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en/3/31/USN_NWU1.jpg](http://upload.wi kimedia.org/wikipedia/en/3/31/USN_NWU1.jpg)
![http://4.bp.blogspot.com/-oa4U8WvAxdM/UMuuvlY0UWI/AAAAAAAAKKk/06hpMMaKdho/s1 600/uniform2.png](http://4.bp.blogspot.com/-oa4U8WvAxdM/UMuuvlY0UWI/AAAAAAAAKK k/06hpMMaKdho/s1600/uniform2.png)
[[PNG external image]](http://4.bp.blogspot.com/-oa4U8WvAxdM/UMuuvlY0UWI/AAAAA AAAKKk/06hpMMaKdho/s1600/uniform2.png)
- 개요
- 종류
2.1. NWU Type I
2.2. NWU Type II/III
2.3. 방한복
- 아류작(?)들
- 기타
- 관련항목
상위항목 : 군복/미군
[edit]
Navy Working Uniform. 약칭 NWU.
미합중국 해군에서 기존의 해군 작업복이던 "덩가리/셈브레이" 를 대체하고자 2009년부터 착용하기 시작한 I형 작업복을 필두로, II형과 III형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우드랜드 및 사막3색 위장복을 대체했다.
[edit]
[edit]
해군/육군/해병대의 전투복 스타일 비교. 저 단상 밑에 이등병이 있었더라면…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
![http://i209.photobucket.com/albums/bb16/GeorgeMon/TMAR/030109_navy_cammies2_ 800.jpg?width=500](http://i209.photobucket.com/albums/bb16/GeorgeMon/TMAR/0301 09_navy_cammies2_800.jpg)
[[JPG external image]](http://i209.photobucket.com/albums/bb16/GeorgeMon/TMAR/ 030109_navy_cammies2_800.jpg)
어이, 수병? 군생활 할만한가? 아닙니다,
함장[1]
님!
가운데 있는 중령과 그 옆의 마스터치프의 명찰과 해군 테이프를 맨 위
사진의 하사와 비교해 보면, 후술할 신분별 명찰 글자 색깔의 차이를 알 수 있다.
흔히 NWU 하면 보통 이 I형을 가리킨다.
저걸 전투에 입고 나가면 걸어다니는 파란색 표적지 확정(…)일 것 같지만 애초에 이름에서도 나오다시피 이건 **"작업복"**이다. 색채가 저
모양인 것도 사실 작업하면서 페인트나 기름 얼룩 묻어도 눈에 잘 띄지 말라고 저렇게 해 놓은 것[2]
이다. 한마디로 본격
대페인트 위장복(…) 인 것이다.
[[JPG external image]](http://i238.photobucket.com/albums/ff193/AnchorStation/ navy_uniform.jpg)
오른쪽 구형 커버올과 비교해 보면 이 옷의 존재 의의를 한 방에 깨달을 수 있다. 색만 좀 다른 거 아냐? …싶을 수 있지만, 오른쪽의 저건 위장무늬가 아니라 작업하다 묻은 페인트 얼룩이다!
아래 언급할 III형을 지급받지 않은 해군 인원은 이걸 육상 전투시에도 입을 수 있다. 위장성은 육전용보다 떨어지지만, 어두운 수풀에서는
어느 정도 위장 성능이 나오며[3]
, 먼지 묻는 거 신경 안 쓰고 편하게 구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ttp://pds.exblog.jp/pds/1/201304/27/65/a0106965_2344970.jpg](http://pds.exb log.jp/pds/1/201304/27/65/a0106965_2344970.jpg)
육상 전투군장과 함께 착용한 NWU I형. I형에는 보통 검정색의 개인장구류를 착용한다.
왼쪽 상단 주머니에는 해병대의 마팻처럼 미 해군을 상징하는 로고가 자수되어 있다. 반대쪽 주머니에는 함정이나 부대 내규에 따라 근무지를
상징하는 마크 등을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명찰 및 해군 테이프의 글자색은 E-6(Petty Officer 1st Class)[4]
이하는 은색, E-7(Chief Petty Officer) 이상은 금색이다. 모자는 같은 무늬로 된
팔각모가 원칙이나, 역시 함정이나 부대별로 고유의 모자가 있는 경우 이를
대신 쓸 수도 있다.
![http://mimo.recordingconnection.com/wp- content/uploads/2013/05/Battleship_11.jpg](http://mimo.recordingconnection.com /wp-content/uploads/2013/05/Battleship_11.jpg)
[[JPG external image]](http://mimo.recordingconnection.com/wp- content/uploads/2013/05/Battleship_11.jpg)
영화 배틀쉽에 등장한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USS 존 폴존스 함의 함모.
