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 대한민국의 베드타운들
- 관련단어
[JPG image (546.01 KB)]
우주 정거장 ISS에서 찍은 수도권
야경. 서울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베드타운이라고 볼수 있다. 여기서도 개성공단 빼고 깜깜한
윗동네(...)
Bed Town[1]``[2]
寢牀都市 (수면도시)[3]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B2%A0%EB%93%9C%ED%83%80%EC%9A%B 4?action=edit§ion=1)]
말그대로 표현하자면 잠만 자는 도시. 도심에 과도한 인구가 몰리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위성도시를 말하나 교통편이 편리한 지역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한 경우도 포함된다.
도시 주변의 주거기능을 담당하는 곳이며 이곳에 거주하는 주민들(노동자)들은 도시로 통근 한다. 대부분의 교외가 이곳에 해당하며 일부 지역은 계획적으로 만들어 진 곳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대도시 주변에 위치한 위성도시들을 베드타운이라고 지칭한다.
서울 근교의 베드타운 중에서는 아예 처음부터 서울의 인구를 분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곳(분당신도시,
일산신도시,
성남시 본시가지,
평촌신도시 등), 행정기능의 분산 목적으로
만들어진 곳(과천시), 근대화 및 교통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곳(의정부시,
안양시 구시가지,
부천시 구시가지,
구리시 등), 서울의 공업기능 분담으로 생겨난
곳(부천시,
안양시,
안산시[4]
,
시흥시[5]
) 부천과 안양이 중복된 것 같지만 그런건 그냥
넘어가자, 서울시 편입 예정지의 개념으로 거주지로 개발되다가 결국 서울 편입에서 배제되어 경기도 베드타운으로 남게된
곳(광명시), 서울통근권의 팽창으로 새로 주거지로 추가 개발된
곳(김포시,
남양주시(특히 마석, 덕소, 평내호평, 별내),
양주시,
용인시,
파주시 운정신도시,
화성시 병점·동탄신도시 등), 원래는 독자생활권을 가진 도시였으나
광역교통망의 발달로 사실상 서울의 베드타운으로 편입 되어버린
곳(인천광역시,
수원시)[6]
이 있는 등 기능과 형성 과정이 각기 다르다. 그리고
애초에 행정구역상 서울인 곳들도 실상은 경제개발 때 강북의 인구분산 목적으로 서울에 편입되어 개발된 곳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조선시대의 서울 지도 아니 하다못해 일제강점기 당시 서울 지도랑 현대의 서울 지도를 비교해 보자. 무지하게 넓어졌다.) 정부개발 이후
서울에 편입되어 지금까지 주거지로 집중개발되어 있는 구역은 베드타운이라고 보기에 부족함이 없다.
(한강 이남인데
강남이 아닌 곳들은 거의 다 이런 식이다.)[7]
서울 근교의 베드타운은 '서울통근권'의 동의어로 볼 수 있지만, 일부지역(광명, 과천, 하남 미사 등)을 제외하고는 '서울생활권'(1,2번 의미)의 동의어라고 보기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특히 독자적인 상권이 발전한 일산, 부천, 성남, 안양 등지가 그러하다. 서울권 위성도시 중에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에 의해 조성된 곳은 직접적으로는 광명시, 과천시 뿐이며 간접적으로 조성된 곳까지 포함하면 성남시 본시가지까지다(광주대단지사건 참조).
