとシュシュ>가 초동 판매량 56만장을 기록한 이후 싱글마다 100만장에 달하는 판매량을 기록하며 일본 최고의 아이돌 그룹으로 안착했다. 25번째 싱글 <[風は吹いている](/wik i/%E9%A2%A8%E3%81%AF%E5%90%B9%E3%81%84%E3%81%A6%E3%81%84%E3%82%8B)> 발매 후 총 싱글 판매량 1000만장을 돌파했다. 여성그룹으로는 핑크레이디, SPEED, 모닝구무스메 이후 4번째. 또한 일본 여성 아티스트 중 가장 많은(13장) 밀리언 셀러를 기록하였다.

2012년 11월 6일부로 CD(싱글+앨범)총판매수가 2030만장으로 여성그룹중에 사상 최초로 2000만장을 돌파하였고 여성그룹 역대 1위에 올라서게 되었다.

이외에 가지고 있는 여성그룹 역대 1위 기록들은
(1)싱글 총판매량 (2)싱글 첫주판매량 (3)싱글 통산 선두 획득수 (4)싱글 연속 선두 획득수 (5)싱글 연속 밀리언 획득수 (6)싱글 연속 첫주 밀리언 획득수 (7)싱글 통산 밀리언 획득수 (8)싱글&앨범 총판매량까지 8관왕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음반 판매량 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인기의 척도라 평가되는 노래방 차트에서도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ヘビーローテーション>은 나온 지 1년이 넘은 2011년 JOYSOUND 노래방 차트에서 1위. 특히 노래방 클라이맥스를 장식하는 '마지막에 부르는 노래'에서도 1위. 헤비 로테이션의 인기는 2012년까지 계속되어서 오리콘 가라오케 차트 통산 90주 1위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우기에 이른다. 2012년 8월 6일에 드디어(?) 기록이 끝나서 순위가 내려간게 2, 3위. 헤비로테가 쓰러지지 않아. 좀비로테이션 이 노래 뿐만 아니라 Everyday、カチューシャ, フライングゲット 등 다른 노래들도 순위권에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외에도 2011 오리콘 연간 싱글차트에서 그해에 발표한 5장의 싱글이 판매량 1위에서 5위까지를 독차지, 2011 오리콘 토탈세일즈 1위, 2011년 연간 CD렌탈에서도 1위, 2위, 6위, 7위를 기록, 2011년 레코쵸쿠(일본 최대 음원사이트) 다운로드 종합랭킹에서 3위, 5위, 9위, 2011년 일본야후(한국의 네이버) 인명검색순위에서도 1위를 하는 등 대중적으로도 국민적 아이돌이란 명칭이 부끄럽지 않을정도의 화제성 및 판매량을 보여주고 있다.

2013년에는 恋するフォーチュンクッキー가 150만장 가까이를 팔아치우며 기록적인 히트를 보이며 높은 인기를 얻는다. 총선거권이 들어가는 싱글을 제외하고 フライングゲット뒤를 이어 2위를 달성하는 등 앨범 판매량에서 좋은 수치를 기록한다. 2013 iTunes 연간 음원 랭킹 2위를 차지하는 등 음원차트나 렌탈차트에서도 좋은 결과를 내비치며 일부에서 최근 히트곡 없이 앨범만 많이 판다는 소리를 간만에 잠재웠다.

[edit]

5. 역사 ¶

[edit]

6. 구성원 ¶

아래 항목은 현재 활동하고 있는 인기 멤버이다.

