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대구시내버스 452번
운영 업체
영진교통
기점
대구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가창중학교)
종점
대구 서구 평리1동(비산초등학교)
첫막차시각
05:30~22:22
배차간격
평일 17분, 주말 18분
인가대수
12대
- 개요
- LED 표기 현황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C%80%EA%B5%AC%20%EB%B2%84%EC%8 A%A4%20452?action=edit§ion=1)]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 가창중학교(4)에서 달서구 두류1,2동 이월드 후문(5)을 거쳐 서구 평리1동 비산초등학교(2)까지 운행하는 영진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주요 경유지는 **대일리종점(가창초교) - 가창중학교 - 대림생수 - 냉천리 - 스파밸리 - 허브힐즈남문 - 가창중석타운 -
대구텍/대중금속공고입구 - 용계교 - 가창면사무소/가창우체국 - 가창농협/용계초교 - 가창교 - 파동화성파크뷰 - 파동우체국 -
우방대자연맨션2차 - 우방대자연맨션1차 - 파동주민센터 - 신세계주유소 - 파동1차시장 - 보성송원맨션/동신실리안아파트 -
수성못코오롱하늘채[1]
- 수성못오거리[2]
- 상동가압장[3]
- 화성전문요양원/수성동일하이빌레이크시티 - 상동교[4]
- 청구효성타운2차/효명초교삼거리/고산골입구 - 서한미리내맨션/효명초교 - 협성중고교/경일여중고/경복중학교입구 - 봉덕초교/대구화교중학교
- 대구팔레스호텔 - 남구청/봉덕1동주민센터
[5]
- 신신정비공장 - 영대병원네거리 - 남부경찰서 - 현충로역 - 앞산네거리 - 서대명지구대 - 남명삼거리/앞산카페거리 - 룸비니유치원/안지랑시장 - 대덕천주교회 - 대명6동주민센터 - 한마음주유소 - (성명119안전센터, 관문시장 → 대덕초등학교 → 앞산궁도장 → 장관빌라 → 송현공원 → / ← 성명119안전센터, 관문시장) - 서부정류장/성당못역/성당네거리 - 성당동현장민원실 - 두리봉네거리 - 대구문화예술회관/성당못 - 두류수영장 - 두류공원네거리 - 문성병원 - 성당시장/대구광역시 종합복지회관 - 성남초교 - 이월드후문 - 두류보성맨션 - 내당역/홈플러스 내당점 - 황제맨션/홍실2차타운 - 내당1동우체국 - 평리2동주민센터 - KT서대구지사 - 평리초교/평리중학교 - (서부고교 → 평리광명네거리 → 평리네거리 → 대평리시장/서부중학교 → 대평중학교 → 비산초등학교)**이다. 비산초등학교에서 10분 정차했다가 (북비산네거리 → 대구은행 북비산지점/비산동우체국 → 비산6동주민센터 → 비산웰빙하와이 → 평리1동주민센터) 구간을 거쳐 평리초교/평리초교부터는 대일리까지 역순으로 운행하며 비산동 방향의 야간 막차는 비산초등학교에서 운행을 끝내고 검단동차고지로 회송한다.
2006년 2월 노선개편 때 424(-1)번[6]
을 전격 단축하고 변형한 노선이다. 다만 424(-1)번 시절에는 대명6동 경유,
앞산순환도로~장관빌라 경유 분리 구간이 있었는데 2006년 개편 때 대명6동으로 통합했고 수성못오거리에서 상동교로 운행할 때 양방향
상동네거리 경유[7]
였으나, 2006년 개편 때 상동교 - 중동교/상동시장 구간이 상동교 - 상동가압장 왕복 경유로 직선화되었다.
파동이나 상동교, 미리내맨션 일대에서
영대병원역으로 가기 때문에 봉덕동 일대에서
지하철 환승 수요가 많으며 봉덕3동에 있는 협성중고교(경복중학교 포함),
경일여자중고교 학생들의 등하교 시간에는 가축수송을
자랑한다. 하지만 서구 지역에서 수요가 많았던
서구청, 북부정류장으로 운행하지 않는
까닭에[8]
서부정류장 이후 구간에서는
다소 한산한 편이다. 구간 수요가 대부분으로 특정 시간대 외에는 비교적 한산한 이유로 2006년
개편 초에는 17대가 10분 간격으로 운행했으나
순환3번에
3대를 헌납했으며(...) 2013년 12월 8일
급행2번에
2대 더 증편하기 위해 2대 더 감편하게 되어 배차 간격이 늘어났다.
