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철도 노선 정보/대한민국, 수도권 전철
경원선 종로선
42.9km
(21.36%)
7.8km
(3.89%)
96.6km
(48.16%)
27.0km
(13.46%)
2.2km
(1.10%)
4.7km
(2.34%)
19.4km
(9.67%)
경원선 중앙선
46.3km(37.19%)
7.0km(5.62%)
12.7km(10.2%) 58.5km(46.99%)
京元線 /Gyeongwon Line
- 개요
- 역사
- 향후 전망
- 접속 현황
- 지하화 논란
- 2011년 폭우
- 기타
- 역 목록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2%BD%EC%9B%90%EC%84%A0?action= edit§ion=1)]
![Gyeongwonseon_2.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_ea_b2_bd_ ec_9b_90_ec_84_a0/Gyeongwonseon_2.jpg)
[JPG image (675.69 KB)]
경원선 기적소리 울릴적마다
가슴속 끓는피가 날뛰는 고향길
천만년이 지나가도 핏줄기는 살아있는데
청진행 급행차는 어느때나 달리나
제비들만 날러간다
경원선 기적소리 정거장마다
찾아준 사투리에 정답던 그 얼굴
천만년이 지나가도 우리자손 살아있는데
청진행 급행차는 어느때나 달리나
뜬구름만 떠돈다
손인호, 경원선 기적소리 (1966)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역에서
북한
강원도
원산시[1]
원산역을 잇는 철도.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 건설된 철도로, 2012년 현재까지 운행 중인 남한 내 구간에서 터널은 신탄리역백마고지역 구간에만 존재한다. 신탄리역 이후의 폐선 구간에도 터널이 한 개
있다.참조 2014년에 월계역녹천역 이설공사가 완공되면 터널이 하나
추가된다. 현재는 경의선과 함께 남북 분단으로 끊겨있는 노선이며, 남한측
노선은 서울 용산역에서
강원도
철원군
백마고지역까지이다. 그 후 민통선
이북~휴전선 이남지역에 폐역된
철원역과
월정리역이 있다.
북한에 남은 구간은 강원선으로 개명되었으며, 고원역에서 가곡역까지가 전체 구간이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2%BD%EC%9B%90%EC%84%A0?action= edit§ion=2)]
1911년 10월 15일에 [용산역] (/wiki/%EC%9A%A9%EC%82%B0%EC%97%AD%28%EC%84%9C%EC%9A%B8%29)-의정부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12년 7월에 연천역까지, 동년 10월에 철원역까지 연장 후, 이후, 1914년에 완전개통을 이루게 된다. 현재 한국측 구간은 용산 - 서빙고 - 청량리 - 의정부 - 동두천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었으며 동두천 - 소요산 구간은 단선 전철 상태, 나머지 구간은 아직 단선 비전철로 남아있다. 북한 구간의 상황은 알 수 없지만 탈북자들의 말에 의하면 북한의 철도중에서도 상태가 매우 심각한 것 같다. 참고로 남한에서 가장 열악한 노선인 경북선도 북한의 철도와 비교하면 매우 좋은 거라니 말 다했다.
일제시대 때 복선화 공사가 일부 진행되기는 했다. 군데군데 교대가 남아 있고, 특히 개발이 거의 안된 신탄리 이북 구간은 터널 1개소와 단선노반 두 가닥에 철교 흔적도 2개소나 존재한다. 하지만 백마고지역 연장에는 이 노반을 사용하지 않는다. 산악지역이라 선형이 좋지 않기 때문에 터널을 새로 뚫어 대마리까지 직선에 가깝게 간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용산 - 청량리 구간과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청량리 - 소요산 구간은 이 경원선에 속한다. 그리고 동두천역(구 동안역)에서 백마고지역까지는 통근열차가 운행 중이다.
과거 2012년 11월 19일까지 경원선 통근열차의 남한측 종착역은 신탄리역이었다. 이 역은 남한에서 열차가 다니는 역 중에 최북단 역이었으며, 인근에 철도중단점이 있고 그 철도중단점에서 분단상태의 비극을 표현한 표어인 '철마는 달리고 싶다'를 볼 수 있다. 신탄리역-백마고지역 구간이 2012년 11월 20일 개통되었다. 절반 정도의 통근열차가 백마고지역까지 연장운행하여 각 방향 9회씩 1일 18회 운행한다.
그리고 비전화 단선구간으로 남아 있는 소요산-연천 구간은 단선전철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소요산-전곡 구간은 선형이 좋지 않기에 선로를 직선구간으로 이설할 계획이다. 이 구간이 이설되면 초성리역은 새 역으로 이전하고, 한탄강역은 폐지될 예정이다.