이름

소속

기수

6회 총선거
최종순위

비고

카시와기 유키

AKB48, NGT48 겸임

AKB48 3기

3위

카미7

카와에이 리나

AKB48

AKB48 11기

16위

코지마 하루나

AKB48

AKB48 1기

8위

키타하라 리에

NGT48

AKB48 5기

19위

사시하라 리노

HKT48

AKB48 5기

2위

2012년 6월 HKT48 이적, HKT48 극장 지배인, 카미7

시바타 아야

SKE48

SKE48 4기

15위

시마자키하루카

AKB48

AKB48 9기

7위

카미7

스다 아카리

SKE48

SKE48 3기

10위

SKE48 팀E 리더

다카하시미나미

AKB48

AKB48 1기

9위

팀A 캡틴, 48그룹 총감독

마츠이 쥬리나

SKE48, AKB48 겸임

SKE48 1기

4위

SKE48 더블에이스, 카미7

마츠이 레나

SKE48, 노기자카46 겸임

SKE48 1기

5위

SKE48 더블에이스, 노기자카46 교환유학생, 카미7

미네기시미나미

AKB48

AKB48 1기

22위

팀4 캡틴

미야자와 사에

SNH48, SKE48 겸임

AKB48 2기

12위

2012년 8월 SNH48 이적, SKE48 팀S 리더

미야와키사쿠라

HKT48, AKB48 겸임

HKT48 1기

11위

야마모토사야카

NMB48, AKB48 겸임

NMB48 1기

6위

NMB48 더블에이스, NMB48 팀N 캡틴, 카미7

요코야마 유이

AKB48

AKB48 9기

13위

팀K 캡틴

와타나베 마유

AKB48

AKB48 3기

1위

카미7

와타나베미유키

NMB48, AKB48 겸임

NMB48 1기

18위

NMB48 더블에이스

[edit]

7. 그룹명 ¶

그룹명은 당초 아키하바라의 줄임말인 아키바와 office48의 사장 시바 코타로의 성에서 유래한 것이었다. 그러나 프로듀서인 아키모토 야스시가 그룹명에 특정한 이미지가 부여되게 되면 그룹 내 멤버들의 다양한 개성과 가능성을 가려버리게 되는 것은 좋지 않다는 이유로 그룹명 작명의 의도를 상품 개발번호라고 설명하였다. 이에 따라 위의 유래를 비롯하여 멤버가 48명인데서 유래했다는 설, 자주 협력하고 있는 대기업 광고대리점인 덴츠 본사 빌딩의 층수(48층)라는 설 등은 모두 아키모토가 작명을 할때 고려한 점은 맞지만 사실이 아니다. 1군 24명/2군 24명으로 총 48명으로 그룹을 만들려는 뜻은 있었다고. 근데 자매 그룹들도 다 하카타, 사카에, 남바 등 다 지명이잖아. 그러니까 '아키하바라와 시바 코타로에서 따오기는 했지만 현재로써는 AKB48이라는 이름에는 아무런 뜻이 없다'는 게 공식적이다. SAT같다. 극장 매니저 토가사키 토모노부JKT48SNH48을 그냥 자카르타 포티에잇, 샹하이 포티에잇이라고 부르는 걸 보아 그냥 포기하고 로컬 아이돌 이미지로 정착한 듯. 로컬아이돌이 어느정도 맞기도 하고.

사실 the 48이라 불리는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에서 따왔다 카더라.

위의 그룹명의 유래 문제와도 관련이 있는 것인지 인디즈 시절에는 본인들도 종종 그룹명을 '아키하바라 포티에이토'라 지칭했고 Team A의 극장 공연곡 중 하나인 "AKB48"의 가사에서도 '아키하바라 포티에잇'이라는 가사가 등장하나 메이저 데뷔 이후 어느 시점을 기해 '에이케이비 포티에잇'이라고 읽으라고 강권중. <大声ダイヤモンド>의 PV 앞부분에도 나와있다. 大声ダイヤモンド PV중 '아키하바라48 준비해주세요' '아키하바라가 아니야! AKB야!'라는 대사가 등장. 초기에는 **에스에스 오공일 아키바욘주하치**라고 읽는 사람이 많았다. 그래서 <会いたかった> 싱글 사이드 레이블에는 '에-케-비-포-티에-토'라고 독음을 달아줬고, '나의 태양' 싱글에는 아예 '아키바48이 아냐, AKB48이라고!'라고 적어놓았다. 그 차후 싱글 RIVER의 도입부에서 다카하시 미나미가 독창으로 **에케비~~포티~에잇!**이라 외치며 손박자까지 맞춘다. 2010년 AKB가 뜬 이후로는 '아키바 욘주하치'라고 부르는 사람은 어그로를 끌려는 사람 밖에는 없다.

