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 정보는 동대구역(도시철도)로.
주의, 미개통 구간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 다루는 노선의 일부는 아직 운영되지 않거나 현재 공사 중입니다. 문서를 열람하실 때 참고하시기 바라며, 공사 종료가 확인되면 이 틀을 제거해 주세요.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개업일 : 1969년 6월 10일
경부고속철도 개업일 :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선 개통일[1]
: [2015년 예정](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
LSD&mid=sec&sid1=101&oid=001&aid=0007125238)
등급 : 관리역(1급/중추역)
←
동대구
→
경부고속선(대구남연결선)
←
동대구
(대구남분기점)
→
시종착역
동대구
(대구남분기점)
→
KTX 영업 개시일: 2004년 4월 1일
←
동대구
→
←
←
동대구
→
←
→
←
동대구
→
←
→
←
→
←
동대구
→
←
ITX-새마을 영업 개시일: 2014년 5월 12일
←
동대구
→
←
동대구
→
무궁화호 영업 개시일: 1984년 1월 1일
←
동대구
→
→
시종착역
동대구
→
←
동대구
→
시종착역
동대구
→
→
←
동대구
시종착역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 미정
←
동대구
→
구 대구선의 다음 역은 동촌역이었다. 또한 구 대구선의 종점인 대구역까지는 별도의 노반이 있었다. 자세한 건 대구선 참조.
東大邱驛 / Dongdaegu Station
[JPG image (32.35 KB)]
지하철 동대구역에서 바라본 동대구역. 우측 하단에 있는 지하철역 연결 통로는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공사로 폐쇄되었다.
![http://www.gameplanet.co.kr/xe/files/attach/images/15461/601/783/001/3aa3922 bde4f799e072282105be6de07.jpg](http://www.gameplanet.co.kr/xe/files/attach/ima ges/15461/601/783/001/3aa3922bde4f799e072282105be6de07.jpg)
[[JPG external image]](http://www.gameplanet.co.kr/xe/files/attach/images/1546 1/601/783/001/3aa3922bde4f799e072282105be6de07.jpg)
KOF 2002 UM에서 한국 배경 스테이지가 되어 충실하게 재현되기도 하였다.
![ddgstfrombusstop.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_eb_8f_99 _eb_8c_80_ea_b5_ac_ec_97_ad_28_ea_b2_bd_eb_b6_80_ec_84_a0_29/ddgstfrombusstop. jpg)
[JPG image (246.8 KB)]
택시/버스정류장에서 바라본 동대구역. 우리은행 [ATM]( /wiki/%ED%98%84%EA%B8%88%20%EC%9E%90%EB%8F%99%20%EC%9E%85%EC%B6%9C%EA%B8%88%EA %B8%B0)이 이쪽에 있다.
- 개요
- 열차 운행
- 승강장
- 주변 교통
4.1. 동대구환승센터 (2016년 완공 예정)
- 기타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F%99%EB%8C%80%EA%B5%AC%EC%97%A D%28%EA%B2%BD%EB%B6%80%EC%84%A0%29?action=edit§ion=1)]
![tong80jul23.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_eb_8f_99_eb_8 c_80_ea_b5_ac_ec_97_ad_28_ea_b2_bd_eb_b6_80_ec_84_a0_29/tong80jul23.jpg)
[JPG image (105.26 KB)]
(동대구역. 1980년 7월 23일)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73(구 신암4동 295번지) 소재. KTX가 정차하며, 시내에 있는 관계로 확장이 불가능해 더 이상 규모를 키울 수 없는 대구역을 대신하는 대구광역시의 관문이다.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등의 민자 역사들과는 달리 본래 업무에 충실한 철도역으로서의 기능만 가진다.
1960년대 이후 경부선의 수송량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대구 쯤의 위치에도 열차의 입환, 정비, 주박 등을 위한 시설이 요구됨에 따라 넓은 부지에 많은 선로를 확보한 역이 필요해졌다. 하지만 기존의 대구역은 도심에 위치하고 주변의 도로망이 복잡해짐에 따라 더 이상의 확장이 불가능한 관계로, 도심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새로운 역을 짓기로 하여 1969년에 영업을 개시한 이후 1971년 12월 29일에 선상역사를 완공하였다. 이후 본래 대구역이 하던 중심 정거장의 기능을 거의 대부분 동대구역으로 이전하여 지금과 같은 대구의 대표 역이 되었다.
