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832 lines (512 loc) · 19.2 KB

태조.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832 lines (512 loc) · 19.2 KB

Contents

  1. 太祖

1.1. 역대 군주

1.2. 신라 태조?

1.3. 백제 태조 도모왕(都慕王)?

1.4. 김씨 조선 태조 혹부리우스 일성이우스킴

  1. 고구려의 귀족 연태조(淵太祚)
  2. 영화 스피드 레이서의 등장인물 태조 토고칸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3%9C%EC%A1%B0?action=edit&sect ion=1)]

1. 太祖 ¶

동북아시아의 역대 왕조들에서 사용된 군주에게 올리는 묘호로 묘호 중에서도 최고의 묘호. 대개 한 나라를 창건한 군주나 실질적으로 왕조의 기틀을 마련한 추존 군주, 대개 창업 군주 자신이 직접 묘호를 받는 경우가 많고, 종종 창업 군주의 아버지가 실제적인 공이 많은 경우 이 묘호를 받게 된다. 즉, 왕조국가판 국부라고 보면 된다.

대개 태조의 뒤를 이어 등극하는 2대째 군주는 태종이라고 묘호가 붙는 경우가 많다. 이는 보통 국가를 창건하는데 태조와 함께 큰 공을 세운 경우도 많고, 왕조의 창건자가 죽은 다음 국가의 질서를 재편할 때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물론 2대째 군주가 다 그런 것은 아니므로 다른 묘호가 붙은 사례도 많다.

그리고 엄밀히 말해서는 왕조를 창건하면 거의 자동적으로 태조란 묘호가 붙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오대십국시대오호십육국시대처럼 대혼란기에는 태조란 묘호가 어울리지 않는 인물이 당당하게 태조란 묘호를 받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후량의 태조인 인간쓰레기 주전충. 보통 이런 왕조의 경우 태조 다음 황제시절에 국가가 멸망하는 경우가 많아서 태조 - 말제로 왕조가 끝나는 아스트랄의 극치를 보여준다.

그래서 자칭 '민주주의 공화국'이라고 주장하면서 김일성 이래 아들, 손자까지 도합 3대 세습을 이루어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일성을 이 칭호를 들먹이면서 비꼬기도 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3%9C%EC%A1%B0?action=edit&sect ion=2)]

1.1. 역대 군주 ¶

성명

묘호

시호

재위기간

비고

고궁
(高宮)

-

태조대왕
(太祖大王)

53~146

고구려 6대왕

고추모
(高鄒慕)[1] 또는 우태(구태)

백제태조
(百濟太祖)

백제 태조(원조) 도모대왕
(百濟 太祖 都慕大王)

BC.37~BC.19

고구려 1대왕, 백제 1대왕[2] 또는 온조의 친아버지[3]

김성한
(金星漢)[4]

신라태조
(新羅太祖)

신라 태조(원조) 성한왕
(新羅 太祖 星漢王)

1세기 인물

신라의 태조 (추존)

왕건
(王建)

고려태조
(高麗太祖)

응운광렬대정예덕장효위목인용신성대왕
(應運光烈大定睿德章孝威穆仁勇神聖大王)

918~943

고려 제1대 국왕 (황제)

이성계
(李成桂)

조선태조
(朝鮮太祖)

지인계운응천조통광훈영명성문신무정의광덕고황제
(至仁啓運應天肇統廣勳永命聖文神武正義光德高皇帝)

1392~1398

조선 제1대국왕 대한제국 추존황제

자리
(子履)

태조
(商太祖)

무왕
(武王)

BC 1600~BC 1589

주무왕 추존

유방
(劉邦)

태조
(漢太祖)

고황제
(高皇帝)

BC 206~BC 195

조조
(曹操)

조위태조
(曹魏太祖)

무황제
(武皇帝)

-

조위세조 추존

손권
(孫權)

동오태조
(東吳太祖)

대황제
(大皇帝)

222~252

사마소
(司馬昭)

서진태조
(西晉太祖)

문황제
(文皇帝)

-

서진세조 추존

환온
(桓溫)

환초태조
(桓楚太祖)

선무황제
(宣武皇帝)