[edit]

8. 컨셉 ¶

AKB48은 '만나러 갈 수 있는 아이돌'이라는 컨셉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의 성장을 가까운 곳에서 지켜볼 수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내세웠다. 팬들이 원할 때 언제든지 공연을 관람할 수 있도록 아키하바라의 AKB48 전용 극장에서 상시 라이브 공연을 펼친다. 이후 늘어나는 관객의 수를 커버하기 위해 G롯소를 제 2극장으로 하여 공연을 시작하였으나 공연 횟수는 전용극장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아키모토 야스시는 지방이나 소극장을 시작으로 꿈을 향해 맨땅에 헤딩하듯 도전하는 자립밴드의 모습을 아이돌 프로젝트에 접목시키고자 했고 이를 위해 여러 곳에서 극장을 낼 장소를 물색했지만 여의치 않았다. 그리하여 결국 정해진 곳이 오타쿠의 성소이자 아키바아이돌의 주무대인 아키하바라였다. 아키하바라의 특수성과 무리한 판촉 활동 및 상술로 인해 초기에는 아키바계 지하 아이돌로 분류되기도 하였으나 2010년 전성기를 맞은 이후 메이저급 아이돌로 성장하여 이러한 인식은 상당부분 사라졌다.

아직 미숙한 아이돌의 성장을 지켜본다는 컨셉인지라 멤버들의 가창력이나 춤 실력은 많이 떨어진다. 소녀시대 같은 한국 아이돌보다 뒤쳐지는 건 물론이고, 경쟁자인 하로프로모닝구무스메큐트 같은 그룹보다도 실력이 떨어진다. 아무리 아이돌이 예능인에 가깝다지만 기본적인 직업이 노래와 춤인데 실력이 떨어진다는 비판은 피해갈 수가 없다. 일본에서는 한국 아이돌을 '완성형 아이돌'로 부르고 AKB48을 '성장형 아이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성장형 아이돌이라지만 구성원들의 노력보다는 소속사(아래 소속사 문단 참고)나 방송사, 예능 기획사의 사정, 그리고 프로듀서의 의도가 더 많이 개입되는 경우가 많아서 과연 이게 진짜 성장형 아이돌인가 하는 의구심을 들게 하기도 한다. 사토아미나처럼 열심히 노력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선발에 못 드는 구성원이나 미츠무네 카오루처럼 연구생으로 들어온 지 몇 개월도 안 되어서 잡지 모델이며 TV 광고에까지 출연할 정도로 운영진으로부터 사랑을 받는 구성원도 있어서 팬들 일부는 의아심을 가지고 있다.

[edit]

9. 구조 ¶

AKB48/구조 참조.

[edit]

10. 극장공연 & 디스코그래피 ¶

AKB48이 발매한 싱글& 앨범 음반에 대해서는 AKB48/디스코그래피 항목 참고.
AKB48이 출연하고 있는 극장 공연에 대한 안내 및 팀별 세트리스트 안내는 AKB48/세트리스트 항목 참고.

[edit]

11. 포토북 & 사진집 ¶

AKB48이 발매한 개인 맴버별 포토북 & 사진집에 대해서는 AKB48/포토북 & 사진집 항목 참고.

[edit]

12. 관련 그룹 ¶

[edit]

12.1. 자매 그룹 ¶

AKB48 뿐만 아니라, 일본 각 지역에 자매 그룹을 세워서 활동하고 있다. 이들 그룹은 지역 밀착형 아이돌이라는 컨셉으로 활동한다. 일본은 지방 생활권이 튼튼하게 버티고 있어서 지역 밀착형 로컬 아이돌이라는 개념이 있다. 특히 후쿠오카에는 HR, linq 등 왕성하게 활동하는 로컬 아이돌이 많다. 각 지역자매 그룹의 대표 멤버가 AKB48의 선발로 참여하거나, 자매 그룹들은 AKB48과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활동한다. 특히 2012년 이후 대두된 AKB48 세대 교체의 경우, 본체인 AKB48의 후배들보다는 자매 그룹의 멤버들이 세대 교체를 이끄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자매 그룹과 AKB48은 거의 한 몸과 같이 활동한다고 할 수 있다.