1980년대 고정배차 시절에는 18번과 19번 두 노선 모두 현대교통, 일신교통에서 운행했다. 이중 일신교통(현 영진교통)은 현재에도 452번을 운행하고 있다.
비산초등학교 앞에 452번 외에 420번,
724번,
750번[9]
이 정차하는 비산초등학교
정류장과 별도로, 비산초등학교 담벽 앞에 452번의 회차 전용 정류장이 있는데 사실상 이 정류장이 452번의 종점이다. 따라서 절대로 이
곳에서 승하차하지 말 것. 그리고 버스 안내에도 비산초등학교가 정식 종점으로 뜨게 되어 북비산네거리 이후 구간에서 버스도착 안내기에 기점출발
시간이 안내된다.[10]
2013년에 감차당한 이후에는 대일리로 갈 때 중간종료 막차가 없고 대일리 출발 차량 중 성당시장에서 운행을
끝내는 막차가 하나 있다.
19번 시절 파도고개로 들어가기 전에는 삼각지네거리를 통해
서문시장을 경유한 적이 있는데 양지로 일대를 다르게는
"19번 도로"라고도 부른다.[11]
2014년 10월 18일 노선 개편을 통해 비산초등학교 방면 한정으로 송현공원, 장관빌라를 편도 경유하게 되어 424(-1)번 일부 구간이 부활하게 되었다. 단, 성명119안전센터에서 대덕초등학교로 좌회전하기 때문에 대명남로에서 서부정류장으로 가는 승객들은 조금 불편해졌으며, 배차간격도 약간 더 늘어났다. 2006년 개편 후 대덕초등학교는 달성2번이 회차지로 썼는데 당연히 편도 운행하기 때문에 대덕초등학교 앞에만 정류장이 있었다. 하지만 452번이 비산초등학교 방면으로 갈 때 대덕초등학교 건너편을 편도 운행하게 되면서 건너편에도 정류장이 생겼다. 이래저래 파도고개로(내당역 - 성남초교 - 성당시장 구간) 연선만 안습이 된 상태.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C%80%EA%B5%AC%20%EB%B2%84%EC%8 A%A4%20452?action=edit§ion=2)]
2. LED 표기 현황 ¶
- 비산초등학교 방면→대일리 방면 추가바람
\----
[1]
비산동 방면만 정차[2]
대일리 방면만 정차[3]
비산동 방변만 정차[4]
비산동 방면만 정차[5]
비산동 방면만 정차[6]
1998년 개편 전 424번은 18번, 424-1번은 19번이었다. 424번은 스파밸리파동수성못오거리상동시장미리내맨션~서부정류장서구청북부정류장팔달시장성북교복현오거리경대북문경대교대구역중구청동신교수성하이츠/대구은행역스파밸리을 순환 운행하던 노선으로 424-1번은 역순으로 운행했고 대봉교, 신천동로를 통해 동신교로 올라갔다.수성못오거리파동[7]
파동 방향은 상동시장 앞길이 일방통행인 관계로 상동교에서 대구한의대학교병원으로 좌회전하여 중동교까지 올라갔다가 중동네거리, 정화우방팔레스를 거쳐 수성못오거리로 내려왔다. 2006년 개편 이후 수성못오거리에서 상동시장으로 가는 노선은 349번(유통단지 방향 한정)밖에 없다.[8]
424(-1)번 시절 북부정류장과 서부정류장을 연결하던 유일한 일반버스이기도 했다. 현재 북부정류장과 서부정류장을 이어주는 노선은 726번만 있다.[9]
420-1번, 724번, 750번은 건너편 정류장에도 정차하지만 452번은 이 곳이 회차지이므로 편도 운행이다.[10]
비산초등학교에서 대기하는 바람에 대구은행북비산지점에서는 452번이 뜨고 있다가 갑자기 **실종**된 후, 출발하면 다시 떴다.[11]
같은 이유로 13(-1)번 시절 운행하던 아양네거리 ~ 망우당네거리 사이 도로를 "13번 도로"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