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항목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인 장항선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동명의 배우에 대해서는 장항선(배우) 항목을 참고하세요.
- 상위 항목 : 철도 노선 정보/대한민국
長項線 / Janghang Line
- 개요
- 역사
- 노선 현황
- 수요
- 트리비아
- 역 목록
6.1. 본선
6.2. 지선
6.2.1. 서천화력선
6.2.2. 장항화물선
6.2.3. 군산화물선
6.2.3.1. 옥구선
6.3. 폐지된 지선
6.3.1. 남포선
6.3.1.1. 옥서삼각선
6.4. 폐지된 역
- 수도권 전철 장항선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1)]
![Janghangseon_.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_ec_9e_a5_ed 95_ad_ec_84_a0/Janghangseon.jpg)
[JPG image (645.36 KB)]
충청남도 천안시와 전라북도 익산시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2)]
조선 경남철도주식회사가 사설 철도로 건설하였으며 당시 명칭은 충남선이었다. 1922년 천안역 - 온양온천역 구간을 시작으로 1931년 남포
- 판교 구간을 개통하여 전 구간을 완성했다. 1955년 충남선을 장항선으로 개칭하였다. 이후로 전혀 선로개량이 이뤄지지 않아 장항선은 **단선(單線)**이었다. 쉽게 말해 외나무다리같은 상태. 그래서 반대편 열차를 지나가게 하지 않으면 열차를 운행할 수 없는 일이 많아서 열차 지연이 매우 잦았다. 이때는 표에 나온 도착시간을 믿으면 100% 피봤다. 아직도 현재진행형이지만 선로 직선화에 힘입어 지금은 양반이다. 직선화 이전에는 당시 환불규정에 해당하는 50분에 근접하는 3, 40분 연착이 밥먹듯이 일어나던 곳이나 10분단위로 줄었다.
2007년 천안 - 온양온천 구간을 시작으로 많은 구간을 직선화 하였다.[1]
또한 2008년 금강을 횡단하는 철교를 건설하여 강 건너의
군산선과 연결하였다. 이에 군산선 대야 - 익산 구간을 편입하는 동시에 군산선이란 이름이 소멸되었다. [2]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신창역까지 수도권 전철이 연장개통됨과 동시에 복선전철화되었다. 이 구간에선 현재
누리로와 전철이 같이 운행된다.
2014년 현재 새만금으로 들어가는 군장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 공사를 위해 익산 - 대야 구간을 우선 복선전철화 공사하고 있으며 신창 - 대야 구간의 복선전철화 역시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 기존 구간을 직선화하면서 복선 부지를 마련해놓았기 때문에 예산이 최종통과되면 빠르게 공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전구간 복선전철화를 목표로 하는 중이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3)]
선로 개량을 거치면서 열차의 정차시간이 줄었고 많은 수의 간이역들이 폐역이 되었다. 현재 14개로 이 부문 국내 2위[3]
. 이후에도
타당성에 대한 고려가 긍정적이면 추가적으로 직선화를 실시할 계획이다. 참고로
신창역 이남
구간은 복선 및 전철화를 하지 않았으나 선로 개량을 완료한 구간은 복선화를 염두하여 노반,교량,터널등을 그에 맞춰 충분한 여유를 두고
건설하였다. 아니 애초에 충분한 여유를 두고 건설했으면 설치를 해야되는거 아닌가
'장항선만' 운행하는 열차는 없고[4]
거의 모든 열차가 경부선이나 호남선과의 직결 운행을 한다. 이를테면 용산 - 장항 - 익산, 용산
- 장항 - 익산 - 서대전 등.
구간을 따라 주요역을 연결하면 천안 - 온양온천 -
홍성 - 대천 - 장항 -
군산 -
익산이다. 천안에서
경부선, 익산에서
호남선 및
전라선과 접속한다. 이외에, 과거엔 증기기관차의 연료와 물 공급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현재는 여객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간이역이 된 간치역(대천과 서천 사이)에서 사설철도인
서천화력선이 분기한다[5]
. 이외에도
남포, 군산, 장항에서 각각 화물전용 선로가 분기한다. 분기하는 선로들은 대부분 화력발전소용 석탄이나 시멘트를 운반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4)]
여객열차 배치시간은 시골지역을 주로 지나가서 수요가 없다는 것과 단선이라는 선로사정때문에 1시간에 1대꼴이다. 오해를 막기위해 부연설명하면 1시간에 1대 있는게 무궁화호인지 새마을호인지 시간표를 모른다면 복불복, 두 열차의 배치를 합쳤을 때 1시간에 1대꼴이다. 하지만 이것도 선로 사정에 비하면 많은 거라고 한다(특히 천안역의 사정때문에). 아무래도 천안~익산간에 큰 수요를 가진 도시가 적다보니, 읍 단위의 마을에도 새마을호가 정차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장항, 웅천, 삽교, 광천 등. 무궁화호의 경우 거의 전역정차급으로, 선택정차를 하는 역이 청소역과 대야역 딱 2개밖에 없다. 거기다 이 선택정차도 빈도가 낮은 편이 아니라서, 상행 두 번, 하행 두 번은 장항선의 여객취급하는 모든 역(수도권 전철 1호선 전용역 제외)에 정차하는 무궁화호가 있다.