백마고지역이 개통한 이후로 2015년 7월에서 8월사이에 백마고지역에서 남방한계선까지 연장을 한다고한다. 2017년11월에 개통을 예정으로 하고있고, 구 노반이 아닌 새로운 선로를 이용한다. 남북과의 합의가 잘되면 북방한계선이나 강원선과의 접속도 계획중이다. 비록 단선이지만, 연천역에 전동열차가 들어오게 되면 통근열차의 운행거리가 줄어들게 되겠지만, 이렇게 된다면 그나마 통근열차가 살아있게 될 수 있지 않을까?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2%BD%EC%9B%90%EC%84%A0?action= edit§ion=3)]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통일이 된 이후라면 그 중요도가 상당히 높아지게 될 것임은 자명하다. 당장 백마고지를 넘어서 평강역, 세포청년역, 안변역을 거쳐서 원산역에 이르게 되는데, 비록 원산이 다른 강원도 군 지역과 함께 같이 낙후되어버렸다고는 하나 그 근방에서 기능하는 거의 유일한 항구인지라 적어도 원산까지는 복선으로 뚫어야 하며, 고원역에서 평라선과 접속하여 함흥역, 김책역, 청진청년역, 라진역, 두만강역으로 쭉쭉 올라가서 러시아철도의 [시베리아 횡단철도](/wiki /%EC%8B%9C%EB%B2%A0%EB%A6%AC%EC%95%84%20%ED%9A%A1%EB%8B%A8%EC%B2%A0%EB%8F%84)와 접속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함경선 구간과 더불어 복선화는 필수이고, 특히 동두천 이남의 경우 2복선은 깔아야 한다.
헌데 경부선,
경의선의 현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확장은커녕 토지보상 문제부터 걸리고
들어가는 판이라서 도저히 답이 나오지 않는 상황. 때문에 통일이 된다면 의정부[2]
또는 동두천이 화물기지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혹시라도 청량리부터 의정부까지 복복선 이상을 뚫는다면 또
모르겠으나...
또한 하도 닫아 대서 그렇지 어쨌든 연결은 된 경의선에 비해, 이쪽은 일단 지뢰밭인데다가 강원선의 선로 상태도 막장인지라, 제대로 연결되기까지는 통일이 된 이후에도 한참이 걸릴 전망.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2%BD%EC%9B%90%EC%84%A0?action= edit§ion=4)]
서울 회기역에서 중앙선과, 광운대역에서 망우선과, 의정부역에서 구 서울교외선과, 철원에서 금강산선과, 원산에서 함경선(함흥, 북청, 성진, 청진 방면)과 접속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2%BD%EC%9B%90%EC%84%A0?action= edit§ion=5)]
한편 2009년 6월, 서울특별시에서는
느닷없이 _청량리역에서
창동역까지의 구간을 지하화하고 그 위에 도로를 얹겠다_는 미친
병크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나섰다.
# 재개발을 노리던 부자들이라면
양손 들고 환영할 만한 일이겠지만 이 노선의 현재와 미래의 모습을 생각해 보면 (통일 이후의 여객, 화물 수송량을 감안하면 적어도 용산 -
동두천 2복선, 동두천 - 철원 - 원산 복선은 해야 한다. 원산에서 직결되는 함경선도 전체 복선에 부분 2복선화가 필요함을 감안해야
한다.)이게 얼마나 정신이 나간 짓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다 집어치우고 예상 공사비만 수조원대인데, 이 돈을
어디에서 걷어야 하는 지가 문제다. 그냥 경전철 공사 때려치우고
경원선 지하화에 올인하는 게 나을 듯. 다행히 B/C(=Benefit/Cost, 즉
가성비)가 0.21 이라는 멍청한 값이 나와서 안나오나 했더니[3]
전액 국고 부담에 GTX와 연계해 2020년까지 추진한단다.
# 이건 미친 짓이야 난 여기서
나가겠어 국고가 바닥나게 만들 예정인가 코레일물론 여러 변수가 있기 때문에 실제 실행이 될 지는 미지수이고
실제로 그렇게 되고 있다. 2014년 9월 시점까지 별다른 진척이 없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2%BD%EC%9B%90%EC%84%A0?action= edit§ion=6)]
2011년 7월 중부 지방에 집중적으로 내린 폭우로 인해 초성리역 근방의 초성천 철교가 유실되어 소요산-신탄리 구간의 열차 운행이 잠정
중단되었다. 유실된 구간은 12월까지 복구할 예정이었지만, 연천군청과
코레일 측에서는 기존 철교의 노후화로 인해 새 철교를 가설해야 하기 때문에
2012년 2월로 복구 완료 시기를 늦춘다고 발표했다. 대신 유실 구간 복구가 완료될 때까지 동두천역과 신탄리역을 잇는 대체 교통수단인
39-2번 시내버스를 1일 46회에서 58회로 증차
운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새 철교를 시공하던 중 설계 착오로 상판이 예정했던 것 보다 작게 만들어지는 등 추가
병크로 인해 결국 복구 완료 시기는 다시 3월 21일로 늦춰졌다. 역시 코레일타임
3월 19일에 올라온 코레일 홈페이지의 [공지사항](http://info.korail.com/ROOT/news/board_view.jsp?b oardType=BODO&bbs=bbs20&pg=0&seq=7156)에 따르면 재개통 일자는 3월 21일로 그대로 확정되었는데, 대신 6개월 넘는 운행 중단 기간 동안 신탄리역에 장기 대기 중이던 통근열차 두 편성의 검수 문제가 있어서 6월 말까지 하루 열차 운행 편수를 기존의 34회에서 22회로 줄였다. 계산해 보면 출퇴근 시간대에는 한 시간에 한 대, 그 외의 시간대에는 두 시간에 한 대씩 운행한 셈. 이렇게 운행 편수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재개통 첫 날에는 어느 정도 이용하는 승객들이 있었고 철도 연변의 마을이나 역사 주변에는 재개통을 알리는 현수막이 내걸렸다. 6월 말 이후에는 중검수가 끝났는지, 예전처럼 시간대에 관계 없이 동두천역~신탄리역 구간은 시간 당 한 대씩 운행하고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2%BD%EC%9B%90%EC%84%A0?action= edit§ion=7)]
참고로 마전역 하나 때문에 리그베다위키에 경원선 역 완성일이 2011년 1월 8일이 되어 버려서 영동선보다 늦어졌다. 안습.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2%BD%EC%9B%90%EC%84%A0?action= edit§ion=8)]
수도권 전철에 대해서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및 수도권 전철 중앙선역 목록을 참조할 것.
