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국시대의 인물 司馬昭
1.1. 가족 관계
1.2. 미디어 믹스
- 동진의 2대 황제 司馬紹
- 사신에게 마지막 소원을의 줄임말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2%AC%EB%A7%88%EC%86%8C?action= edit§ion=1)]
삼국시대의 인물 司馬昭 ¶
[JPG image (111.36 KB)]
사마소 초상화 (오른쪽 인물. 왼쪽 인물은 사마유)
시호 문황제(文皇帝)
성 사마(司馬)
휘 소(昭)
자 자상(子上)
생몰기간 211년 ~ 265년 9월 6일
(진왕)재위기간 264년 ~ 265년 9월 6일
사마의와 장춘화의 차남으로 사마사의 동복동생. 211년 출생, 265년 사망. 진을 건국한 사마염의 부친. 사마염이 후에 태조 문황제(文皇帝)로 추존하였다. 자는 자상(子上)이고 연의에서는 자상(子尙)이라고 나온다.
아버지 사마의는 도대체 조위에 대한 충심했는지 부터가 논쟁거리고[1]
형 사마사가 조위의 전성기때부터 역심을 품고 치밀한 준비끝에 실행에
옮겼다면 사마소는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아버지와 형에 의해 정변에 발을 들였고 이후론 좋든 싫든 형이 닦아둔 길을 걸어가다 그 길의 끝에
닿기전에 세상을 떠났다.
238년 위의 대신으로 신성향후(新城鄉侯)라는 지위를 받았다. 249년에는 사마의, 사마사와 함께 고평릉사변을 통해 정권을 잡았다. 다만 이쪽은 계획단계에선 배제되었고 거사 전날에야 사실을 듣게 되었다고 한다.
연의에서는 아버지, 형과 함께 전장에 자주 종군했다고 하지만 형이 그렇듯 사마소의 종군 기록 역시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
아버지의 쿠데타로 형과 함께 위나라의 권력을 장악했으며 아버지와 형이 차례로 죽자 자신이 그 직위를 그대로 계승했다.
정사에 따르면 사마사의 죽음은 문흠의 반란을 진압하고 회군 중에 사망한 것이기에 사마소가
군을 이끌고 회군하였다.
낙양의 조모는 군을 수도 밖에 두고 궁으로 입궐하는 것을 명령하였으나 사마소는
이것을 무시하고 그대로 낙양에 입성하였고, 할 수 없이 조모는 사마소에게 사마사가 가졌던 모든 직위를 그대로 물려주게 된다.
형이 옹립한 조모가 자신을 내치려는 것을 눈치채고 참모인 가충을 시켜 조모를 시해했다.
사태는 수습되었지만 아무튼 황제를 죽인 꼴이 되자 사마소의 입장은 매우 난처해졌으며 사마소는 조모가 곽태후를 시해하려 했다고 둘러대고 사태를
수습하면서 조모 시해의 책임을 모두 성제, 성쉬 형제에게 몰았으며 그들의 삼족을 멸했다.
하지만 성제가 단지 실행자에 불과하다는 건 사마소를 제외한 모든 이들이 다 알았으므로 이 후
선양의 정당성이 크게 떨어진 사마씨의 영향력은 사족들에게 밀려 약화될 수밖에 없었고
사마씨의 왕조는 그 대의명분이 건국 이전부터 이미 사라진 상태였던 것이다.
사마소는 조환을 황제로 옹립한 뒤 등애와
종회로 하여금 촉을 정벌하도록 명령하고
이후 등애와 종회의 갈등으로 혼란이 발생하자 가충을 파견하여 내분을 진압했다.
진공(晉公)으로 책봉되었으며, 이듬해 촉한을 멸망시킨 공으로 조환에 의해 진왕(晉王)으로 진봉되어 사실상 처음 진 왕조를 열었다. 그 뒤 이제 남은 건 선양을 통해 진을 건국하는 일만이 남았으나, 갑자기 중풍으로 쓰러져 54세를 일기로 숨을 거두었으며 숭양릉에 안장되었다. 생전에 본디 사마유를 후계자로 삼으려 했지만 가충의 반대로 장남인 사마염을 후계자로 지목했다.
사마유가 후계자가 될 뻔한 이유는 사마유는 본래 사마사의 자식이 아니라 사마소의 차남인데 사마사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그렇기에 사마소는 본래 진은 형님이 세운 나라라고 하면서 사마유에게 물려주려고 했던 것이다.