신발은 검정색 전투화이고, 속에는 남색 T셔츠를 착용해야 한다.
처음에는 아무래도 전투복을 별로 안 좋아하는 해군의 특성에 더해, 뭔가 아스트랄한(?) 위장 무늬 탓에 거부감을 느낀 인원들이 많았으나, 점차 뭔가 SF에 나올 것처럼 최첨단 이미지를 풍기는 탓인지 선호자가 많이 늘었다고 한다.
![http://chivethebrigade.files.wordpress.com/2010/09/lcs-2-photos-920-14.jpg?w idth=500](http://chivethebrigade.files.wordpress.com/2010/09/lcs-2-photos-920- 14.jpg)
[[JPG external image]](http://chivethebrigade.files.wordpress.com/2010/09/lcs- 2-photos-920-14.jpg)
미 해군 희대의 삽질배 LCS의 함교 모습. 확실히 뭔가
우주군스럽다.
![http://navylive.dodlive.mil/files/2012/12/view_image-2.jpeg?width=500](http: //navylive.dodlive.mil/files/2012/12/view_image-2.jpeg)
떼샷이라 역시 우주방위군같은 느낌을 준다.
[edit]
NWU는 함정 및 지원부대 근무자용인 I형 외에도, 사막위장무늬인 II형[5]
과 해군 시설대대 등 육상 전투원을 위한 온대&열대 위장무늬
III형도 있다. I형이 칼라나 계급장 부착 위치 등에 있어선 이전의 BDU와 달라지지 않은 반면, II형과 III형은 육군과 해병대의
전투복과 거의 같은 형태의 칼라와 계급장 부착 방식을 채택했다. 해안경비대에서도 착용한다.
![http://img.alibaba.com/img/pb/092/355/748/748355092_521.jpg?width=550](http: //img.alibaba.com/img/pb/092/355/748/748355092_521.jpg)
NWU II형/III형. NWU II형을 AOR I형, NWU III형을 AOR II형이라고도 부른다. AOR1형은 미 해병
MARPAT과 거의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흡사하다[6]
. 그리고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전단의 신형전투복이
NWUIII형을 모티브로 했다.
![http://2.bp.blogspot.com/-KX0m1SbLRYA/Tm3OLgnVjfI/AAAAAAAAALE/lqtTvLQw1-c/s1 600/AOR1_Camouflage.jpg](http://2.bp.blogspot.com/-KX0m1SbLRYA/Tm3OLgnVjfI/AAA AAAAAALE/lqtTvLQw1-c/s1600/AOR1_Camouflage.jpg)
[[JPG external image]](http://2.bp.blogspot.com/-KX0m1SbLRYA/Tm3OLgnVjfI/AAAAA AAAALE/lqtTvLQw1-c/s1600/AOR1_Camouflage.jpg)
NWU II형을 착용한 네이비씰 대원들.
![http://i47.servimg.com/u/f47/13/87/79/34/31567910.jpg?width=500](http://i47. servimg.com/u/f47/13/87/79/34/31567910.jpg)
NWU III형을 착용한 해군 시설대대원들.
I형과 달리, 부착물 색이 위장 효과를 위해 신분 불문 모두 갈색(II형)과 검정색(III형)으로 통일되어 있다. 전투화는 육군과 동일한 사막색 전투화를 신으며, T셔츠는 옛 우드랜드 및 사막 전투복에 입던 갈색을 입도록 되어 있다.
[edit]
![http://www.navy.mil/local/greatlakes/images/photos/web_101023-N-8848T-958.jp g](http://www.navy.mil/local/greatlakes/images/photos/web_101023-N-8848T-958.j pg)
[[JPG external image]](http://www.navy.mil/local/greatlakes/images/photos/web_ 101023-N-8848T-958.jpg)
I/II/III형 위장무늬의 고어텍스 재질의 파카가 지급된다. 내피는 플리스 형태로, 특별한 지시가 없으면 전투복 위에 고어텍스 파카 없이 이 내피만 입어도 상관없으며, I형에는 검정색, II/III형에는 코요테 색상의 플리스를 입는다.
[edit]
![http://livedoor.blogimg.jp/toychan/imgs/9/c/9c80993f.jpg](http://livedoor.bl ogimg.jp/toychan/imgs/9/c/9c80993f.jpg)
해상자위대도 2014년부터 신형 함상 작업복으로 NWU스러운 물건을 채택했다. 칼라가 타 자위대의 신형 전투복 형태로 되어 있다.
