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대구시내버스 521번
운영 업체
경신교통
기점
대구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정수사업소)
종점
대구 동구 효목1동(조양회관)
첫막차시각
05:3022:17(매곡리), 05:3022:15(조양회관)
배차간격
평일 13분, 주말 16분
인가대수
21대
- 개요
- LED 표기 현황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C%80%EA%B5%AC%20%EB%B2%84%EC%8 A%A4%20521?action=edit§ion=1)]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공영차고지(5)에서 서구 중리동 중리네거리(2)을 거쳐 동구 효목1동 망우공원(1)까지 운행하는 경신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주요 경유지는 **매곡정수사업소, 매곡리공영차고지 - 다사읍사무소 -
매곡네거리 - 대실역 - 강창교 -
계대정문 - 계대동문 - 성서종합시장 -
와룡시장[1]
-
와룡공원/신당동우체국/신당동주민센터(동편) - 이곡시장 - 선원초교 -
성서고교 - 경원고등학교 - 세방골(상리지하차도) - 신도운수(구
달구벌버스 차고지) - 서대구공단네거리 -
이현삼거리 - 서평초교 - 평리명성아파트 - 평현치안센터[2]
- 서구문화회관 - 중리네거리 - 중리롯데캐슬(서편) - 퀸스로드 -
삼익뉴타운 - 남평리네거리(평리청구타운) - 서대구우체국 - 신평리네거리
- 한국폴리텍Ⅵ대학대구캠퍼스 - 서구시장 - 평리광명네거리 - 서부고교 - 평리1동주민센터 - (비산6동주민센터 → 비산동우체국 → / ← 평리중학교 ← KT서대구지사)
- 비산네거리 - 큰장네거리 - 동산네거리(섬유회관) - 중부경찰서 - CGV대구한일 - 대구광역시청 - 태평상가(동인네거리) - 칠성시장 - NH농협은행경북영업부 - 강남약국 - 공고네거리 - 파티마병원 - 동대구역 - 고속터미널/지하철동대구역 - 신천동경북아파트 - 동부정류장 - 동구시장입구(수성도서관)
- 효목초교 - 효목네거리
[3]
- 청기와주유소(망우당네거리) - 망우공원(조양회관)**이다. 단, 망우공원 내에서는 조양회관 종점으로 들어올 때 한정으로 아양아트센터/대구기상대를 경유하고, 시내로 나갈 때는 조양회관에서 우회전하여 기존의 4번국도(화랑로)로 나온다.
1998년 개편 이전에는 이현동황금아파트 구간을 운행하던 83번이었으며 이 때 242번으로
변경되고 청호로를 거쳐 범물1동으로 연장되었다. 이 때 하루 10회 가르뱅이(상리동)까지 연장 운행했다가 204번범물1동 구간을 운행하다가 2006년 개편 때 521번으로 변경되고 성서주공5단지에서
다사읍까지 연장되고 범물1동에서 망우당공원으로 종점이 변경되었다. 이 때
황금동, 범물1동 순환 구간은 신설된 수성1(-1)번에 넘겼다.[4]
에 넘겼고
1999년 이현동에서 세방골을 경유하여 성서주공5단지로 연장되었다.[5]
한동안
성서주공5단지
서구 지역의 교통불편 지역들을 연결하다 보니까
간선버스임에도 불구하고 서구 구간에서 굉장히
굴곡이 심하다. 이 굴곡 구간들은 242번 시절에도 있었기 때문에 이 굴곡 지역에 사는 주민들에게는 유일한 노선에 가까워 절대 없어서 안
되는 노선이다. 다만 242번 시절에는 8분 간격으로 운행되었으나, 521번으로 바뀌고 배차간격이 길어졌다. 시내에서 망우당공원까지 구간은
칠성시장을 돌아서 가는 굴곡 구간인 데다가 해당 구간에는
156번과
708번도 있으며,
서구 구간에서의 굴곡구간 때문에 성서에서 타는
승객들 중 서대구공단네거리 쪽으로 가지 않는 이상 성서를 벗어나기 위해 이 노선을 타는 승객은 거의 없다. 거기다가
서구 구간의 굴곡구간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곳이
많아서[6]
이 구간에 사는 주민들 수가 줄어든 듯하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2006년 개편 초기에는 10분 간격으로 다녔으나, 승객이
줄었는지 개편 이후에도 감차를 당해 배차간격이 늘어났다. 그래서 하술한 것처럼 신차 투입 순위에서도
527번에 밀렸다.