특정기간에 사람이 몰리는 경향이 심한데, 평소엔 객차 하나에 승객 1명같은 '입석으로 끊고 좌석에 앉아가도 될 것 같은'
모습[6]``[7]
이지만 주말이나 명절에는 운좋게 자리가 비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가 적고, 입석도 매진되는 광경을 보인다.
여름엔 대천역과 같은 해수욕장에 접근할 수 있는 역의 수요가 급증한다. 이럴 때는 홍성
이북으로는 예매 없이 앉아서 갈 생각은 말아야 한다.
입석자를 위한 정보를 하나 주자면, 하행선일 경우 정말 드물게 좌석이 찼다고 해도 대천역 인근쯤에서 좌석이 비는 경우가 많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5)]
서술 했듯이 단선이기 때문에 서로 마주오는 열차를 기다리는 경우가 많은데, 문제는 한 쪽 열차가 연착이 되면 맞은 편 열차도 연착된 열차가 역을 통과할 때 까지 기다려야 하는 관계로 줄줄이 연착크리를 맞게 된다. 이 때문에 코레일타임을 감안해도 장항선은 도착시간이 심각하게 안 맞으며 만약 장항선을 통해 익산역에서 호남선이나 전라선 환승을 하겠다면 최소 10분~15분은 여유를 둬야 한다. 운 없으면 20분 연착도 심심하게 일어나며(...) 정말 다이어가 안 맞는다.
장항선 새마을호는 현재 모든 새마을 계통열차(ITX-새마을 포함) 중 유일하게 특실을 운영중이다.
2008년 9월 20일 다큐멘터리3일에 나왔다.(구불구불 단선 철도의 추억, 장항선 72시간)
2010년 6월 7일 방영된 한국기행 "장항선" 편에서는 배우 장항선(본명 김봉수)이 장항선 열차를 타는 내용이 나왔다. 실제로 이 장항선 철도가 생각나서 예명으로 지은 것이라 한다. 해당 배우 항목 참조.
2011년 1월 28일, 리그베다위키에 장항선의 모든 역 문서가 작성되었다. 그리고 2011년 5월12일, 장항선의 폐역까지 작성이 완료되었다.
2012년 12월 21일, 장항선으로
만들어진 철도 MAD가 유튜브에 올라왔다.[8]
보러가기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6)]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7)]
일러두기(여객·화물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I
ITX-청춘 필수정차
i
ITX-청춘 선택정차
S
ITX-새마을/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C
통근열차 정차
B
바다열차 정차
O
O-train 정차
V
V-train 정차
N
S-train 정차
D
DMZ-train 정차
A
A-train 정차
G
G-train 정차
H
화물취급
─
여객/화물 미취급
일러두기(역 등급)
⊙
그룹대표역
○
보통역
●
배치간이역
◑
무배치간이역
◎
임시승강장
◇
을종승차권발매소
‡
신호장
†
신호소
※ 관할 지역본부
¶ 대전충남본부 : 천안 ↔ 장항
¶ 전북본부 : 군산 ↔ 익산
※ 폐역은 현재 선로상에서 폐지된 것만 기재하며, 킬로수와 영업현황은 기재하지 않음.
역번
㎞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환승
소재지
P169
0.0
天 安
MS
─
⊙
충남 천안시
P170
1.3
鳳 鳴
─
─
◇
P171
2.9
雙 龍
─
─
◇
P172
4.5
牙 山
MSk[9]
G
─
◇
충남 아산시
P174
9.4
排 芳
─
─
◇
P176
14.3
溫陽溫泉
MSG
─
⊙
P177
19.4
新 昌
m[10]
─
○
25.2
道高溫泉
m[A]
─
◇
29.7
新禮院
Ms
─
○
충남 예산군
34.7
禮 山
MSG
─
○
42.5
揷 橋
ms[A]
B
○
49.2
華 陽
─
─
◑
충남 홍성군
54.5
洪 城
MSG
B
⊙
58.6
新 城
─
─
◑
新 谷
67.2
廣 川
MSG
─
○
71.3
元 竹
─
─
◑
충남 보령시
75.0
靑 所
m
B
○
79.3
周 浦
─
─
◑
87.6
大 川
MSG
─
⊙
90.7
藍 浦
─
─
◑
玉 西
101.1
熊 川
MS
─
○
104.3
艮 峙
─
B
○
珠 山
112.6
板 橋
m[A]
─
○
충남 서천군
121.2
舒 川
MS
─
○
126.0
長 項
MSG
─
○
133.0
群 山
MSG
B
○
전북 군산시
141.2
大 野
m
─
○
146.4
臨 陂
─
─
◑
150.9
五山里
─
─
◑
전북 익산시
154.4
益 山
MSKNG
─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8)]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9)]
서천화력선 문서를 참조할 것. 참고로 이 노선은 한국전력공사 산하 발전회사인 한국중부발전 소유의 전용철도이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10)]
㎞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0.0
長 項
MS
─
○
장항선
충남 서천군
4.2
長項貨物
─
B
●
2007년까지만 해도 원래의 장항선 구간이었다. 당시 장항역에서 군산역까지 직접 철도를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에, 금강하구둑으로 우회해서 연결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4km 북쪽에서 신선이 갈라지게 되었고, 그 위치에 새 장항역을 만들었다. 그리고 남아 있던 새 장항역과 기존 장항역 사이의 구간은 화물 전용선으로 탈바꿈하여 그대로 남아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11)]
