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전승에 등장하는 요정들의 왕
- 멜티블러드의 등장인물
- 여신전생 시리즈에서 나오는 악마
- 온라인 게임 던전 앤 파이터의 거너 무기 55제 레어 머스켓
-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마스터 몬스터
- 온라인 게임 엘소드의 등장 나소드
- 위성
- 유희왕
- Warframe에 등장하는 워프레임
- 프로그래밍 언어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의 보스 몬스터
11.1. 패턴
- 소드 아트 온라인의 등장인물
- 최강의 군단의 헤드헌터(최강의 군단)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1)]
왕 ¶
중세 독일의 영웅 서사시 「니벨룽겐의 노래」중에서, 땅속의 보물을 지키는 소인들의 왕 알베리히에서 유래한다. 세 살 정도 되는 어린아이의 크기이며 몸집이 작은 이유는 태어날 때 요정의 주술에 걸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요정들의 여왕 티타니아를 아내로 삼아서 무도회나 예식 등 요정나라의 모든 일을 도맡아 한다. 다른 요정들처럼 인간과 사랑에 빠질 때도 있지만, 이런 때는 부부싸움을 했다고 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꿈」에서도 등장.
아시아라이 저택의 주민들에서도 잠깐 언급된다. 스프리건에게 바로네스 오르티를 도우라는 명령을 했다고 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2)]
2. 멜티블러드의 등장인물 ¶
- 제피아 엘트남 오베론 항목 참조.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3)]
3. 여신전생 시리즈에서 나오는 악마 ¶
물리와 전격계열의 특기를 가진다. 딴 건 필요없고 자기 부인보다 약한데다 내성도
티타니아에 불리해서 동인에선 이따금 개그 소재로 쓰인다.
대표적으론 페르소나3 동인 4컷만화 '타르타로스 극장'
통칭 타이즈맨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4)]
(/wiki/%EA%B1%B0%EB%84%88%28%EB%8D%98%EC%A0%84%20%EC%95%A4%20%ED%8C%8C%EC%9D%B 4%ED%84%B0%29) 무기 55제 레어 머스켓 ¶
닐스나이핑과 플래시 마인을 하나 올려주는 머스켓으로 나름 좋은 머스켓이지만 다 그렇듯이 가격은 시궁창.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5)]
오베론(Oberon)
![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9%94%EC%9D%B4%ED%94%8C%EC%8A%A4%ED%8 6%A0%EB%A6%AC/%EB%A7%88%EC%8A%A4%ED%84%B0%20%EB%AA%AC%EC%8A%A4%ED%84%B0?action =download&value=Oberon.pn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wiki.php/ %EB%A9%94%EC%9D%B4%ED%94%8C%EC%8A%A4%ED%86%A0%EB%A6%AC/%EB%A7%88%EC%8A%A4%ED%8 4%B0%20%EB%AA%AC%EC%8A%A4%ED%84%B0?action=download&value=Oberon.png)
[[PNG external image]](http://rigvedawiki.net/r1/wiki.php/%EB%A9%94%EC%9D%B4%E D%94%8C%EC%8A%A4%ED%86%A0%EB%A6%AC/%EB%A7%88%EC%8A%A4%ED%84%B0%20%EB%AA%AC%EC% 8A%A4%ED%84%B0?action=download&value=Oberon.png)
레벨 : 137 HP : 21,679,692 / MP : 40,000 EXP : 388,006
위치 : 위험한 타워 팬트하우스
테마곡 : 2230year
제한 시간 : 없음
물리 공격 : 4,350 / 물리 방어 : 800 / 25%
마법 공격 : 4,400 / 마법 방어 : 700 / 25%
속도 : 0
넉백 대미지 : 999,999
불 속성 공격에 반감, 독 속성 공격에 반감
2230년 위험한 타워를 장악하고 암슈트들을 조종해서 도시를 장악하고 있는 인공지능 안드로이드다. 실체를 가지고 있지 않고 오직 전기신호인 홀로그램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 존재가 가히 악마와도 같이 여겨지고 있다.