  • 간토: AKB48 (도쿄아키하바라)
  • 주부: SKE48 (나고야현 사카에), NGT48 (니이가타현 니가타[4])
  • 긴키: NMB48 (오사카부 남바)
  • 규슈: HKT48 (후쿠오카현 하카타)
  • 성인향: SDN48 (도쿄부 아키하바라) [5] 얼핏 보면 전부 똑같아보이는 지역별 자매 그룹이지만 나름대로 컨셉이 갈린다. SKE48은 과격한 댄스와 척척 맞아 떨어지는 군무가 특징인 퍼포먼스 그룹, NMB48은 떠들썩한 분위기와 코미디, 예능에 강한 그룹, HKT48은 활달하고 신선한 이미지로 승부하는 로리그룹이다.

나고야시 나카구의 사카에를 기반으로 한 SKE48은 '선샤인 사카에' 2층의 SKE48극장에서 공연 중이다. 이쪽은 AKB48와는 다르게 멤버 전원이 피타고라스 프로모션에 소속되어있었고 이후 AKS로 전원 이적했다. SKE48은 홍보를 위해 멤버인 마츠이쥬리나가 AKB48의 싱글인 <大声ダイヤモンド>에 참여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여러 멤버가 싱글 및 미디어 활동에 참여하며 여러모로 가까운 관계를 유지 중이다. 그런데 이에 대한 말도 많다. '마츠이 쥬리나의 스폰서가 엄청난 자금력으로 푸시 중이라더라'던지 하는... 大声ダイヤモンド의 싱글 커버를 혼자 장식한 전력(?)도 있고 해서 팬들 사이에서는 종종 까이기도 한다. 로고는 오렌색.

오사카 남바에 극장을 둔 NMB48 또한 출범하였다. 2011년 AKB48 제3회 총선거에는 NMB48 1기 멤버들도 참여하였다. 2011년 7월 발매한 첫 싱글 <絶滅黒髪少女>는 데뷔 싱글임에도 불구하고 20만장이 넘는 첫 주 판매량으로 1위를 기록하였다. 요시모토라는 거대 그룹의 지원이 받쳐주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성과였지만, 사실 멤버들 비주얼과 실력도 과소평가받기에는 억울하다. 특히 기반이 간사이인 만큼 개그와 예능감이 강하여, 캐릭터 확립에도 상당한 실력을 보여주고 있다. NMB48 데뷔 싱글의 성공 이후 NMB48 팬들과 SKE48 팬들 사이에 경쟁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로고는 표범 무늬.

2011년 하반기에는 후쿠오카 호크스타운에 극장을 둔 HKT48 또한 출범하여 후쿠오카 현을 비롯하여 규슈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을 개시 하였다. 7월 오디션을 거쳐 2011년 11월 26일 첫 극장공연을 시작했다. '팀 S 2nd stage 손을 잡으며' 세트 리스트를 사용했다. 로고는 검정색.

2013년 7월, 삿포로-도쿄-나고야-오사카-후쿠오카 등 5대 돔 투어를 시작하였는데 이 때문에 삿포로에 새 자매그룹을 만드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많았다. 2013년 7월 30일 스포츠호치 신문에서는 SPR48이 2015년 초 활동을 목표로 준비중이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이후 AKS 측에서는 이 사실을 부정했지만 새 자매 그룹이 생긴다면 삿포로에 생길 가능성이 높은건 사실. 아키P가 SNS 755에서 2015년 중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으나 아직 명확히 드러난 사항은 없다.

그러나 2015년 2월 리퀘스트 아워에서 서프라이즈 발표로 신 자매그룹의 발족이 발표되었는데, 그것은 모두가 예상하던 삿포로, SPR48이 아니라 동해를 거점으로 하는 니이가타현의 니가타시의 NGT48 이였다. 다른 자매 그룹의 지역에 비해 니이가타는 인구가 적고 산업 기반이 약한 편이기 때문에 성공 여부에 대한 말이 많다. 하지만 일단 뚜껑은 열어봐야 아는 법, NGT48은 2015년 3월부터 오디션을 시작으로 10월에 극장 오픈 예정이라고 한다. 공식적으로 정해진 로고는 하얀색.