일러두기(여객·화물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I
ITX-청춘 필수정차
i
ITX-청춘 선택정차
S
ITX-새마을/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C
통근열차 정차
B
바다열차 정차
O
O-train 정차
V
V-train 정차
N
S-train 정차
D
DMZ-train 정차
A
A-train 정차
G
G-train 정차
H
화물취급
─
여객/화물 미취급
일러두기(역 등급)
⊙
그룹대표역
○
보통역
●
배치간이역
◑
무배치간이역
◎
임시승강장
◇
을종승차권발매소
‡
신호장
†
신호소
※ 관할 본부
¶ 서울본부 : 용산 ↔ 한남
¶ 수도권동부본부 : 옥수 ↔ 신탄리
역번
㎞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환승
소재지
K110
0.0
龍 山
MSK[4]
I[5]
G
B
⊙
● 1호선
서울 용산구
K111
1.9
二 村
─
─
◇
● 4호선
K112
3.6
西氷庫
─
B
○
K113
5.5
漢 南
─
─
◇
K114
7.1
玉 水
i[6]
─
◑
● 3호선
서울 성동구
K115
8.9
鷹 峰
─
─
◇
K116
10.3
往十里
i[7]
B
○
K117
12.7
淸凉里
MSIDA
─
⊙
● 1호선
서울 동대문구
123
K118
14.1
回 基
─
─
●
122
14.9
外大앞
─
─
●
121
15.7
新里門
─
─
●
120
17.1
石 溪
─
─
●
● 6호선
서울 노원구
119
18.2
光云大
─
B
⊙
118
19.3
月 溪
─
─
◇
117
20.7
鹿 川
─
─
◇
서울 도봉구
116
21.7
倉 洞
─
─
○
● 4호선
115
23.4
放 鶴
─
─
●
114
24.7
道 峰
─
─
◇
113
25.9
道峰山
─
─
◇
● 7호선
112
28.2
望月寺
─
─
◇
경기 의정부시
111
29.6
回 龍
─
─
◇
● 의정부 경전철
110
31.2
議政府
D
─
⊙
109
32.4
佳 陵
─
─
◑
108
33.7
綠 揚
─
─
◇
107
35.3
楊 州
─
─
●
경기 양주시
37.5
麻 田
─
B
‡
106
40.9
德 溪
─
─
◑
105
43.5
德 亭
─
B
○
104
49.1
紙 杏
─
─
◇
경기 동두천시
103
50.1
東豆川中央
─
─
◑
102
51.5
保 山
─
─
◇
101
53.1
東豆川
CD
B
⊙
100
55.6
逍遙山
C
─
●
59.7
哨城里
C
B
●
경기 연천군
62.7
漢灘江
CD
─
◑
65.2
全 谷
C
─
●
73.8
漣 川
CD
B
○
77.4
新望里
C
─
◑
84.4
大光里
C
─
●
88.8
新炭里
CD
─
○
94.4
白馬高地
CD
─
◑
강원 철원군
鐵 原
─
─
月井里
─
─
\----
[1]
북한에서는 강원도로 행정구역을 변경한 상태이지만 해방 이전에는 함경남도에 있었으며, 대한민국의 명목상 행정구역(이북 5도)으로는 여전히 함경남도 원산시이다.[2]
이쪽은 서울교외선이 개량된다면 그나마 덜 우회하게 된다. 적어도 평산에서 세포를 거치는 루트나 평양에서 평원선 루트를 타는 것보다는 훨씬. 물론 직통에 비하면 한~참을 돌아가게 되겠지만...[3]
1보다 커야 사업 추진 할만한 가치가 있다.[4]
호남•전라•장항선 열차 한정. 경부선 열차는 통과한다. 그리고 경원선 용산-청량리를 운행하는 임시열차는 용산역을 무정차 통과하고 서울역에서 출발한다.[5]
용산역 착발 한정[6]
용산 → 옥수 → 청량리는 오전에 3회, 청량리 → 옥수 → 용산은 오후에 3회 정차.[7]
청량리 → 왕십리 → 용산은 오전에 3회, 용산 → 왕십리 → 청량리는 오후에 3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