![http://www.ecns.cn/visual/hd/2013/12-19/U429P886T15D29724F104DT2013121908540 5.jpg?width=500](http://www.ecns.cn/visual/hd/2013/12-19/U429P886T15D29724F104 DT20131219085405.jpg)
[[JPG external image]](http://www.ecns.cn/visual/hd/2013/12-19/U429P886T15D297 24F104DT20131219085405.jpg)
인민해방군해군도
따라하기 시작한 듯 하다.[7]
2014년 11월에는 대한민국해군도 NWU와 같은 개념의 신형 함상전투복으로 기존 셈브레이/덩가리를 교체할 예정임을 밝혔다.[국방일보 기사](http://kookbang.dema.mil.kr /kookbangWeb/view.do?parent_no=4&bbs_id=BBSMSTR_000000000005&ntt_writ_date=201 41103)
![http://imgnews.naver.net/image/001/2014/10/22/PYH2014102201930005200_P2_99_2 0141022104408.jpg](http://imgnews.naver.net/image/001/2014/10/22/PYH2014102201 930005200_P2_99_20141022104408.jpg)
[[JPG external image]](http://imgnews.naver.net/image/001/2014/10/22/PYH201410 2201930005200_P2_99_20141022104408.jpg)
이와는 별도로 2014년 10월경부터 해군 특수전전단은 전용 전투복으로 NWU-III과 매우 비슷한 위장무늬를 채택했다.
[edit]
2013년 말, NWU I형의 내화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이 발견되어, 미 해군은 함정에서의 착용을 2014년부터 금지시키고, 함정
근무자에게는 방염 재질의 남색 커버올을 지급하기로 했다는데, 지급이 취소 혹은 지연되었는지 신형 커버올은 착용한 모습이 나오지 않고 있다.
대신, NWU I형 이전부터 채택되어 NWU와 함께 병행 지급되던 면직물로 된 구형 커버올[8]
을 함정에서 일상 근무시 착용하고,
NWU는 육상 작업 및 전투원과 함정에서 정복이나 근무복이 아닌 작업복을 착용하는 간단한 행사시에 입도록 하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NWU의
원단을 방염성 높은 것으로 바꿔 다시 함상복으로 입게 만드는 게 목표인 듯 하다.
![http://img40.imageshack.us/img40/2403/58259257.jpg](http://img40.imageshack. us/img40/2403/58259257.jpg)
NWU 착용자들 뒤에 있는 인원들이 입은 것이 구형 커버올이다. NWU 제정 당시에도 재고가 워낙 많아서, 샘브레이/당가리와 달리 행사 등을 위한 통일 지시가 없을 경우 개인이 둘 중 하나를 아무거나 입고 근무할 수 있다.
[edit]
\----
[1]
명찰 위에 달고 있는 수상 지휘관 휘장(Command At Sea Insignia)으로 함장임을 알 수 있다.[2]
그리고 이렇게 해서 조금이라도 세탁에 드는 물과 전력, 옷의 마모로 인한 추가 보급, 세탁으로 낭비되는 수병 개개인의 시간 등등을 절약하고자 하는 의도도 있다.[3]
배틀쉽 및 미드 라스트 리조트 등에서도 나온다.[4]
국군 공식 계급체계는 이 계급이 우리 군의 하사와 동급이라 되어 있으나, 맡는 직책 등을 따져봤을 때 실제로는 중사에 더 가깝다. 국군의 미군 사병 계급 번역은 1:1 매치가 안 되는 상황에서 그냥 밑에서부터 어거지로 이은 것이라 정확도가 떨어진다.[5]
네이비 씰이나 EOD 등 특수전 병력만 입을 수 있었는데, 최근 시설대대 일부에게도 지급된 것이 확인되었다.[6]
이 점을 노려, AOR1형이 풀리기 시작한 초기에는 이베이에 해병대의 MARPAT 위장패턴 군복/군장을 해군 특수전 병력만 입는 AOR1 패턴 군복/군장으로 속여 파는 사례도 있었다(…). 특수전 부대용의 군장에 프리미엄이 붙는다는 것을 악용한 것.[7]
07식 해양미채라 불리는 것으로, 전투복 자체는 인민해방군이 미군보다 먼저 채택했다. 단, 이쪽은 해군육전대용 전투복으로 채택한 것으로, 파란 위장복을 함상 전투복으로 채택한 것은 09년에 도입된 NWU가 먼저다. 중국 해군은 최근까지 남색 민무늬 함상복을 입다 최근에서야 육전복을 함정에서도 입기 시작했다.[8]
울이나 면은 합성섬유들에 비해 내화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