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군
벽성군
금천군
신계군
송화군
안악군
재령군
봉산군
수안군
옹진군
연백군
평산군
장연군
은율군
신천군
황주군
서흥군
곡산군
황해북도의 시, 군
도청 소재지
시
군
개풍군
곡산군
금천군
린산군
봉산군
상원군
서흥군
수안군
신계군
신평군 연산군
연탄군
은파군
장풍군
중화군
토산군
평산군
황주군
구
폐지한 구역
별도의 국내법으로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 지역
북한(국가보안법)
남극(남극활동법)
위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곳은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여권법에 따라 여행경보 4단계인 여행금지 혹은 특별여행경보 2단계인 특별여행경보로 지정되었거나 기타 법률에 의하여 여행이 금지된 국가·지역입니다. 현지에 체류하시는 분들은 즉시철수및 귀국 해야 하며 만약 당국의 허가를 받지 않고 방문하게 되면 여권법에 의해 처벌을 받게 됩니다. 또한 위의 여행금지국가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별도의 법률로 입국이 금지 되어 있는 국가 및 지역의 경우 역시 해당 법률에 의하여 처벌을 받게 됩니다. 특히 이런 나라들은 테러와 전쟁 혹은 재해 다발 지역으로, 자국민들도 탈출하는 경우가 빈번한 매우 위험한 국가·지역이니 무슨 일이 있어도 절대로 가서는 안 됩니다.
여행경보 단계는 현지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설령 여행경보제도가 적용되지 않은 국가라 할지라도 그 국가가 완전히 안전하다는 사실과 직결되지 않으므로 해외를 여행하시려는 분들은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국에 대한 정보를 반드시 숙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외교부에서는 위 권고사항을 따르지 않고 해당 국가를 방문해서 발생할 수 있는 피해나 문제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황해도에 있는 도시. 북한 행정구역상 황해북도의 도시이다. 광복 당시 면적 51.53㎢이었다.
송림(松林)은 소나무 숲이 우거졌다고 하여 붙은 지명이다. 1914년
황주군 송림면이었다가, 1916년 겸이포(兼二浦)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겸이포면이 되고 1931년 읍으로 승격했다. 1945년 광복할 당시에 겸이포읍을 황주군에서 떼어 일본인의 이름에서 유래했던 '겸이포'란
지명을 버리고 송림시로 승격했다.[1]
교통은 송림선과 송림항이 있다. 근데 역은 시가지보다 남쪽에 떨어져 있다. 송림항은 큰 폭인 대동강을 이용한 하항이다.
http://cfile9.uf.tistory.com/image/1514B750504E98D31DC1E7
1918년, 겸이포제철소
송림은 황해제철소(前 겸이포제철소)가 있는 제철도시이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86%A1%EB%A6%BC%EC%8B%9C?action= edit§ion=1)]
아래 행정동과 법정동은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규정되어 있다.
행정동
법정동·리
구 황주군 겸이포읍 지역
능죽동 능동(菱洞)·명치동(明治洞)·죽원동(竹園洞)
동금동 금산동(金山洞)·동동(桐洞)·판본동(坂本洞)
문대동 대진동(大津洞)·문동(文洞)·석산동(石山洞)
수길동 길전동(吉田洞)·수도동(水道洞)·십이포동(十二浦洞)
영본동 본동(本洞)·영동(榮洞)·화석동(花石洞)
욱곡동 곡동(谷洞)·대정동(大正洞)·욱동(旭洞)
구 황주군 송림면 지역
석탄동 당산리(堂山里)·석탄리(石灘里)
연동동 마산리(馬山里)·송림리(松林里)·연봉리(嚥峯里)
제전동 난탄리(蘭灘里)·저전리(猪田里)
진동 대동리(大同里)·오류리(五柳里)·진동
\----
[1]
출처 : 북한총람(1968), 황해도지(1981), 황해도민월남사(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