이후 2004년 KTX 개통을 맞이하여 동대구역 역사 남부에 새로운 역사를 건립하여 구 역사와 함께 쓰고 있다. 신역사를 지을 때 구 역사 외관을 리모델링한 탓에 밖에서 보면 구분하기 어렵지만, 안에서 보면 어디까지가 구 역사고 어디까지가 신역사인지 바로 알 수 있다.
언뜻 보기에는 대구 시내 중심가에서 강 건너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버스나 지하철로 15분 내로 갈 수 있을 정도로 도심에서 멀지 않다. 서울로 치면 서울역에서 용산역 정도의 거리일 뿐이다.
![http://www.yeongnam.com/Photo/2012/03/27/L20120327.010010750510001i1.jpg](ht tp://www.yeongnam.com/Photo/2012/03/27/L20120327.010010750510001i1.jpg)
[[JPG external image]](http://www.yeongnam.com/Photo/2012/03/27/L20120327.0100 10750510001i1.jpg)
현재는 사진 우측하단 하얀 건물이 보이는 자리에는 주상복합 아파트가 들어서있다.
철길을 건너는 고가교 바로 옆에 붙어 있는 선상역사이며 주 출입구가 고가교 쪽으로 나 있는 형태라 역사가 주변 지형보다 약간 높게 세워져
있다. 그래서 서울역,
용산역 등 타 선상역사와 달리 역입구 높이가 맞이방 높이 그대로이며,
거기서 한 층 내려가면 바로 승강장이다. 즉 올라갔다 내려가지 않아도 된다는 것. 선상역사가 아닌 다른 역들도 규모있는 역들은 육교나
지하도를 오르락내리락 해야되기 때문에 계단은 확실히 덜 오르락내리락 해도 된다.역까지 걸어올라간다면 힘들겠지만 사진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뿔은 지하철 동대구역의 자연채광창이다.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송탄역과 대략 비슷한 형태라고 생각하면 된다.
실제로 대구역과 동대구역의 크기를 비교하면 동대구역이 철도역 부분만 치더라도 대략 2~3배 이상 크다. 그래서 철도업계 종사자나 철도동호인들에겐 서울-대전-대구-부산이란 나열보단 서울-대전-동대구-부산이 훨씬 익숙한 것이다. 다른 지역에 있는 타는 곳 안내판에도 '동대구 방면'으로 나온 역이 '대구 방면'으로 나온 역보다 훨씬 많다. 동대구역이 말 그대로 대표적인 역이기에. 이러한 사실을 잘 모르는 외지인들(대구에서 가장 큰 역은 대구역이라고 생각하기 쉽기에 실제 고속철도 운행 전에 인터넷에서 열차를 검색하던 사람들 중 '대구 가는 새마을호가 왜 검색이 안 되느냐'고 질문하는 이들이 좀 있었다.) 때문에 동대구역의 이름을 대구역으로 바꾸고 대구역에 서대구역 혹은 새로운 이름을 붙여야 한다는 주장도 심심치 않게 나온 적이 있으나, 번번이 이런 저런 이유로 반대에 부딪치다가 흐지부지 되었다. 사실 실제로 미개통이긴 하지만 서대구역 자체는 존재한다.
주변 지역의 번화한 정도나 유동 인구는 대구역에 비해 확연히 떨어진다. 당초 동대구역을 지은 이유부터가 대구역은 주변지역이 너무 활성화됨에 따라 확장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임을 생각하면 당연한 일이다. 일본의 오사카역과 신오사카역의 관계와 유사하다고 보면 되겠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F%99%EB%8C%80%EA%B5%AC%EC%97%A D%28%EA%B2%BD%EB%B6%80%EC%84%A0%29?action=edit§ion=2)]
![동대구역.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EB%8F%99%EB%8C%80%EA %B5%AC%EC%97%AD.jpg)
[JPG image (174.64 KB)]
[동대구역의 위엄.jpg](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DongDaeguStationLED
panel.jpg) 깨알 진해라이너 그리고 순천행초근성이 있던 흔적그래도 요즘은 저렇게 8편성이나
뜨지는 않고 다른 역처럼 6편성만 나오고 있다.