2007년까지 군산선의 일부 구간이었다. 상세한 것은 군산화물선 항목 참조.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12)]
군산화물선에서 갈라져 나오는 화물용 철도. 옥구선 항목 참조.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13)]
주의. 폐선 또는 폐역된 구간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이미 폐선되었거나 폐역되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리그베다 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14)]
㎞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0.0
藍 浦
장항선
충남 보령시
4.3
沃 馬
1964년 6월 27일 착공하여 1964년 12월 30일에 개통한 장항선의 지선. 이 지선은 보령시(당시 보령군)에 있던 탄광인 "성주탄좌"의 무연탄 운송을 위해 부설된 화물철도였다. 그러나 성주탄좌가 석탄산업합리화 정책으로 인하여 폐광되자 남포선도 그 기능을 잃게 되었다. 결국 2009년 10월 12일 남포선상의 모든 역의 화물취급이 중지되고, 같은 해 12월 28일 폐지되었다.
폐지되었지만 레일바이크 사업을 위해 선로는 걷어내지 않고 남아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15)]
㎞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玉 西
장항선
충남 보령시
沃 馬
남포선의 지선격인 철도. 남포선이 천안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장항 방면으로 연결하기 위해 이 철도가 개설되었다. 성주탄좌에서 나오는 무연탄을 사용하는 곳이 여기서 장항 방면에 있는 서천화력발전소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옥마역에서 무연탄을 실은 열차가 옥서삼각선을 거쳐 장항선에 진입, 간치역까지 갔다가 서천화력선으로 다시 분기하여 동백정역까지 운행했다.
서천화력발전소가 수입 무연탄을 사용하게 되면서 이 선로는 쓰임새가 없어졌고, 1992년 5월 2일 폐지되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16)]
2007년 이후 장항선 일부 구간이 이설되면서 현 선로와 일치하지 않게 된 폐역을 이곳에 기술한다.
-
천안-온양온천 구간
-
신창-도고온천 구간
-
예산-삽교 구간
-
주포-대천 구간
-
주산-판교 구간
-
판교-서천 구간
-
서천-장항 구간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E%A5%ED%95%AD%EC%84%A0?action= edit§ion=17)]
7. 수도권 전철 장항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
42.9km
(21.36%)
7.8km
(3.89%)
96.6km
(48.16%)
27.0km
(13.46%)
2.2km
(1.10%)
4.7km
(2.34%)
19.4km
(9.67%)
2008년 12월 15일 천안~신창간 수도권 전철이 연장되면서 수도권 전철 1호선 이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천안-신창 구간은 복선전철화되었으며 이 구간에선 현재 누리로와 전철이 운행하고 있다.
운행 계통 등의 자세한 사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참조.
\----
[1]
천안신성, 주포남포, 간치~장항 구간이 이에 해당.[2]
나머지 편입되지 않은 구간은 "군산화물선"이 되었다. 기존 군산역은 군산화물역으로 개명하고 화물역으로 존치하다가, 지금은 화물취급을 중지하고 폐역만 기다리는 신세(...)[3]
경북선이 17개로 1위를 찍었다.[4]
군산선과 막 연결되었던 2008년 1월~4월간 익산-군산-장항-서천간 새마을호가 일 1왕복 한정으로 있었다. 용산으로 올라가는 열차의 아침 빈시간을 활용해서 통근용으로 굴렸지만 결국 흑역사가 되었다. 익산-아산 간 무궁화호 열차가 2009년 주말에 운행하다가 수요 저조로 폐지되었다. 2004년까지만 해도 천안-장항구간을 운행하는 통일호(원래는 비둘기호)가 있었다.[5]
딱 이거때문에 폐역을 면했고, 추가직선화 이후에도 살아남을 예정이다.[6]
하지만 이런건 실제로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입석은 좌석이 매진된 후에만 발매되기 때문.하지만 내일러라면 어떨까?[7]
최근엔 이용자가 늘어서 공기수송은 보기힘들다.출퇴근 시간대에 좌석선택창을 보면 사람들이 꽤 있다.[8]
아직 최초이자 유일이다.[9]
KTX는 천안아산역에서 취급[10]
누리로만 정차. 무궁화는 정차하지 않는다.[A]
#1555를 제외한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원래는 무궁화호 필수정차역이었으나, 서해금빛열차 운행으로 (구)#1151이 운행을 중단하자 #1555가 해당 열차의 시간표를 승계받아 이 3개 역을 통과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