-

초 무도제 추존

모용황
(慕容皝)

전연태조
(前燕太祖)

문명황제
(文明皇帝)

333~348

풍발
(馮跋)

북연태조
(北燕太祖)

문성황제
(文成皇帝)

409~430

2대 황제

장궤
(張軌)

전량태조
(前涼太祖)

무목왕
(武穆王)

-

전량고조 추존

부홍
(苻洪)

전진태조
(前秦太祖)

무혜황제
(惠武皇帝)

-

전진고조 추존

요장
(姚萇)

후진태조
(後秦太祖)

무소황제
(武昭皇帝)

384~393

석호
(石虎)

후조태조
(後趙太祖)

무황제
(武皇帝)

334~349

3대 황제

여광
(呂光)

후량태조
(後涼太祖)

의무황제
(懿武皇帝)

386~399

이고
(李暠)

서량태조
(西涼太祖)

무소왕
(武昭王)

400~417

걸복치반
(乞伏熾磐)

서진태조
(西秦太祖)

문소왕
(文昭王)

412~428

3대 황제

저거몽손
(沮渠蒙遜)

북량태조
(北涼太祖)

무선왕
(武宣王)

401~433

2대 황제

혁련위진
(赫連衛辰)

태조
(夏太祖)

환황제
(桓皇帝)

359~391

하세조 추존

탁발역미
(拓跋力微)

북위시조
(北魏始祖)

신원황제
(神元皇帝)

220~277

북위 도무제 추존

탁발울률
(拓跋鬱律)

북위태조
(北魏太祖)

평문황제
(平文皇帝)

316~321

북위 도무제 추존

소도성
(蕭道成)

남제태조
(南齊太祖)

고황제
(高皇帝)

479~482

소순지
(蕭順之)

남량태조
(南梁太祖)

문황제
(文皇帝)

-

남량고조 추존

진문찬
(陳文讚)

남진태조
(南陳太祖)

경황제
(景皇帝)

-

남진고조 추존

탁발규
(拓跋珪)

북위태조
(北魏太祖)

도무황제
(道武皇帝)

386~409

우문태
(宇文泰)

북주태조
(北周太祖)

문황제
(文皇帝)

-

북주세종 추존

양충
(楊忠)

태조
(隋太祖)

무원황제
(武元皇帝)

-

수고조 추존

이호
(李虎)

태조
(唐太祖)

경황제
(景皇帝)

-

당고조 추존

무사확
(武士彠)

무주태조
(武周太祖)

무상효명고황제
(無上孝明高皇帝)

-

측천무후 추존

주황
(朱晃)

후량태조
(後梁太祖)

신무원성효황제
(神武元聖孝皇帝)

907~912

이극용
(李克用)

후당태조
(後唐太祖)

무황제
(武皇帝)

-

후당장종 추존

곽위
(郭威)

후주태조
(後周太祖)

성신공숙문무효황제
(聖神恭肅文武孝皇帝)

951~954

왕심지
(王審知)

태조
(閩太祖)

소무효황제
(昭武孝皇帝)

909~925

민태종 추존

양행밀
(楊行密)

남오태조
(南吳太祖)

무황제
(武皇帝)

902~905

남오 예제 추존

유안인
(劉安仁)

남한태조
(南漢太祖)

문황제
(文皇帝)

-

남한고조 추존

맹일
(孟佚)

후촉태조
(後蜀太祖)

효원황제
(孝元皇帝)

-

후촉고조 추존

야율아보기
(耶律阿保機)

태조
(遼太祖)

대성대명신열천황제
(大聖大明神烈天皇帝)

907~926

단사평
(段思平)

대리태조
(大理太祖)

신성문무황제
(神聖文武皇帝)

937~944

고지승
(高智陞)

대중태조
(大中太祖)

문융천우안방황제
(文戎天佑安邦皇帝)

-

상치제 고승태 추존

조광윤
(趙匡胤)

태조
(宋太祖)

계운입극영무예문신덕성공지명대효황제
(啓運立極英武睿文神德聖功至明大孝皇帝)

960~976

이계천
(李繼遷)

서하태조
(西夏太祖)

