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99 lines (64 loc) · 5.95 KB

예주.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99 lines (64 loc) · 5.95 KB

고대 중국 9주

기주

연주

청주

서주

양주(揚州)

형주

예주 양주(梁州)

옹주

후한 자사

기주

연주

청주

서주

양주

형주

예주 서량

옹주

익주

병주

유주

교지(교주)

삭방

豫州

중국의 옛 지명으로, 고대 9주에도 포함됐을 정도로 역사가 오래 되었다. 그 영역은 대개 현재의 허난성(河南省, 하남성)[1]을 중심으로 하며, 장쑤성(강소성), 안후이성(안휘성)의 영역도 일부 포함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에도 허난성의 한 글자 약칭은 여기에서 따온 예(豫)다.[2]

  • 그러나 위의 서술은 어느 정도 문제가 있다. 과거 예주의 중심지는 지금 허난성과 많이 겹치지 않기 때문. 예주는 팽성이라고 불렸던 패국/초군(譙郡) 초현(譙縣)이 중심지였고, 초는 위나라의 5대 도시로 크게 번성했다. 애초에 패국 초현 자체가 한고제 유방과 위나라 무제 조조 모두의 고향. 그런데 정작 지금은 두 영웅의 고향은 각각 장쑤이성과 안후이성에 있다(...) [3] 다시 말하지만 허난성이 곧 예주가 아니다!

전국시대 위나라의 후반기 수도인 대량(카이펑, 개봉)과 역시 춘추전국시대 송나라, 그 외 정나라노나라의 중심부가 예주에 있었다.

오늘날 허난성의 중심부에 있는 정주(정저우)와 허창(쉬창), 여남, 그리고 익양이 예주에 속해 있었다. 특히 후한 말기 당시에는 허현, 허도라고 불렸던 허창이 바로 예주 영천군 소속이다. 건안 18년의 하남군 합병까지 보면, 예주는 건안 시대의 "수도권"이었던 셈이다.

유비여포에게 서주를 잃고 조조에 몸을 의탁했을 때, 이곳의 (군사력을 가진 자사)으로 임명되어 온적이 있다. 그래서 유예주, 예주 목이라는 이름으로 삼국지에 가끔씩 나온다. 사실 유비가 자주 있던 소패(패현)와 관도전투에서 몸을 의탁하던 여남 등도 서주가 아니라 예주 소속이며, 익양 대치에 나오는 익양군도 예주에 속한다. 예주의 포스가 별로 없어서 "차지한 적도 없었던 예주를 갖고 계속 팔아먹는다"라고 까는 경우들이 있는데, 은근히 유비는 예주와 관계가 깊었던 셈이다. 조조 역시 예주 목을 맡겼다는 것은 나름 유비를 대접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위치가 애매하다보니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위나라가 오나라에 대항하는 사령탑이 있었던 꿀물 황제 원술의 땅 회남 수춘(수양, 초나라의 옛 수도)과 합비는 예주가 아닌 양주 구강현에 있었다. 양주와 예주는 장강(양쯔강)이 아닌 회수(화이수)를 경계로 했던 것이다.

\----

  • [1] 황하의 중하류에 위치해 있으며 황하의 남쪽에 있다고 해서 하남성이라고 한다. 동쪽으로는 산둥성, 안후이성을 접하고 북쪽으로는 허베이성, 산시성(산서성), 서쪽으로는 산시성(섬서성), 남쪽으로는 후베이성(호북성)을 접한다.후난성(호남성)과는 다르니 주의 요망.
  • [2] 허베이성기주에서 따온 기(冀)를 쓰는 것도 흥미롭다.
  • [3] 정작 후한을 건국한 광무제의 고향이 형주 남양인데, 난양 시로 지금은 허난성에 속한다. 어느정도 예주보다 서진한 위치에 있는 것이 지금의 허난성이다. 게다가 허난성에는 뤄양(옛 낙양)도 포함되어 있지만, 양한(전한, 후한) 시절에는 사례라는 이름으로 따로 떨어져 있었다. 건안 18년(213년) 낙양을 포함한 하남군이 예주로 소속되었다. 수도권의 처절한 몰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