지역 밀착형 자매 그룹 이외에, 성인들을 위한 48 그룹이라는 컨셉을 내건 SDN48이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활동했다. SDN48은 20대 중반 이후의 구성원들이 주축이 되어 성적 매력을 어필하는 곡과 안무, 그리고 노골적인 가사로 활동했다. AKB48 극장을 공유했는데, AKB48이 공연을 하지 않는 매주 토요일 밤에 공연을 하기 때문에 'Saturday Night'에서 그룹명을 따왔다. 그러나 이렇다할 상업적 성과를 내지 못하는 가운데 스폰서 기업인 GREE마저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2012년 3월 '전원 졸업'이라는 형태로 활동에 종지부를 찍었다. 로고는 광택이 있는 은색.

2011년 9월부터는 일본 이외의 아시아 지역에서 자매 그룹 프로젝트를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이들 해외 자매 그룹은 각지의 연예 기획사에서 일본 AKS와 합작하는 식으로 설립되었다. 일본 내 자매 그룹들과 마찬가지로 각 지역에 전용 극장을 두고 활동하며, 일본 내 48 그룹의 곡을 커버해서 부른다. 구성원들은 현지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오디션을 진행하여 모집한다. 명목상으로는 이들 그룹도 아키모토 야스시가 프로듀스를 맡지만, 사실상 일본 내 자매 그룹과는 별개로 돌아간다. AKB48의 포맷과 곡 판권만 사가서 현지 회사가 운영하는 형태이다. 가끔 AKB48 멤버가 해외 그룹으로 이적하는 경우도 있지만, 현지 회사와 AKB48 소속사 간에 조율이 잘 안 되는 사례도 많다. 그 대표적 피해자가 미야자와사에스즈키마리야다.

JKT48은 2011년 9월 발표되어 오디션을 진행하였으며, 이듬해 9월에는 자카르타 시내 FX 몰 쇼핑센터에 전용 극장을 내고 상시 공연에 돌입했다. 나름대로 열성적인 오타쿠 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중적으로도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다. 로고는 붉은색.

SNH48은 2012년 오디션을 진행, 2013년 1월 프로모션 공연인 'Give Me Power!'로 모습을 드러내었다. 2014년 현재 3기생까지 모집하여 팀SII, 팀NII, 팀HII로 극장 공연을 진행하고 있다. JKT48과는 달리 아직 대중 인지도는 높지 않은 상황. 로고는 하늘색.

두 그룹 이외에 중화민국에 TPE48이라는 그룹이 생길 예정이었다. 사실 TPE48 계획의 발표는 2011년으로# SNH48보다 더 전에 이루어졌으나, 발표 2년이 지난 2013년까지 별 소식이 없는 것을 보면 무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 현지 기업과의 조율이 잘 안 되었다는 설이 설득력을 얻는다.

그 외에 오사카 지역에서 경찰이나 형사를 하다가 은퇴한 5~60대 중년 남성 16명이 결성한 OJS48이라는 그룹이 있다. 이것은 정식 자매 그룹은 아니고, 쿄라쿠에서 운영하는 중년/노인 대상 이벤트 브랜드인 심호흡 클럽 캠페인의 일환으로 제작된 일회성 그룹이다. OJS48은 이후 AKB48 관련 그룹의 악수회에서 경비 및 치안 정리를 맡았고, 그 외에도 봉사활동, 폭력 방지 캠페인 등의 이벤트에 참가하였다.

[edit]

12.2. 라이벌 그룹 ¶

원래는 헬로!프로젝트 아이돌들이 라이벌이어야 맞는데, 저쪽 상황이 상황이다보니 그렇게 되질 못하고 있다. 물론 AKB가 지금처럼 뜨기 전까지는 충분히 라이벌 역할을 하긴 했다.

지하 아이돌N제로는 원래 'AKBN 0'이라는 이름으로 AKB48을 노골적으로 패러디한 그룹이었다. 심지어는 AKB48 극장 앞에서까지 홍보를 한 적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지나치게 그룹명이 비슷하면 문제가 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이름을 N제로로 고쳤다.