신무황제
(神武皇帝)

-

서하경종 추존

완안아골타
(完顔阿骨打)

태조
(金太祖)

응건흥운소덕정공인명장효대성무원황제
(應乾興運昭德定功仁明莊孝大聖武元皇帝)

1115~1123

패아지근철목진
(孛兒只斤鐵木眞)

태조
(元太祖)

법천계운성무황제
(法天啓運聖武皇帝)

1162~1227

원세조 추존

명옥진
(明玉珍)

명하태조
(明夏太祖)

흠문소무황제
(欽文昭武皇帝)

1363~1366

주원장
(朱元璋)

태조
(明太祖)

개천행도조기입극대성지신인문의무준덕성공고황제
(開天行道肇紀立極大聖至神仁文義武俊德成功高皇帝)

1368~1398

오삼계
(吳三桂)

오주태조
(吳周太祖)

개천달도동인극운통문신무고황제
(開天達道同仁極運通文神武高皇帝)

1678.3~1678.8

애신각라노이합적
(愛新覺羅努爾哈赤)

태조
(淸太祖)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입극인효예무단의흠안홍문정업고황제
(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睿武端毅欽安弘文定業高皇帝)

1583~1626

여환
(黎桓)

전레태조
(前黎太祖)

대행황제
(大行皇帝)

980~1005

이공온
(李公蘊)

리태조
(李太祖)

신무황제
(神武皇帝)

1010~1028

진승
(陳承)

쩐태조
(陳太祖)

개운입극홍인응도순진지덕신무성문수유지효황제
(開運立極弘仁應道純眞至德神武聖文垂裕至孝皇帝)

-

쩐태종 추존

여리
(黎利)

후레태조
(後黎太祖)

통천계운성덕신공예문영무관명용지홍의지명대효고황제
(統天啓運聖德神功睿文英武寬明勇智弘義至明大孝高皇帝)

1428~1433

완황
(阮潢)

응우옌태조
(阮太祖)

조기수통흠명공의근의달리현응소우요령가유황제
(肇基垂統欽明恭懿謹義達理顯應昭祐耀靈嘉裕皇帝)

1558~1613

완문혜
(阮文惠)

떠이선태조
(西山太祖)

무황제
(武皇帝)

1788~1792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3%9C%EC%A1%B0?action=edit&sect ion=3)]

1.2. 신라 태조? ¶

태종 무열왕과 더불어 묘호가 전해지는 단 둘뿐인 신라 왕인데[5] 삼국사기에는 없어 누가 태조인지는 여러 설이 있다.

신라에 태조라고 부르는 왕(또는 추존왕)이 존재했다는 걸 알 수 있는 근거는 진흥왕 순수비에 태조라는 왕을 거론하고 있기 때문이다.[6] 오늘날 당시의 역사를 적은 기록이 전하지 않는 관계로[7] 당시 누구를 태조라고 불렀는지 확실치 않다. 그래서 학자들 사이에 여러 설이 있는데 언급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혹시 다른 설도 있으면 추가바람.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3%9C%EC%A1%B0?action=edit&sect ion=4)]

1.3. 백제 태조 도모왕(都慕王)? ¶

한국의 기록에는 전하지 않고, 일본의 사서인 《속일본기》에 백제의 태조가 도모왕이라고 기록돼 있다. 고대에는 인명 표기가 통일되지 않은 채 여러 가지로 쓰였으므로 이 도모왕은 발음이 비슷한 고구려 시조 주몽(추모)일 가능성이 99%이다. 이상하게 보일 수 있겠지만 온조왕유리왕에게 밀려나 이주하여 백제를 세운 뒤 동명왕을 모시는 사당을 지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남아 있기 때문에 백제 왕실이 주몽의 정통 후계자를 자처했으리라고 짐작할 수 있다.[11] 따라서 그 과정에서 주몽을 태조라고 높였을 가능성은 예상할 수 있다.[12] 이 기록이 사실이라면 고구려는 주몽을 태조라고 안 하고 다른 왕을 태조라고 추존했는데 반해 백제는 오히려 주몽을 태조라고 추존한 게 돼서 주목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3%9C%EC%A1%B0?action=edit&sect ion=5)]

항목 참조.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3%9C%EC%A1%B0?action=edit&sect ion=6)]

2. 고구려의 귀족 연태조(淵太祚) ¶

연개소문의 아버지이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3%9C%EC%A1%B0?action=edit&sect ion=7)]

3. 영화 스피드레이서의 등장인물 태조

토고칸 ¶

가 연기했다.

