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511 lines (262 loc) · 13.8 KB

나승현.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511 lines (262 loc) · 13.8 KB

![http://photo-media.daum-img.net/201003/12/yonhap/20100312162614115.jpg](http ://photo-media.daum-img.net/201003/12/yonhap/20100312162614115.jpg)

[[JPG external image]](http://photo-media.daum- img.net/201003/12/yonhap/20100312162614115.jpg)

롯데 자이언츠 No.29

나승현(羅承鉉)

생년월일

1987년 4월 6일

출신지

광주광역시

학력

송정동초-충장중-광주제일고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06년 롯데 자이언츠 2차 1라운드 1순위 지명

소속팀

롯데자이언츠(2006~)

Contents

  1. 개요
  2. 2006 ~ 2008년
  3. 2009 시즌
  4. 2010 시즌
  5. 2011 ~ 2012 시즌 군 복무, 그 이후
  6. 별명
  7. 연도별 주요 성적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2%98%EC%8A%B9%ED%98%84?action= edit&section=1)]

1. 개요 ¶

롯데 자이언츠 소속의 우완 사이드암 투수.

광주일고 시절에는 뱀직구로 극찬을 받았던 초고교급 선수였기에[1] 롯데자이언츠류현진 대신에(류현진은 2차 1라운드 2순위) 지명한 선수지만 성장을 전혀 하지 못하면서 롯데 팬들의 속을 화려하게 불태웠다.[2]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2%98%EC%8A%B9%ED%98%84?action= edit&section=2)]

2. 2006 ~ 2008년 ¶

![https://lh6.googleusercontent.com/-57r9_orMUa8/VOBVH40b3OI/AAAAAAAAEE4/KXjWc OJFMjw/w200-h149-no/2006.gif](https://lh6.googleusercontent.com/-57r9_orMUa8/V OBVH40b3OI/AAAAAAAAEE4/KXjWcOJFMjw/w200-h149-no/2006.gif)

[[GIF external image]](https://lh6.googleusercontent.com/-57r9_orMUa8/VOBVH40b 3OI/AAAAAAAAEE4/KXjWcOJFMjw/w200-h149-no/2006.gif)

2006년 첫세이브 때 던진 뱀직구. 프로데뷔 첫 세이브 동영상

데뷔 첫 해인 2006년에 고졸 신인 역대 최초로 두 자릿수의 세이브를 올리는 등 신인으로서는 나쁘지 않은 성적을 올렸다(2006시즌 3패 16세이브, 평균자책점 3.48, WHIP 1.56). 개막후 두 달여 동안 고작 8과 2/3이닝만 소화할 정도로 뚜렷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해 롯데 팬들이 류현진을 생각하며 뒷목을 잡게 만들었으나, 프로데뷔 첫 세이브가 상당히 임팩트가 있었다. 2006년 5월 24일 KIA전 2:1로 앞선 9회초 무사만루에서 강병철 감독이 나승현을 등판시키는 모험을 감행했는데, 외야플라이만 맞아도 동점이 되는 상황이었찌만 세 타자를 모두 범타로 요리하며 세이브를 따냈다. 그 다음날 경기에서도 9회초 아웃카운트 3개를 모두 삼진으로 잡아내며 이틀 연속 세이브.

그 이후 마무리 투수로 고정되어 파죽지세로 세이브를 쌓아나가기 시작했다. 이 잠깐의 임팩트가 얼마나 강렬했던지 당시 롯데 구단에서 팬들을 대상으로 나승현의 별명을 공모했고, 그 중에서 뽑힌 별명이 무려 철벽 갈매기[#](https://www.giantsclub.com/html/?pcode=135&bcIdx =1&MODE=V&bIdx=132583&searchId=&searchKeyword=&P=189&CategoryGubun=&TempDel=&P C=20&PrivateKey=&type=)(...) 그런데 이 별명을 달자마자 하락세를 타고 난타를 당하며 숯불 갈매기라고 까였다. 고졸 신인이 마무리로 계속되는 연투를 하다가 체력이 바닥나 버린 탓.