2230년 위험한 타워를 장악하고 암슈트를 조종해서 도시를 장악하고 있는 인공지능 안드로이드. 공반을 굉장히 자주 사용하며, 비슷하게 공반을 사용하는 릴리노흐와 달리 이쪽 공반은 때리면 그대로 뻗는다. 본래 일본에서 처음 나왔을 때는 아우프헤벤 아포스트로라는 이름으로, 아우프헤벤의 소환 몬스터였는데, 보스가 소환하는 몬스터 중에서 가장 셌었다.
코믹 메이플스토리에서는 앤디의 부하로 나온다. 그리고 도도의 몸에 집착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6)]
6. 온라인 게임 엘소드의 등장 나소드 ¶
[PNG image (277.24 KB)]
벤더스에게 강탈한 엘로 아키텍쳐 코드를 발동한
이브가 만들어낸 최초의 나소드.
이름은 4에서 따왔다.
사용하는 무기는 톤파 블레이드.[1]
목과 팔에 연결된 쇠사슬은 오베론의 충성심, 계약관계를 나타낸다고 한다.
이브(코드 아키텍쳐-엠프레스)의 콤보 공격(→→↑XZ,→→ZX,XXZ,→→ZZZ)에 튀어나와 공격을 하고 사라지며, '헤븐즈 피스트'를 제외한 코드 아키텍쳐의 모든 스킬은 오베론을 소환하여 하는 공격 스킬이다.
-
사용 스킬
- 서피스 커팅(1필)
- 소닉 웨이브(2필)
- 스페이스 렌치(2필)
- 제노사이드 리퍼(3필)
- 어설트 스피어(2필)(오필리아와 함께 등장한다.)
- 오베론 가드(액티브)
음성 시스템이 없어서 말을 할수 없다고 하며, 성격은 대단히 괴짜스럽다고 한다.[2]
성격 뿐만이 아니라 다른 문제도 있는지 오베론과의 전투에 한계를 느낀 이브는 오베론의 후속격? 나소드인 오필리아를 만든다……라고 2차 전직(코드 엠프레스)의 설명에 나와 있다. 하지만 이브의 주력 스킬들은 아직 죄다 오베론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능상의 문제가 아니라 전투 방법의 문제일 듯.
만들어지게 된 과정인 코드 아키텍쳐 전직 퀘스트를 찬찬히 살펴보면, 이브가 오베론을 만들기 위해서, NPC 렌파드에게 뇌물을 주고,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엘과 무장으로 사용할 톤파 블레이드, 소프트웨어로 사용하기 위한 궁중 교본을 벤더스의 소굴과 월리의 성에서 강탈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보면 알겠지만 에너지원, 무기, 소프트웨어까지 전부
**강탈**이다. 이런 게 제대로 만들어질 리가 없잖아
상당히 험하게 다뤄지고 있으며, 패배모션은 안습 그 자체. 험한 꼴은 오베론이 다 당한다.[3]
지못미.
그래도 오베론은 엘소드의 등장 캐릭터 중 가장 긴 기럭지를 자랑하는 캐릭터이다. 위너 근데 정작 인기는
블레이드 마스터가 독차지 중
코믹스에서는 이브의 피조물이 아니라 이브의 아버지인 다이어로트가 이브를 보호하기 위해 남겨놓은 마지막 선물이라는 설정. 여기서는 이브를
사모하고 있는.. 정도가 아니라 성격이 완전 이브 극성 빠돌이에 스토커라서
더 위험해졌다. 또한 가면라이더 같은 얼굴은 가면을 쓰고 있다는 설정인데, 이 가면을 벗은 오베론의 모습은 그야말로
작중 최고의 미남으로 묘사된다. 에라이.
엘 타입에 수록된 만화에서는 기계 주제에 정기 점검 때 아프다고 도망치는 추태를 보여서 이브가 오필리아에게 잡아오도록 명령한다. 이 때 이브의 대사가 "오필리아! 잡아오세요!!, 반항하면 팔다리 한두개는 괜찮습니다!!"(…)인 걸로 봐서 한두번 이러는 게 아닌 것 같다.