\----

  • [1] 흔히 알려진 동명성왕의 이름은 주몽인데 주몽은 별명이고 추모가 본명이다.
  • [2] 일본 신찬성씨록 기준
  • [3] 시조 비류설에 따르면 주몽은 비류와 온조의 친아버지가 아닌 양아버지다. 친아버지는 북부여 해부루왕의 서손인 우태로 우태는 백제 시조 구태설에 나오는 구태와 동일 인물로 여겨진다.
  • [4] 김성한은 경주 김씨의 시조인 김알지의 아들 김세한(金勢漢) 또는 김열한(金熱漢)으로 추정되는데 신라인들이 김알지의 아들 김세한을 신라의 태조로 추존했다는 얘기가 된다. 참고로 경주 김씨 족보와 삼국사기에 의하면 김알지는 아들이 하나밖에 없었으므로 김성한은 바로 이 김세한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 [5] 고대 중국에서는 묘호를 아무 군주한테나 올리지 않았다. 모든 군주에 묘호를 올리기 시작한 것은 당나라 때부터이고, 한반도의 경우 고려가 처음이다(단 원 간섭기 이후 중단됐다가 조선 건국 후 재개). 아마 신라 역시 그런 관례에 따라 극히 일부의 군주에게만 묘호를 올렸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 [6] 그리고 신라의 무열왕에게 태종이라는 묘호를 올렸다는 것은 태조의 존재를 전제로 했다고 봐야 한다. 태조가 없는데 태종이 갑자기 등장할 수가 있겠는가? 태조라고 불리는 사람이 없었는데 무열왕한테 묘호를 올릴 것이라면 그를 태조라고 해야 하는 게 정상이다. 그런데 태종이라고 했다는 건 태조가 따로 있었다는 뜻이다. 그리고 어차피 신라 때 만들어진 진흥왕 순수비에서 태조가 거론되니 태조라고 부르는 왕(또는 추존왕)이 있었다는 건 의심의 여지가 없다. 문제는 대체 누가 태조라고 불렸느냐를 확실히 알지 못한다는 것 뿐이고.
  • [7] 삼국사기는 고려 때 편찬된 것이라 빠진 정보들이 꽤 있다.
  • [8] 가능성이 높지 않다. 만약 박혁거세의 권위를 함부로 드높이면 당시 왕위를 독점하고 있던 김씨 왕조의 정통성에 위협이 되기 때문이다. 아래 주석들도 참고할 것.
  • [9] 당시 신라는 박혁거세의 시조묘(始祖廟)와 별도로 김씨 세습을 강화하기 위해 신궁(神宮)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김씨 왕조의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해 박혁거세보다는 김씨 왕(추존왕 포함) 중에 누군가를 태조로 추봉하여 권위를 높이려 했을 가능성이 크다.# 미추 이사금을 태조로 추정하는 사람들은 태조가 최초의 군주에게 주로 붙인다는 점에서 김씨의 첫 군주인 그를 태조로 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 [10] 김알지는 신라의 군주가 아니었지만 후대에 왕으로 추존하고 태조라는 묘호를 올렸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 [11] 따라서 백제는 고구려 왕을 비정통 또는 방계로 취급했을 것이다.
  • [12] 당시 백제에서 왕들이 묘호를 안 썼는데 이상하지 않느냐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으나 고대에는 매우 중요한 업적을 세운 군주에게만 묘호를 올렸기 때문에 이렇게 특정 왕만 묘호를 받은 건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모든 군주에게 일일이 묘호를 올리기 시작한 건 당나라 때부터이며, 한반도 왕조 중에서는 고려가 최초이다(단 원나라의 간섭을 받기 시작하면서 중단됐다가 조선이 건국되면서 부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