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GIF](//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_ec_a7_84_ed_9d_a5_ea_b 3_a0_ec_86_8d/Ci.GIF)
[GIF image (2.38 KB)]
Love of Driving
함께하는 사랑운행~ 편안하고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 합니다
- 개요
- 역사
- 노선
3.2. 시외버스
- 차량
4.1. 시외버스
4.2. 농어촌버스
- 기타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D%9D%A5%EA%B3%A0%EC%86%8 D?action=edit§ion=1)]
아토스로 편하고 친절하게 모시겠습니다[1]
춘천,가평,청평 시외버스터미널의 큰형님[2]
경기도
가평군,
강원도
춘천시,
화천군을 본거지로 하는 시내/시외버스
회사. 강원고속과는 계열사 관계이고 경기도 가평
면허를 가지고 있으며, 가평터미널, 청평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강원고속으로 검색해도 이 곳으로 올 수 있다).
사실상 둘이 같은 회사로 봐도 되지만 차이점이 있다면 강원고속 과 진흥고속은 주주만 동일할뿐 법인이 다른 상태이고 또 강원고속 차량은 강원도
면허여서 번호판 번호가 강원70자로 시작하지만,진흥고속 차량은 경기도 가평 면허여서 번호판이 경기77자로 시작한다.노선도 진흥고속은 주로
경기도에서 출발하는 노선이 많지만, 강원고속은 강원도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대다수[3]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D%9D%A5%EA%B3%A0%EC%86%8 D?action=edit§ion=2)]
1965년 경기여객[4]
에서 분사하여
삼용버스라는 회사를 설립한 것이 시초. 1991년에
진흥여객이 분리되었고[5]
, 2001년 삼용버스 부도
당시 1330 등의 노선을 인수하면서 시내버스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 이후 2006년에 업체명을 진흥여객에서 현 이름으로 바꾸게 됐다.
시내버스에서 주력노선은 1330 시리즈. 가평군에서
남양주시 마석, 호평, 평내, 금곡, 도농,
구리시를 거쳐
청량리역까지 가는
직행좌석버스로,
장거리이지만 2,000원이라는 저렴한 요금, 군지역 특성상 일반시내버스 배차간격이 안 좋고 전철역 연계도 제대로 되어 있지 않는 등의
이유로 현상유지는 하는 노선이다. 하지만 경춘선 전철이 개통되자 1330
시리즈에도 영향이 미쳐 2011년 3월 대대적인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다.[6]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D%9D%A5%EA%B3%A0%EC%86%8 D?action=edit§ion=3)]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D%9D%A5%EA%B3%A0%EC%86%8 D?action=edit§ion=4)]
3.1. 시내버스,
농어촌버스 ¶
1330번대 노선은 다음과 같다. 원래는 본선도 있었지만 현재는 본선이 없어진 관계로 모두 지선노선이다.여기서 1330-44 정도만
빼면 거의다 레어노선
경춘선 전철 개통 이후 정리된 노선[10]
- 1330(청평 - 청량리)
- 1330-1(남이터 - 청량리)
- 1330-3(목동 - 청량리)
- 1330-5(설악 - 청량리)
- 1330-6(묵안리 - 청량리)
- 1330-7(유명산 - 청량리)
- 8004(설악 - 청량리)
이 외에도 정식 번호를 달고 있는 노선은
5번으로 광릉내 - 일동터미널까지이다. 포천버스 7번과의 차이는 화현면사무소 경유
여부[11]
에 있으며 소속 노선중 유일하게 아웃 가평 노선이다. 군 지역 버스들의 경우 일부[12]
는 타 지역으로도 다닌다.
[노선정보](http://www.gapyeong-pti.com/index.php?mt=page&mp=p2_2_2&mm=road&oxid=1&
cmd=table&subcmd=list&tid=&artpp=10&cpage=1)
현재 청평터미널 출발노선의 경우 일부 시간 한정으로 청평역을 경유하게끔
변경됐다.