그리고 이 신인 시절이 그의 커리어 하이 시즌이 될 줄은 구단도 팬들도 본인도 몰랐을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del>

2년차인 2007년 시즌부터 마무리투수로 활약할 듯했으나, 2007 시즌은 카브레라, 2008 시즌은 임경완최향남→코르테스, 2009 시즌은 존애킨스가 마무리 투수를 맡으면서 나승현은 마무리 투수 자리에서 멀어졌다. 팀 상황도 그랬지만 나승현 본인도 신인 시절의 좋았던 공을 던지지 못하며 1군에 안착하는 것도 실패했다.

2008년에는 직구만으로 프로무대에서 버틴다는 뉘앙스의 기사가 보도되기도 했다. 게다가 몸쪽 제구가 전혀 안 되었다.

일단 사이드암 투수를 가르칠 수 있는 코치가 아무도 없는 롯데에서 빨리 나와야지 포텐셜이 터질 거라는 신빙성 높은 이야기가 돌았다.[3] 당장 2010년 기대 이상의 활약을 한 이재곤 역시 포텐이 터졌던 때는 경찰청 복무 시절이었다. 당시 경찰청에 복무하던 같은 사이드암 투수 신용운의 권유로 싱커를 배우기로 작심하고 신용운, 손승락의 투구를 보고 연구와 노력을 거듭한 끝에 체득했다고 한다. 그리고 2010년 이재곤의 싱커는 리그 전체에서도 손꼽히는 명품이었다.
일개 현역 투수가 아무리 지도에 자질이 있더라도 전문적인 코치들만큼 해주기는 힘든 법일 텐데, 이런 자원을 1년 동안 알아보지도 못한 롯데 코치진은 까여야 마땅하다.

2010년 7월 20일 황재균김민성+김수화 트레이드 때 넥갤에서 김수화 대신 나승현을 달라고 한 사실이나, 가끔 다른 팀에서도 트레이드 제의가 들어오는 걸 보면 당시까지도 나승현에게 그의 고교 시절 성적을 떠올리며 기대를 거는 사람들이 있었던 듯하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2%98%EC%8A%B9%ED%98%84?action= edit&section=3)]

3. 2009 시즌 ¶

2009 시즌에도 1군에는 포함되었지만, 이정민과 함께 중간계투의 추격조(패전처리조)로만 나왔다. 입단 동기이자 같은 사이드암 투수인 배장호한테도 완전히 밀렸다. 팬들은 언젠간 포텐셜을 폭발시키리라 정처도 없이 그저 믿으면서 한없이 기다리기만 했다. 포기한 사람도 있지만 혹자는 언더핸드 출신의 쓸만한 코치를 만나면 괜찮아 질 거라고도 했다. 광주일고 대선배인 이강철 정도?

2009 시즌 8월 15일 경기에서 선발인 손민한이 야수진의 꼴데야구와, 본인 구위의 급격한 하락으로 내려가자,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이후 8회까지 1실점하면서 틀어막는 대단한 저력을 보여줬다. 130km/h 중후반에 머물던 구속도 평균 140km/h 초반대에서 잘 나오면 최고 147km/h 까지 나오는 등 보는 사람들을 경악시켰다. '드디어 포텐셜 폭발인가' 싶었지만 현실은 유일한 변화구인 슬라이더는 거의 다 제구가 영... 불펜 투수라도 최소 2피치는 있어야 프로에서 살아남을까 말까 하는데...

2009 시즌은 22경기 30⅔이닝 4패 , 평균자책점 5.28, WHIP 1.60을 기록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2%98%EC%8A%B9%ED%98%84?action= edit&section=4)]

4. 2010 시즌 ¶

신임 투수코치 양상문이 투구폼에 손을 대면서 더욱 안 좋아졌다. 스트라이드 폭을 줄이면서 하체를 거의 활용하지 않는 상체 위주의 투구로 바뀌었는데, 어깨는 제대로 안 돌아나오고 턱이 들리며 공이 완전히 붕 떠서 맞아 나갔다.

2009 시즌에는 패전처리로나마 경기에 출장하였으나, 2010 시즌에서는 아예 2군에서도 올라오지 못하였다.

2010 시즌 4월 10일 경기에서 20.25라는 아름다운 평균자책점을 찍고 그 이후에는 마운드에 오르지 못했다.