이브 전용 메모 블랙홀 ver
4.0의 저자이기도 하다. 예의바른 극존칭 어투를 쓰고 있으며, 이브가 쓰는 블랙홀을 다르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으니 자기 잘못을
용서해달라고 싹싹 빌고 있다. 무슨 죄를 지었길래
이브가 갓 전직해서 오베론을 만들었을때 도와주던 에코에게서 들은 말은 "출산 축하해, 이브...아니 말이 좀 이상한가?"
만들어질 때 서포트해준 사람부터가 정상이 아니니 결과물이 정상일 리도 없는 것이 당연지사
애드 공개영상에는 코드 엠프레스에게 접근하는(실험적인 목적으로) 애드의 앞을 멋있게 막아섰으나, 그 직후 애드에게 지고 발로 짓밟히는 굴욕을 당한다. 문제는 이 공개영상이 거의 12동안 내려지지 않아서, 엘소드를 킬 때마다 오베론은 애드에게 항상 밟히는 꼴이 되었었다. 게다가 애드 공개 일주일 후에 오베론을 모티브로 한 오토바이 탈것이 종류별로 나왔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7)]
7. 위성 ¶
1에서 이름을 따온 천왕성의 위성 중 하나. 모두의마블 우주맵에도 이 곳을 모티브로 한
땅이 존재한다.[4]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8)]
8. 유희왕 ¶
요정왕 오베론 항목 참조.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9)]
9. Warframe에 등장하는
워프레임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10)]
10. 프로그래밍언어
¶
Pascal과 Modula 등을 만든 비르트가 1986년에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 많은 기능을 집어넣기보다는 문법을 작고 간결하게 만들어서 배우기 쉽고 컴파일러도 작고 단순하며 쉽게 최적화할 수 있는 언어를 지향했다. 그 외에도 오베론 운영체제도 있지만 이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일반인들에게는 별로 유명하지 않지만 컴파일러가 작고 단순하다보니 상당히 여러 종류의 시스템용으로 컴파일러가 제작되어 있으며, 그 중에는 Java 가상머신용 바이트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컴파일러나 슈퍼컴퓨터용 프로그래밍을 위한 컴파일러도 있다. 또한 Oberon 원판이나 Oberon-7에서는 객체지향을 지원하지 않지만 Oberon-2에서는 객체지향을 지원하고 있으며, Active Oberon에서는 액터(actor) 모델을 지원하여 병렬 프로그래밍을 쉽게 작성할 수 있게 만들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11)]
11.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의 보스 몬스터 ¶
![오베론.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uploadfile/%EC%98%A4%E B%B2%A0%EB%A1%A0.JPG)
[JPG image (41.9 KB)]
좀비 시나리오 맵 '추적:데드 엔드' 에 나오는 보스. 공사장 근처에서 발견된 것을게이머의 팀과는 다른 팀이 여차저차해서 간신히 콘크리트 덩어리 내부에 산채로 밀폐시키는데 성공하였지만, 게이머의 팀이 현장에 도달하는 순간 콘크리트 봉인을 풀고 등장한다. 이에 애초 생포하기로 했던 계획을 변경하여 사살해야 하는것이 임무이다.
역대 보스들 중 가장 위압적인 덩치를 자랑하...였으나 2011년 9월자로 등장한 디오네 때문에 최고 덩치 타이틀을 빼앗겼다.
맵이 매우 넓고 소환되는 좀비의 수가 의외로 적어서 포보스보다는 여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대신 오베론 본인(?)은 절대 여유롭게 상대할 수 없다. 이젠 이걸 좀비라고 봐야 하는지 아니면 마족이라고 봐야 하는지 알 수 없는 엄청난 스킬들을 사용한다.
'섬멸:악몽'맵에서는 프로토타입이 아닌 시즈타입으로 소개된다. 공격력이 더 높아졌다.
헤드를 맞추면 더 강해진다는 루머가 있으나, 오히려 헤드를 맞추어야 더 빨리 잡힌다. 이건 카운터 스트라이크 내 모든 존재들에게 해당되는 만고의 진리.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12)]
- 베기
근처에 인간이 있다면 성큼성큼 걸어와서 베기 공격을 시전한다. 대미지는 별로 높진 않지만, 진화 상태라면 위협적으로 강해진다. 이동속도도 은근히 빨라서 웬만큼 거리를 두고 있지 않았다면 따돌리기가 불가능하다.