경신교통의
527번 신차 몰아주기로 인해 신차 투입은
사실상 없는 노선이었다. 저상버스를 새로 출고하여 투입되지
않는 이상 주로 527번에서 몇 년간
운행하다가 527번에 신차가 투입될 때마다
기존 527번에 있던 차량들이 이 노선으로
넘어와 운행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대차 시기가 가까워지면 여기에 있던 차량들을 아예
달성군 하빈면으로 가는
성서2번으로
보내 버린다. 대차 이후 신차 출고시 또다시
527번에 투입하고 이러한
차돌리기를 심하게 반복하였다. 이런
차돌리기 때문에 521번에 투입되던
저상버스 2대가 모두
성서2번으로
트레이드됬으며, 트레이드된 후 저상버스를 새롭게 1대를
출고하여 521번에 투입 중이다.[7]``[8]
다만 2013년에는
경신교통 소속의 디젤 차량이 대차되면서 신차 일부가 이
노선에 투입되었고 이후에도 신차 투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서 2015년 현재는 연식 좋은 차량들이 많아졌다.
교동네거리 ~ 시청 ~ 공평네거리 구간은 RH는 물론 주말에도 정체가 심한 구간이기 때문에 시내로 갈 때 해당 시간대에는 521번을 타고 시청으로 우회할 생각은 안 하는게 좋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C%80%EA%B5%AC%20%EB%B2%84%EC%8 A%A4%20521?action=edit§ion=2)]
2. LED 표기 현황 ¶
- 다사 방면
- 망우당공원 방면 추가바람
\----
[1]
망우공원 방면에만 정차한다.[2]
매곡 방면에만 정차[3]
다사 방면에만 정차한다.[4]
1998년 개편 전에는 가창면 우록리/단산리반월당가르뱅이를 40분 간격으로 다니던 133번 노선이었으며 2006년 개편 때 신설된 202(-)번에 가르뱅이 구간을 넘기고 폐선되었다. 현재 우록리/정대리/단산리 안쪽으로는 가창2번이 운행 중.[5]
사실 506번(현 달서2번의 전신)이 영남우방타운(조달청)에서 성서고등학교를 경유하여 세방골로 운행했는데 이로 인해 성서고교 ~ 세방골 ~ 서대구공단네거리 ~ 와룡네거리 ~ 용산영남타운 ~ 용산1동으로 다니게 되어 굴곡이 너무 심했다. 결국 242번에게 세방골을 넘기고 506번은 성서고등학교에서 세방골 대신 용산지하차도(용산2동주민센터)로 직선화됬다.[6]
평리동 대평리시장 쪽 구간이나 서평초교, 서구문화회관 일대가 대표적인 낙후 지역이다. 거기다가 내당4동 최북단의 삼익뉴타운 일대에 있는 아파트들도 지금은 노후화되었고....그나마 중리주공아파트가 중리롯데캐슬로 재개발되기는 했다.[7]
하빈면이 달성군 관내에서 가장 교통이 불편하나, 도로 사정은 나은 편이다. 따라서 저상버스가 들어가도 무리가 없다고 판단한 듯.[8]
고속버스 회사들 중 이와 같은 방식으로 차돌리기를 심하게 하는 회사는 동양고속이다. 대구광역시에서 수도권으로 가는 노선에는 서울경부행이 아닌 인천행에 신차를 우선 투입하기 때문이다. 서울경부-부산/마창/진주/포항 및 인천 - 대구에 들어갔다가 중고가 되면 동서울 - 대구로 내리고, 또 중고가 되면 서울경부/성남 - 대구로 내린다. 따라서 동양고속의 서울경부 - 대구에 투입되는 차량은 폐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