동대구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모든 KTX[4]
, 모든 ITX-새마을, 모든 무궁화호이다. 경부선과 구
대구선(폐선)의 분기역이기도 하다. 2010년 현재
서울 방면,
부산 방면,
창원 방면,
강릉,
안동 방면(1일 상/하행 각각 2회),
포항방면,
태화강 방면([부전역(동해남부선)
부전역) 시종착 대구선, 동해남부선 경유 무궁화호) 열차가 운행된다.
2013년 철도통계연보에 의하면 코레일 전 열차역 가운데 승객 수가 부산역을 추월해 서울역에 이어 2위(동대구역 18,976,677명, 부산역 18,407,596명)로 올라왔는데 동대구역에서 환승을 하려는 승객들 때문이 아닌가 추정된다. 무엇보다 열차 정차 횟수 1위를 자랑하는 거대한 역이다. 서울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시종착역 기능을 용산역에 넘겨주고 경부선만 취급하며, 부산역도 KTX 개통 이후 동해남부선 시종착역 기능을 부전역이 가져가는 등 도시의 중심 역사가 2곳 이상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동대구역은 경부선, 중앙선, 동해남부선, 경전선, 경북선, 영동선을 모두 취급한다. 그러니까 대구로 가는 열차는 모두 동대구역에 정차한다는 말. 그러니 자연적으로 열차 편수가 많을 수밖에 없다.
서울역을 출발한 KTX 열차 승객의 절반 가까이는 이 역에서 하차하고 동대구발 KTX는 이미 출발 역인 이 역에서 이미 매진인 경우가 많았었다. 2단계 개통으로 동대구 착발 KTX 열차는 사라졌지만, 좌석난 때문에 다시 왕복 1편성이 부활하였다. KTX-산천 열차가 투입되었으며, #272 열차는 서울역에 종착한 후 마산행 #411열차로 열번을 바꾸고 다시 운행했다. 현재는 다이어 변경으로 폐지되어 동대구 종착 KTX는 없다.
이와는 관계 없이 항상 동대구역의 승객은 넘쳐 나는데 확장을 해도 대합실이 좁아서 미어터질 지경이다. 제2 대합실이 있지만, 플랫폼으로 가는
통로를 가로질러 나가야 된다. 눈에 띄지 않으므로 사람도 적다. 아래에서 보겠지만 14번까지 존재하는 승강장에, 위 사진에서 보듯이 열차들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좁아 열차를 잘못 타는 일이 없도록 유의해야 한다! 예를들어 부산 방면 6번 홈에 16:20에 신경주 경유
KTX가 오고, 6분 뒤에 다시 울산 경유 KTX가 6번 홈으로, 5분 뒤에는 또 기존선(구포) 경유 KTX가, 15분 뒤에는 경전선
KTX가 도착하는(!) 와중에 사이사이 부산행 무궁화호와 새마을호가 위치해 버리니(...) 여기에 지연 크리로 혼돈의
동대구역..실제로 많은 승객들이 헷갈려 해서 역무원에게 문의가 빗발치기도 하고, 승객들의 착오로 열차를 바로 눈앞에 놓치는 일들도
비일비재 하다. 따라서 동대구역에선 반드시 자기가 탈 승강장과 시간뿐만 아니라 열차번호까지 꼼꼼히 확인하는 습성을 가지도록 하자.
웬만한 유럽 중앙역 싸대기 휘갈기는 동대구역의 위엄
그리고 **동대구역과 달리 대구역에는 KTX가 안 선다.**애초부터 주변의 상업지구 때문에 확장이 불가능한 대구역을 대체할 목적으로 동대구역을 건설한 것이기 때문에 어찌 보면 당연하다.