간혹 서울특별시 내 일부 지역, 그러니까 서울시내의 대단위 주택지구를 '서울시내의 베드타운'이라고 일컫는 사람도 있다. 이 경우
서울시계내에서 베드타운 역할하는 곳이 노원구,
도봉구 창동,
양천구 목동,
강남구
대치동,
도곡동,
서초구
반포동,
송파구 잠실 등으로
꼽힌다. 앞에서 거명된 지역들 중 적지 않은 수가 상당히 부자들이 많이 몰려사는 곳이라 "베드타운"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데, 진짜 서민들이 사는 베드타운으로 보자면 앞서도 말했듯이 '한강 이남인데 강남이 아닌 곳'들은 거의 대부분이 서울시내 베드타운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 단, 한강 이남 비강남 지역 중에서
영등포구 일대는 원래 베드타운은 아니었다. 일제시대에
영등포 일대는 자족적인 공업도시로 발돋움하려고 했지만[8]
일제의 정책에 의해 경성부로 합병된 곳이기 때문. 다만 2000년대 이후로
영등포(+신도림)의 공업기능이 지방이나 해외로 이전했기 때문에 공업도시로서의 자족기능은 많이 사라진 상태이며, 옛 공장터에 아파트가
재개발되어 지금은 어느정도 베드타운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봐도 틀리진 않다.[9]
아무튼 이런 지역은 강서구, 강동구, 노원구, 강북구,
중랑구, 은평구, 관악구 등과 같이 주거기능 위주 지역과는 다른 셈이다.
하지만 강북의 성저십리 지역에 있는 주택지구까지
베드타운으로 싸잡아보는 것은 곤란할 것이다. 하지만 은평구는 아무리 봐도 성저십리 내의 베드타운이다 이 지역은 원래부터
전통적인 서울의 일부였기 때문. 다만 성북구나 용산구 쪽은 일제에 의해 주거지로 개발된 부분은 있기에 베드타운의 성격이 약간은 있기는 하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B2%A0%EB%93%9C%ED%83%80%EC%9A%B 4?action=edit§ion=2)]
2. 대한민국의 베드타운들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B2%A0%EB%93%9C%ED%83%80%EC%9A%B 4?action=edit§ion=3)]
\----
[1]
Bad Town이 아니다. 절대로!(...) 은근히 Bad로 아는 경우가 있다.[2]
일본에서 온 재플리시로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통근도시라는 뜻의 commuter town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3]
보통 Town을 마을로 번역하기에 베드타운이 수면도시로 번역되는 게 어색한 사람이 있을 수 있는데, 어차피 Town이란 게 농촌 마을이 아니라 부르주아들이 모여 살던 바로 그런 마을을 가리키던 단어였기 때문에 도시로 번역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4]
안산시는 처음부터 대놓고 아예 공업도시로 계획되어 개발된 도시다.공돌이를 위한 도시창원시?[5]
다만 정왕 지역의 시화공단은 안산의 반월공단의 연장선이긴 하다.[6]
이렇게 서울의 베드타운이 되었다고 말은 하지만 그럼에도 여타 위성도시와 다르게 인천광역시와 수원시의 독립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7]
다만 지금의 영등포구 일대는 원래는 베드타운이 아니라 서울 옆 공업도시였는데 경성부에 합병된 곳이긴 하다.[8]
시흥군 영등포읍 사무소는 자체적인 도시계획을 짜려고 했지만 경성부 편입이 단행되는 바람에...[9]
다만 영등포 인근의 구로동 남부와 가산동 일대에 있던 구로공단은 구로디지털단지와 가산디지털단지로 변모하여 영등포구, 동작구, 구로구, 양천구, 금천구, 광명시, 안양시, 부천시 등지를 근로자 배후 거주지로 삼는 대형 산업단지로 존속 중이다. 그쪽 중생활권만을 놓고 따진다면 넓은 의미의 영등포 생활권역(구로, 금천, 영등포, 광명)은 여전히 어느정도는 자족기능이 있다고 볼 수 있다.하지만 광명시 자체만을 따지고 보면 태생부터 구로공단 배후 베드타운[10]
보통은 서울특별시로 향한 출퇴근 수요이나, 산업단지가 있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연수구, 경기도 안산시, 시흥시, 판교 테크노밸리, 기흥 삼성전자 같은 경우는 그 반대이다.[11]
절반은 부산광역시로 향한 출퇴근 수요이나, 산업단지나 조선소가 있는 울산광역시,경상남도 창원시, 김해시, 거제시, 함안군은 그 반대이다.[12]
역으로 산업단지가 많은 구미시에 직장이 있는 대구시민도 꽤 많다. 이들은 주로 구미와 가까운 칠곡에칠곡군이 아니다많이 거주한다. 물론 그렇지 않은 칠곡 주민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