별도 항목이 개설된 농어촌버스 목록
- 31-5(청평 - 고성리)
- 31-7(청평 - 아침고요수목원)
- 32-9(청평 - 양평)
- 32-21(청평 - 모곡)
- 33-3(가평 - 청평)
- 33-5(가평 - 남이섬)
- 33-13(상천마을회관 - 호명산)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D%9D%A5%EA%B3%A0%EC%86%8 D?action=edit§ion=5)]
3.2. 시외버스 ¶
춘천에서 출발하는 노선이 대다수. 가평군,
화천군 면허도 있기에 가평군(가평읍, 청평면, 현리)이나 화천군에서
출발하는 노선도 있으며, 이외에 철원군 -
센트럴시티 등 철원에서 출발하는 노선도
있다.[13]
지방행 노선도 상당수 운행중인데 대다수가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춘천시, 철원군, 화천군등 강원도 영서지방에서는 가장 큰 회사지만 이외 지역에서는 밀리는게 단점. 삼척시, 강릉시같은 동해 지역에는 강원여객이나 동해상사고속이 판치고 태백같은 남동부 산간지방에는 영암고속이 있으며 동북부지방에선 금강고속이 있어서 확실히 밀린다.그나마 원주같은 중부지역으로 가는 노선망은 꽤 많이 있긴 하지만 강원도 서북부만 나가면 작아진다.안습
이 중에서 회사의 간판 노선은 "동서울-춘천" 이다. 경춘선 전철이
다님에도 불구 여전히 20분 간격[14]
으로 절찬리에 운행중이며 주말에는 매진이 빈번히 일어난다. 차량도 편도 1시간10분 가량의 단거리
노선임에도 유니버스 노블 이나 뉴그랜버드 션샤인같은
고속버스에서 주력으로 운행하는 차량을 투입한다. 다만
운행경로가 상습정체로 악명높은 서울양양고속도로인데다 국도로 우회함에도 불구 그 국도 마저 악명높은 경춘국도라서 소요시간이
2시간도 넘게 걸리는 경우도 있다(...)반면 차가 없으면 강고진흥 특유의 스피드로 1시간만에 도착하기도 한다. 다만 요즘에는 승객들이
ITX-청춘으로 꽤나 이탈해버리는 바람에 예전만큼의 포스는 아니다.[15]
그리고 경춘선 전철과 ITX-청춘[16]
의 [등산객 술판질](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
ew.html?artid=201203021141571&code=940100), 무법자 할아버지
사건 등을 피하기 위해
바쁘지만 않으면 이쪽으로 오는 사람들도 있고, 강변역/[잠실역](/wiki
/%EC%9E%A0%EC%8B%A4%EC%97%AD) 등 서울 지하철 2호선으로 접근성이 훨씬 나은게 장점. 동서울 터미널에서 거의
12시까지 막차를 운행하는것도 장점이다.
한 가지 재미있는것은 동서울-춘천은 31인승이지만 성남-춘천은 28인승이다.[17]
성남시에 살거나 좀더 넓게 타고 싶으면 성남종합버스터미널가서 타도
되지만 배차간격이 1시간으로 긴 편이고 요금이 몇백원 더 비싸다.[18]
그리고
센트럴시티발 춘천행[19]``[20]
도
운행중이니 참고하자
이외에도 춘천/원주발 북대구,[포항](/w iki/%ED%8F%AC%ED%95%AD),울산,부산,전주,대전행 장거리 노선들을 금강고속,경북고속,아성고속,전북고속,새서울고속과 공배로 운행하고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D%9D%A5%EA%B3%A0%EC%86%8 D?action=edit§ion=6)]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D%9D%A5%EA%B3%A0%EC%86%8 D?action=edit§ion=7)]
4.1. 시외버스 ¶
[JPG image (1.07 MB)]
[JPG image (575.67 KB)]
[JPG image (829.84 KB)]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모델 구도색
BH120F 로얄 크루저 2 구도색
유니버스 노블
신도색유로화이트
기아자동차,
자일대우버스,
현대자동차[21]
버스를 고루 뽑는
편인데 시내버스는 기본적으로 대우버스만을 뽑았으나
2009년에 대우버스가 파업한 이후로는 현대 버스를 구매하기도 한다. BH116 F/L차량
구매이후 몇년째
자일대우버스 구매소식이
없는걸로 보아 완전한 현기빠가 된듯하다. 시내버스에서는 현대버스만 뽑고 있지만 시외버스에선 현대유니버스보다 기아그랜버드를 더 많이
구매하여 운행하고 있다. 로알크루져 2도 여전히 잘만 운행중이다.[22]
2004년쯤에는 로얄 럭셔리 우등시트 장착 차량을 운용해 굴렸기도 했다. 출고 당시에는 동서울 - 춘천에 굴리다가 여러곳에 굴리더니 말년에는 원주 - 춘천선에 굴리다가 대차되었다.
특이사항으론 유니버스 노블,뉴그랜버드 션샤인 같은 HD급 차량에 28인승이 아닌 31인승 시트를 적용하고 있다. 수요가 넘쳐서 31인승으로 좌석을 늘린 것.