9월 5일 1점차이로 삼성에게 끌려가던 경기에서 뜬금없이 등판해 1이닝 7자책점을 기록하며 미친듯이 난타당했다. 이날은 김수완도 좀 이상했지.....

아무리 욕해도, 2006년 뒷문을 잠깐이라도 지켰던 시절의 모습을 그리워하는 팬들이 많은 것 같았다.

2010 시즌 정규시즌 기록은 2경기 2⅓이닝 0승 0패 ERA 38.57 WHIP 6.00. 결국 시즌 종료 후 경찰야구단에 입대 신청서를 냈고 결국 경찰청에 들어갔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2%98%EC%8A%B9%ED%98%84?action= edit&section=5)]

5. 2011 ~ 2012 시즌 군 복무, 그 이후 ¶

2011년 초반에 경찰청 2군 경기에 잠깐 나왔다가 7.5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고 버로우, 8월 말경부터 다시 출전하였다.

2011년 9월 6일 기준으로 10경기 1세이브 1홀드 11⅓이닝 1볼넷 9탈삼진 WHIP 1.24 피안타율 .283 여기까지 보면 뭔가 그럴싸해 보였지만 평균자책점이 무려 6.35에 달했다.

2012년에도 계속 2군 경기에 출장했는데 주로 마무리투수로 나왔다.

2012시즌 퓨쳐스리그 최종성적은 44경기 3승 5패 17세이브 3홀드 35사사구 61탈삼진 그리고 **평균자책점 5.26(…)**을 기록하였다. 세이브는 북부리그 1위이자 NC다이노스김진성에 이어서 2군 전체 2위지만, 역시 평균자책점이 문제였는데, 시즌 중반부터 대량실점하는 경기가 많아진 것이 평균자책점 상승 원인으로 보였다.

9월에 제대하고 롯데 자이언츠 2군 훈련에 합류하였다.

2013년에 1군으로 올라온 적이 없다보니 항목 수정이 2014년 1월에 됐다.

2014년 7월 9일 기준으로 2군에서 20경기 동안 20이닝을 소화해 1패 2홀드 평균자책점 7.65를 기록하고 있다. 탈삼진이 16개인데 사사구가 11개인걸로 봐서 여전히 문제는 제구인듯.

5년간 사귀었던 연인과 2014년 12월 결혼했다. 팬들은 결혼했으니 이제 잘 좀 하라며, 문규현과 같이 긍정적인 반등을 하기를 조심스레 기대하고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2%98%EC%8A%B9%ED%98%84?action= edit&section=6)]

6. 별명 ¶

별명은 나토이 내지는 목도리 도마뱀과 닮았다고 해서 나목도. 류현진 대신 뽑았다고 해서 류거나[4]라는 별칭도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2%98%EC%8A%B9%ED%98%84?action= edit&section=7)]

7. 연도별 주요 성적 ¶

역대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06

롯데 자이언츠

51

54⅓

0

3

16

0

0.000

3.48

55

2

34

33

21

21

1.564

2007

26

42

1

2

0

0

0.333

4.07

37

3

32

31

20

19

1.476

2008

33

42

0

3

0

0

0.000

4.93

41

2

21

25

25

23

1.357

2009

22

30⅔

0

4

0

0

0.000

5.28

38

2

14

23

22

18

1.598

2010

2

2⅓

0

0

0

0

0.000

38.57

12

2

3

2

10

10

6.000

2011

경찰 야구단에서 복무

2012

2013

1군 기록 없음

2014

KBO 통산(7시즌) 134

171⅓

1

12

16

0

0.077

4.78

183

11

104

114

98

91

1.558

\----

  • [1] 광주일고시절 성적을 보면 다른 선수들에게 나승현은 넘을 수 없는 4차원의 벽이었다. 이런 선수가 2차지명으로 흘러나온 건 같은 지역(광주), 같은 년도에 한기주가 있었기 때문이다.
  • [2] 류현진이 2013년 메이저리그로 가서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으면서부터는... 비교조차도 포기했다.
  • [3] 전혀 무시할 수도 없는 게, 이미 롯데를 나가서 오히려 잠재력이 폭발한 선수들이 은근히 있기 때문. 대표적인 케이스가 이원석.
  • [4] 현진 르고 승현. 김거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