동대구역은 본래 자체 화물 취급(소화물 등) 및 화물 중계역(조차장)의 기능도 담당하였으나 2005년 대구선 이설과 함께 가천역이 새로 생기고 나서부터는 화물 중계 기능이 가천역으로 대부분 이전하였고 결국 2009년에 공식적으로 화물 취급을 중단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F%99%EB%8C%80%EA%B5%AC%EC%97%A D%28%EA%B2%BD%EB%B6%80%EC%84%A0%29?action=edit§ion=3)]
번호
방면
정차열차
1
임시홈
경북관광순환열차, 서울행 새마을호(15:35, 19:52발), 무궁화호(04:00, 05:40, 11:18, 17:32발)
2
3
대구선‧동해남부선 전 열차, 영주‧강릉 방면 무궁화호(06:10, 16:20발), 동대구 착발 경전선 무궁화호
5
6
부전,마산 방면
7
8
하행 전열차
9
10
당역 출발 서울행 #272(13:53발)
11
12
상행 전 열차
13
14
상행 전 열차
1번 2번 승강장은 본래 대구선 방면 열차의 승강장이였으나 대구선이 이설되고 한동안 동대구-제천 무궁화호가 이용하다가 해당 열차가 수요 감소로 폐지된이후 한동안 비어 있다가 경북관광순환테마열차가 사실상 전용 승강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4번선로는 통과선로여서 승강장이 없으며, 기존의 11번에 있었던 통과선로는 13, 14번 승강장을 신설하면서 해당 선로를 걷어낸 후 아예 번호를 빼버렸다 ㄷㄷㄷ. 동대구역 확장 공사가 끝나면 KTX를 7~10번 승강장에서 취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확장 공사 후 본래 6면 12선에서 7면 14선이 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F%99%EB%8C%80%EA%B5%AC%EC%97%A D%28%EA%B2%BD%EB%B6%80%EC%84%A0%29?action=edit§ion=4)]
바로 앞에 같은 이름의 지하철 동대구역과 대구고속버스터미널(동대구 터미널)이
있다. 그런데 지하철 동대구역과 생각외로 거리가 멀다! 중앙 개찰구를 중심으로 대략 400m 가량
떨어져 있으며 두 역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아 200m 가량의 야외를 비오면 우산 쓰고 걸어야 한다.
역과 좀 떨어진 곳에 파티마병원, 평화시장, KT 동대구지사가 있으며, 지하철 큰고개역 너머로 동구청, 동명의 지하철 역 너머로 동부소방서가 있다. 시내버스로 3정거장을 가면 경북 동부지역의 모든 시군으로 갈 수 있는 동부정류장도 있다. 대구역과는 지하철로는 3개 역 거리 정도로 가까워서 동대구역~대구역 구간은 새마을호 정차역 중에서는 가장 간격이 짧다. 그리고 차로 10~15분 거리에 대구국제공항도 있으며 공항 가고 싶으면 경부선 철로변에서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공사를 하면서 기존의 연결 통로가 폐쇄됐고 임시 연결 통로가 설치되긴 했는데 동대구로와 나란히 놓여 있다가 방향을 틀어서 가는 형태여서 지하철 타러 가는 거리가 더 늘어났다. 게다가 임시로 만든 외부 통로의 일부가 2015년 1월 폐쇄되어 지하철 이용시의 불편은 당분간 계속될 듯하다. 장기적으로는 지하철 동대구역과 직접적인 연결 통로를 만드는게 좋을 것이다.
지하철,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의 요충지이다. 위의 설명처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이 역사 바로 앞에 있으며, 시내버스를 타기에도 매우 좋다. 버스(대구국제공항 방면으로도 2개 노선, 많은 시내버스가 동대구역을 경유), 지하철, 택시 모두 편리하니 웬만하면 집에서, 혹은 대중교통으로 동대구역에 나와 전송을 하고, 정 차를 몰고 와야 하는 상황이면 유료 주차장을 이용하자. 주차료는 그래봤자 천원 안팎이다. 대구고속버스터미널과의 연계는 그야말로 환상이다. 이만큼 교통 좋은 곳도 전국에는 드물다. 단, 고속터미널이 행선지별 4개의 동서남북의 건물로 쪼개져 있고 건물이 낙후되었다는 게 단점이지만 신축 건물로 통합할 예정으로 동대구복합환승센터를 세우고 있다. 자세한 건 대구고속버스터미널 항목 참조.