원래 춘천/원주-부산,춘천-포항/북대구/울산 노선등에 션샤인 우등차량이 투입됐으나 승객이 많아 주말에는 매진 연발이 자주 일어나 아예
일반으로 전환하고 차급도 파크웨이로 다운되었다.[23]
일반이긴 하지만 뉴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 신차가 춘천 - 북대구/포항/울산에서
운행중이다.최근에는 장거리고 뭐고 그랜버드 파크웨이만 출고중...인것 같았는데 최근 뉴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션샤인을 출고했다!!! 다만
우등이 아니고 일반이긴 하지만(...) 신차는 춘천-속초에 투입된듯 하다.
![진흥이노.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_ec_a7_84_ed_9d_a5_ea _b3_a0_ec_86_8d/%EC%A7%84%ED%9D%A5%EC%9D%B4%EB%85%B8.jpg)
[JPG image (42.85 KB)]
...는 페이크고 원래는 그냥 뉴그랜버드 선샤인인데 사고가 나서 전면만 이노베이션처럼 개조한 차량이다(...) 얼마 전 춘천 - 청평 - 가평 - 고양백석행에 투입된 바 있다.
시외버스회사 통틀어 버스 타이어는 유일하게 외산 타이어인 미셰린 타이어를 쓰고 있다. 모델은 X COACH.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D%9D%A5%EA%B3%A0%EC%86%8 D?action=edit§ion=8)]
4.2. 농어촌버스 ¶
[JPG image (471.6 KB)]
[JPG image (722.83 KB)]
청평터미널의 군내버스
뉴 슈퍼 에어로시티[24]
[JPG image (762.91 KB)]
[JPG image (764.23 KB)]
가평군 농어촌버스의 경우 200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100% 대우버스였지만[25]
2010년대 이후 현재 1330 계열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현대그린시티이며 대우
차량은 극소수 존재.[26]
2012년 이후로는 현대카운티도 도입되어 있으며 일부 노선은
BH116을 굴리기도 한다. 이전에는 BM090이 주력이며 한때는 동일차종 시외버스 모델(전비형 좌석)도 군내버스로 사용했다.
[JPG image (118.68 KB)]
![E�I°_~1.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E%C2%80I%C2%B0_~1. JPG)
[JPG image (124.55 KB)]
(로럭 시내버스 차량. 촬영시기는 2013년
7월경)왜인지는 모르지만 두 장 빼고 다 청평터미널이다
좌측은 예비차량 혹은 일부 노선대에 투입[27]
, 우측은 주로
호명호수 노선으로 운행했으며, 이전에는
초기형 럭셔리에 도색은 빨간색 그대로였다(각각 1330본선 출신과 1330-1 출신). 이후 04년식 차량으로 바꿀 때 빨간색에서 녹색으로
도색개조 했다. 현재는 모두 시내차량으로 교체됐다[28]
.
여담으로 전국에서 최초로 전중비형 유니버스 엘레강스 디젤을 운행하는 회사 이기도 하다. 본래 유일했으나 이미
명성운수에서 1200번에 동일한 차량을 투입하고 있으며,
2013년 거제시의 삼화여객과 세일교통에서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 운행 목적으로 유니버스 엘레강스 전중비형 디젤을 투입하면서 유일은 아니게 되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D%9D%A5%EA%B3%A0%EC%86%8 D?action=edit§ion=9)]
여담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안산 - 의정부 - 포천에 강원고속 차량도
들어오는데 이 차량들은 강원도는 들어오지 않아
아웃강원차량이다.아웃광주와 [아](/wi
ki/%EC%95%88%EC%82%B0%20%EB%B2%84%EC%8A%A4%2031-7)웃안산,
아웃전라, 그리고
아웃경북에
이어 이젠 아웃강원이다
이 회사 차량들을 보고 싶으면 춘천시외버스터미널에 가보면 된다. 터미널에 있는 차량 10대중 8대는 강원고속 차량이여서 1시간만 승차홈에 있으면 질리도록 구경이 가능하다(...) 또한 동서울터미널 맨 끝홈들을 사실상 전용홈처럼 쓰고 있기 때문에 이 곳에서도 많이 접할수 있다.
국도에선 100km/h이상의 과속을 매우매우 흔하게 하지만 정작
고속도로에선 100~105km/h 정속주행을 한다(...)