여태까지의 행적만 보면은 조조와 비슷하다. 단 조조는 황후를 죽였지 황제를 죽이진 않았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2%AC%EB%A7%88%EC%86%8C?action= edit§ion=2)]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2%AC%EB%A7%88%EC%86%8C?action= edit§ion=3)]
- 사마소/기타 창작물 항목 참고.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2%AC%EB%A7%88%EC%86%8C?action= edit§ion=4)]
2. 동진의 2대 황제 司馬紹 ¶
1대 중종 원황제 사마예
←
2대 숙종 명황제 사마소
→
3대 현종 성황제 사마연
![dongjinmyeongje.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dongjinmye ongje.jpg)
[JPG image (115.57 KB)]
시호 명황제(明皇帝)
연호 태령 (太寧, 323년 3월 ~ 326년 1월)
성 사마(司馬)
휘 소(紹)
자 도기(道畿)
생몰기간 299년 ~ 325년
재위기간 323년 ~ 325년
이 사마소는 사마의의 고손자에 해당한다. 그의 증조할아버지는 사마의의 6남 사마주, 그의 할아버지는 사마근, 그의 아버지는 사마예이다. 1번 항목의 사마소는 사마의의 차남이자 사마주의 이복 형이니 결국 1번 항목의 사마소는 이 사마소의 증조할아버지뻘에 해당한다.
원강 9년(299년)에 사마예와 순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사마소는 자는 도기로 어려서부터 총명하였고 박식했다. 사마소가 어릴 때 장안에서 온 황제의 칙사가 물었다.
칙사: "네가 보기에는 태양이 멀리 있겠느냐, 아니면 장안이 더 멀리 있겠느냐?"
사마소: "장안이 더 가깝습니다. 왜냐면은 태양이 있는 곳에서 사람이 왔다고 들어 본 적이 없었으니까요."
이 대화를 몰래 듣고 있었던 사마예는 주연을 베풀어 문무백관을 불러 놓고 다시 사마소에게 물어봤다.
사마소: "태양이 가깝습니다."
사마예: "아까는 장안이 가깝다고 하지 않았느냐?"
사마소: "지금 다시 생각해보니 눈을 뜨면 태양을 볼 수 있지만 장안을 볼 수 없습니다."
이에 문무백관들은 감탄했는데 특히 사마예는 그를 기특하게 여겼다.
사마소는 철이 들면서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지간에는 화목했으며 어진 사람과 유학자를 존경하고 장졸과 백성을 사랑했다. 또 문장, 서예, 학문, 병법 모두 뛰어나 신하들도 감탄했고 인심을 얻었다. 건흥 초기에 동중랑장이 되어 광릉을 지켰다. 건무 원년(317년), 세자가 되었고 이듬해 3월에는 태자가 되었다. 대장군 왕돈은 자기가 찬탈하는데 사마소가 방해가 된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 그가 효성이 없고 무능하다는 이유로 모함하여 여러 번 폐하려 했다. 그러나 신하들의 반대로 이루지 못하고 영창 원년(322년) 11월, 황제에 즉위했다. 태녕 원년(323년) 4월, 왕돈은 군사를 고숙으로 이동시켰고 이듬해 정월에는 충신 주숭 등을 죽이고 회계를 습격했다. 왕돈은 이때 친정하러 온 사마소의 진채를 형 왕함을 시켜 기습하게 했는데 오히려 개발렸다. 이에 왕돈은 절망하여 "실로 형님은 계집애와 같은 늙은 영감이었다. 아아, 우리 집안이 드디어 망하는구나!"라며 앓아누었다. 거기에 사마소가 이 틈을 타서 기습해서 또다시 대패하자 그대로 넘어가서 죽었다.
사마소는 왕돈을 부관참시하고 전봉, 심충 등을 주살하고 반란을 평정했다. 그러나 왕씨 일족들을 죽이지 않았으며 왕돈의 가솔이 그를 안장하는 것을 허락해 주었다. 담당 관원이 왕도, 왕빈 등을 처벌해야 한다고 했으나, 왕씨 일가라고 무조건 처벌하지 않았다. 오히려 사마소는 왕도가 왕돈의 사촌동생임에도 반란 토벌에 공을 세웠다면서 상을 내리고 더욱 중용했다. 태녕 3년(325년) 윤8월, 재위 4년 만에 27세의 나이로 건강 동당에서 사망하고 무평릉에 안장되었다.
승상 왕도와 국사를 논하다 사마씨가 나라를 어떻게 얻었는 지 문의했고, 이에 왕도의 얘기가 1의 사마소가 조위의 황제 조모를 시해하고 천하를 장악한 대목에 이르자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경이 말한 게 사실이라면 진나라가 오래가지 못한 게 당연하고 이 진나라도 오래가지 못할 것이오."
하고 책에 얼굴을 파묻으며 몹시 부끄러워 했다고 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2%AC%EB%A7%88%EC%86%8C?action= edit§ion=5)]
3. 사신에게 마지막 소원을의 줄임말 ¶
항목 참고.
\----
[1]
해석하기에 따라 호족의 이익을 대변하긴 했어도 평생 조위를 위해 봉사하고 안정시킨 신하도 되고 진작부터 역심을 품고 나라를 가로채려한 희대의 위선자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