2011년 7월, AKB48의 "공식" 라이벌 그룹인 '노기자카46'이 발표되었다. 이쪽도 아키모토 야스시가 프로듀스한다. 하지만 선발 멤버 구성과 같은 부분은 레이블이자 기획사인 소니뮤직에서 전담한다. 아키모토 야스시의 입김이 상대적으로 덜 미치는 셈. 그러나 노기자카46은 연예 오락 방송 등에서 AKB48과 엮여서 나오는 등 실질적으로는 자매 그룹이 아니냐는 이야기를 듣는다.

[edit]

12.3. 표절 그룹 ¶

중국에는 AK98이라는 여성 그룹이 있다. 이름은 Angel Kiss 98의 약자. All Kill In 98 seconds 하지만 A팀과 K팀으로 나뉘어서 활동하는 점, 구성원이 최소 28명에서 최대 98명으로 대인원인 점 때문에 AKB48을 모방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중국에서는 인터넷 게시판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었다고 한다. 참고로 AK-97이 아니다.

한국에도 비슷한 그룹이 있는데 2011년 5월 데뷔한 에이피스는 남성 15인조(21인조였다가 축소) 아이돌 그룹으로 제이드, 라피스, 오닉스 등 세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활동헸으며, 에비스에 있는 전용 극장에서 상시 공연을 진행하는 등 AKB48의 시스템을 그대로 가져왔다. 일본에서 큰 규모는 아니지만 한류 팬들을 중심으로 열성적인 팬들을 확보했다고 한다. 그러나 전용 극장 공연이 2014년을 끝으로 중단되면서 앞날은 불투명한 실정이다.

2011년 9월 데뷔한 리더스라는 그룹는 리더스T, 리더스G, 리더스N 세 팀으로 나누어서 활동하며, 각 팀마다 여덟 명씩 스물네 명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이 팀은 아예 대놓고 AKB48로부터 착안해 왔다고 밝혔을 정도. 그러나 리더스는 소속사가 워낙 소규모이고 경험이 없어서인지 제대로 활동도 못 해보고 자연적으로 소멸했다.

[edit]

12.4. 파생 유닛 ¶

AKB48/파생 유닛 참조.

[edit]

13. 방송 출연 및 파생 미디어 ¶

AKB48/미디어 출연 참조.

[edit]

13.1. 패러디 ¶

여러 매체에서 자주 패러디된다.

아이돌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에서도 AKB48에서 모티브를 딴 듯한 설정이 자주 나온다. 러브라이브!에는 극중 캐릭터들이 총선거를 진행한다는 내용이 나오며,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총선거를 진행하기도 했다. Wake Up,Girls!에는 주인공 그룹인 WUG의 라이벌이라는 설정으로 I-1이라는 그룹이 나오는데 여러 면에서 AKB48을 패러디한 것으로 보인다.

요괴워치에서는 냐키모토 냐스시가 프로듀스한 냐KB48이라는 그룹이 등장한다. 게다가 실제로 AKB48 멤버들이 유닛을 결성해 2015년 1월부터 요괴워치 애니메이션의 엔딩 테마를 담당하게 되었다. 그러면 더빙판은 에이핑크가 맡게되려나?

[edit]

14. 한국에서의 AKB48 ¶

AKB48/한국 참조.

[edit]

15. 사건사고 ¶

AKB48/사건사고 참조.

[edit]

16. 같이 보기/하위 항목 ¶

\----

  • [1] 도쿄 도내에서 전자부품 제조업을 경영하는 자산가 집안의 아들이라고 한다. 부친에게서 약 20억엔의 자금을 빌려서 AKS를 설립했다고 한다.
  • [2] 시바 코타로와 이 자금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뒷이야기가 많이 돌아다니고 있다.
  • [3] 물론 일본에는 에반게리온 파칭코, 비트매니아 파칭코, 겨울연가 파칭코처럼 다양한 미디어를 소재로 한 파칭코가 있기 때문에 AKB48 파칭코가 특별히 이상한 경우는 아니다. 티아라가 일본에서 티아라 파칭코를 만들어서 욕을 먹었지만 사실 파칭코 자체만 가지고는 욕 먹을 일까지는 아니었다.
  • [4] 현과 현청 소재지 이름이 같다. 다른 비슷한 예로는 오사카부 오사카시, 우리나라의 서초구 서초동으로 생각하면 된다.
  • [5] 2012년 3월 28일자로 활동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