정류장명
정류장코드
경유 노선
동대구역
02523
156, 303-1, 414-1, 521, 708, 805, 814, 937, 순환2-1, 가창1, 북구3, 818(경산)
동대구역'건너'
02004
156, 303, 414, 521, 708, 805, 814, 937, 순환2, 가창1, 북구3, 818(경산)
동대구역지하도1
00532
동대구역지하도2
02001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앞
02036
106, 156, 414, 420, 521, 651, 708, 909, 937, 순환2, 가창1, 동구1-1, 399(경산), 818(경산)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건너
02036
106, 156, 414-1, 420-1, 521, 651, 708, 909, 937, 순환2-1, 가창1, 동구1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F%99%EB%8C%80%EA%B5%AC%EC%97%A D%28%EA%B2%BD%EB%B6%80%EC%84%A0%29?action=edit§ion=5)]
동대구복합환승센터 문서 참조. 2016년 말 완공되면 동대구역과 환승 통로를 통해 연결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F%99%EB%8C%80%EA%B5%AC%EC%97%A D%28%EA%B2%BD%EB%B6%80%EC%84%A0%29?action=edit§ion=6)]
역의 규모답게 당연히 TMO가 설치되어 있다. 파티마병원 쪽 출구 정면 좌측의
경부선 철로변 시내버스 정류장 방향에 바로 보인다. 경북 및 대구 지역에서
군 복무를 하는 장병들이 환승 목적으로도 많이 오고 이 지역이 고향인 군 장병도 굉장히 많아서 수요는 넘쳐 난다. 대구 지역의
카투사들의 금요일 비공식 집합소
지하철로 가거나 터미널로 가려면 승강장에서 올라온 뒤 나가는 곳으로 나가지 말고 안내원 몰래 반대쪽 들어오는 곳으로 나간
뒤 바로 앞에 있는 2번 출구로 나가는 편이 훨씬 좋다. 지하철을 타고 올 때엔 지하철 동대구역 4번 출구로 나와서 상기한
동대구역 2번 출구로 올라가면 바로 타는 곳이 나온다.
동성로나 서문시장으로 가려면 버스보다 지하철이 훨씬 편리하다. 시간대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시지나 경산 방면은 경산시시내버스를 타면 무열로와 달구벌대로를 글자 그대로 날아가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시내버스는 동대구고속터미널, 동대구역, 그리고 동대구역 고가교(동대구역 지하도) 아래로 정류장이 나뉘어 있으니 미리 어느 정도 이용할 노선을 알고 오는 것이 좋다.
봉무동, 이시아폴리스, 팔공산(동화사, 갓바위,
파계사 등) 방면으로 가려면 동대구역 고가 아래 주차장 앞에서 급행1번,101(-1)번,
401번을 타면 된다. 휴일에는
802팔공2번같은 주말노선도 다니긴 하나 3월~11월 한정이다. '동대구역 고가교 아래'는 바로 본 항목 제일 위에 있는 1980년 사진에
있는 육교로 내려와야 한다.[5]
팔공산 방면으로 갈 경우 육교를 통해 도로를 횡단하지 말고 오른쪽(사진에서는 왼쪽)으로 나 있는
계단으로 내려가면 버스 정류장이 있다.
경북대학교 셔틀버스가 신천역으로 가기 전에 동대구역 건너편에서 한 번 정차해 준다.(예전에는 동부소방서가 있는 동대구역네거리에 정차했었다). 이 셔틀버스는 버스 정류장을 지나서 있는 횡단보도 옆에 정차하며 별도의 정류장 표시는 없다. 학기 한정으로 2014년 9월부터 야간에는 밤 10시 정각에 일청담에서 출발하는 셔틀만 동대구역에 정차한다. 밤 10시 30분에 일청담에서 출발하는 셔틀은 동대구역 대신 대구은행역으로 운행한다.
경부고속선 2단계 완공에 따라 2010년부터 역사 확장 및 역사 뒤쪽으로 고가도로를 건설하는 공사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모든 플랫폼이 무지하게 좁아져서 승하차시 위험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원래 동대구역의 명물은 냄비우동으로 2015년 현재 1번 출구 나가기 전 왼쪽에 위치하고 있다. 계란이 들어간 냄비 우동이 인기가 있다.