[29]
\----
[1]
2013년 9월 추석연휴당시 1대로 운행하는 5번에서 고정차량이 고장나자카운티같은 소형버스도 아닌소형차인 **아토스**를 투입했다!!! 흠좀무. 승객들한텐 죄송하다고 하고 요금은 받지 않았다고. 사실 여객운수사업용 차량이 아니기 때문에 요금을 받을 수도 없다.[2]
차량도 가장 많을뿐더러 노선도 강원,진흥고속이 운행하는 노선이 대부분이다(...)[3]
둘이 공배하는 노선도 있다. 동서울-춘천이 대표적인 예[4]
당시에는 KD그룹 계열사가 아니었다.[5]
강원고속의 경우 초기 이름은 강원운수였으며 1952년에 설립, 현 이름으로 바꾼 것은 1997년이었다.[6]
이게 진흥 입장에서는 정말 큰 타격이었다. 1330번 본선과 1번이 폐선되었고, 나머지 노선도 대폭적인 감차가 이루어졌다. 1330 시리즈는 전부 청평을 거치는 데 전철은 청평까지 40분, 급행은 33분으로 (2014년 기준에서는 50분까지 늘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개통 당시는 저만큼만 걸렸다.) 1330 시리즈의 1시간 20분의 절반에 불과했다. 게다가 요금은 별 다를 것도 없었다. 2014년에는 1330번이 더 비싼 상태(...)[7]
사실은 아래 -3번이 이것의 목동 지선이라고 보는 게 맞다. 다만 개편으로 인해 입장이 반대로 바낀 셈. 그리고 현재 1330-3은 폐선됐다.[8]
2014년경에 다시 부활.[9]
하루 4회 운행[10]
경춘선 전철 개통 이전엔 500-1번이 있었으며 일동 - 상봉간을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였다.[11]
7번은 그런 거 없고 봉수리 경유[12]
이 외에는 청평발 송천리(남양주 수동면)행도 있다. 번호상으로는 32-3이며 운행시간은 오전 6시 40분과 7시 30분, 오후 6시 40분으로 3회운행이다. 시간은 청평터미널 기준. 그리고 가평읍 출발 노선 일부는 춘천시 구간도 다닌다. 또한 강원도 홍천군 모곡리로 다니는 32-21번도 있다.[13]
그리고 2010년 2월 KD그룹 이 선진고속 을 인수함에 따라 철원/포천지역에서 강원/진흥고속과 경기고속이 경쟁을 시작했다.[14]
무정차 노선 기준,완행노선도 있으니 주의하자.[15]
주말에도 매진은 커녕 자신이 원하는 좌석으로 터미널 현장에서 직접 발권하는게 가능할때도 있다. 물론 30분정도 일찍와서 발권할때 가능한 소리[16]
전철만큼은 아니지만 행락철이 되면 ITX에서도 무개념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종종 보인다.[17]
성남발은 주로 구형 그랜버드 파크웨이가 들어간다[18]
2015년부터 성남행 차량은 일반으로 바뀌었다.[19]
대원고속과 공배중[20]
이쪽은 배차간격이 40분 안팎. 잘못하면 이거 기다려서 타고 오는것보다 7호선-경춘선 타고 지하철 타고 오는게 빠를수도 있다. 배차가 엇갈릴경우 지하철은 2시간정도면 남춘천역에 도착하는데, 센트럴-춘천터미널 1시간 30분+배차 40분이면... 거기에 매진이 껴있다면...[21]
90년대까지는 자일대우버스, 00년대 초반까지는 자일대우버스와 기아자동차버스가 주력이었다. 가끔 현대차도 뽑기도 했고, 심지어 쌍용 트랜스타도 굴렸다![22]
동글이 크루저는 대차되었다.[23]
강고만 차급이 낮아진건 아니고 공배하는 금강고속이나 경북고속,아성고속도 일반으로 바꿨다.그리고 회사입장에선 증차가 안되니 28인승에서 41인승으로 바꿔서 더 태워야 되고 무엇보다 원래 시외버스에다 우등을 넣는지 일반을 넣는지는 회사 재량이여서 일반을 넣는다고 회사를 무턱대고 욕할순 없다.[24]
밑 부분에 올려진 로얄 럭셔리 시내차량 교체분이다. 로얄시티 구형모델도 바꾼 모델은 동일.[25]
특히 지척에 널린 게 로얄미디였다.[26]
직좌출신 차량을 제외하면 05년식 BS106 단 1대만 남아있다. 이 차량도 현재는 현대 시내차량으로 교체.[27]
사진이 찍힌 때는 가평 - 남이섬 노선에 투입됐을 때였다.[28]
차량 넘버는 77자 1007호, 77자 1030호. 교체 차종은 뉴 슈퍼 에어로시티.[29]
야간에 차량이 거의 없을 때는 110~120km/h까지 밟는 일도 빈번하다.다만 국도 한정 이야기로 고속도로에선 얄짤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