- 점프 공격
하늘 높이 점프했다 착지하는데, 포보스와는 달리 매우 높게 도약한다. 이 때 착지지점 밑에 있는 사람은 잔여체력 여하 상관없이 입싸물고 원킬이다. 오베론이 자기를 보고 점프하는 게 보이면 당장 튀자. 다행히 상기했듯 매우 높게 도약하므로 보고 피할 수준은 된다. 참고로 착지 지점에 스플래시 대미지가 있는데 그건 별로 높지 않다.
- 폭탄 공격
엎드린 후 등에서 다량의 폭탄을 발사하는데 위력이 절륜하다. 게다가 폭탄이므로 스플래시 대미지도 있다. 그리고 폭탄이 땅에서 굴러다니다
터지는게 아니라 하늘에서 떨어지다 공중 폭발을 하는 것이므로 맞으면 그대로 헤드샷이 된다. 물론 점프하다 맞으면 대미지가 더 들어온다.
XK11?
다행히 피할 구석이 존재하긴 하지만 사방에 좀비가 가득한 상황에서는...망했어요. 이 보스를 잡기 힘들게 하는 최악의 원흉중 하나이다. 가끔 폭피하러 오베론쪽에 바싹 붙는 경우가 있는데, 처음 한두번은 모르나 절대로 비추. 자기등 바로위에서도 폭탄을 뿌린다.
악몽 맵에서는 점프공격과 조합돼서 쓰이는데 문제는 점프공격시 가끔 유저가 때릴 수 없는 곳으로 간다. 그리고...폭탄 패턴은 더 난해해진다.
가끔 버그로 폭탄을 한두개만 투척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안뿌려진 폭탄은 보스 위치에 그대로 남아있으므로 접근은 절대 금지. 이 현상은 콘솔
설정으로 의도적으로 재현이 가능하다. 2014년 기준 난이도가 그리 높진 않은데 할 필요가 있을까 싶다만 방장이
FPS_MAX 30으로 해놓으면 가능하다 (악몽에서도 적용)
- 블랙홀
오베론이 서 있는 곳의 바닥에 검은 소용돌이가 깔린 후 플레이어가 오베론 쪽으로 끌려간다. 시전 범위가 상당히 넓다. 이후 시전이 끝나면 오베론이 휠윈드(!)를 사용한다. 사실 이 휠윈드의 대미지는 크지 않지만, 그래도 안맞는게 더 좋으므로 기왕이면 끌려가진 말자. 시전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회피가 가능하지만 일정 거리 내에 있었다면 얄짤없이 끌려간다. 당연히 진화시엔 휠윈드의 대미지가 상승한다.
이 패턴이 등장하면 절대로 점프를 하지 말자. 점프 상태에서는 순식간에 끌려간다. 점프한 좀비에게 총을 쏘면 평소보다 더 멀리 날아가는 것과 동일한 원리이다.
가끔은 빨려가다가도 등장한 좀비 덕분에 안빨려가는 황당한(……) 경우가 있다. 하지만 현실은 그 반대로 빨려가는거 피하자고 반대로 뛰다가 등장한 좀비에게 얻어맞는 경우가 더 많다.
- 충격파
땅을 주먹으로 내리치는데 그 때 범위 내에 있으면 들고있는 총기를 강제로 떨구게 된다. 미량의 대미지도 존재.
![오베론진화.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uploadfile/%EC%98%A4 %EB%B2%A0%EB%A1%A0%EC%A7%84%ED%99%94.JPG)
[JPG image (39.94 KB)]
- 진화
오베론의 피를 반피 가까이 깎으면 오베론의 등과 양 팔에서 클로가 나오면서 모든 근접 공격의 데미지가 50%(!)증가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13)]
12. 소드 아트 온라인의 등장인물 ¶
- 스고우 노부유키 항목 참조.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98%A4%EB%B2%A0%EB%A1%A0?action= edit§ion=14)]
13. 최강의 군단의
- 오베론(최강의 군단) 항목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