지방 대도시에 있는 주요 교통 거점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심야에는 시외로
향하는 총알택시가 바글바글하다. 주요 행선지는 구미,
포항, 드물게 울산, 마산행도 있다. 휴가철에는 경주행 수요가 짭짤하다. 그 유명한 레인보우택시가 활동하기도
한다. 동대구에서 울산까지 50분
레일플러스는 동대구역 여행정보센터/동대구역 구내 스토리웨이/우리은행 ATM에서 충전이 가능하며 캐시비는 우리은행 ATM이나 [고속터미널](/wi ki/%EB%8C%80%EA%B5%AC%EA%B3%A0%EC%86%8D%EB%B2%84%EC%8A%A4%ED%84%B0%EB%AF%B8%EB %84%90) 근처 GS25, 미니스톱, 고속터미널 시내버스 정류장 앞에 있는 가판대에서 충전하면 된다. 티머니는 우리은행 ATM이나 [고속터미널](/wi ki/%EB%8C%80%EA%B5%AC%EA%B3%A0%EC%86%8D%EB%B2%84%EC%8A%A4%ED%84%B0%EB%AF%B8%EB %84%90) 뒷쪽에 있는 신천4동우체국의 ATM에서 충전하면 된다.
의외로 동대구역 주변에는 은행들이 그다지 많지 않다. 역 외부에 대구은행과 우리은행 ATM이 있긴 하지만 역 근처에 있는 은행은 고속터미널 근처에 소재한 신천4동우체국, 대구경북능금농협, 국민은행 동대구지점밖에 없다. 대구은행은 동대구역에서 조금 떨어진, 동부소방서 옆에 있는 대구무역회관 및 파티마병원에 지점이 있다. 우리은행은 동대구역에서 1km 조금 넘게 떨어져 있는 평화시장 건너편에 신암동지점이 있다. 그리고 신암동지점은 경북대학교 정문에서 좀 걸어갈 만한 거리에 있는 우리은행의 지점이다....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은 대구지방법원까지 내려가야 있으며, 경부선 철로에서 큰고개역 방향으로 따라가다 보면 산림조합이 나온다. 국민은행은 신천4동우체국 근처에 동대구지점이 있다.
그 밖에 하나은행, 외환은행, 한국씨티은행, 기업은행을 이용하고 싶으면 이 근처에서 찾을 생각을 하지 말고 깔끔하게 범어역으로 내려가야 한다.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wik i/%ED%95%9C%EA%B5%AD%EC%8A%A4%ED%83%A0%EB%8B%A4%EB%93%9C%EC%B0%A8%ED%83%80%EB% 93%9C%EC%9D%80%ED%96%89)을 이용한다면..... 시내로 가야 한다. 이유는 대구광역시 관내에 있는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지점이 서쪽 지역(달서구, 서구, 북구)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구의 강남으로 불리는 수성구에는 가든하이츠 근처에 있는 범어지점 하나밖에 없으며, 남구와 동구, 달성군에는 아예 지점이 없다.
그래서인지 고속터미널에는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과 제휴한
공동망CD기가 몇 대 있다. 대구경북능금농협은 복합환승센터 공사 후 바로 건너편으로 옮겼지만,
수협은 수성동3가 수성네거리 근처로 이전했다. 현재 대구경북능금농협이 있는 자리에
세븐일레븐이 있어서
롯데ATM을 이용할 수 있었지만 복합환승센터 공사로
세븐일레븐이 능금농협에게 넘기고 폐점하는
바람에....부산은행
지못미
롯데ATM을 쓰고 싶다면 고속터미널 네거리(정확히는
동대구역네거리)인 동부소방서 근처나 경부선 철로변에 있는 동대구역 육교
근처의 세븐일레븐으로 이동해야 한다.
\----
[1]
대구 도심구간에 한정되며, 대구남연결선은 2010년 11월 1일 개통.[2]
수원역 경유[3]
하행 하루 1편 존재[4]
서울-부산 무정차 직통의 #00X 열차가 예외였으나 이제는 사라졌다.[5]
지금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