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quokkaX2/classmate

Repository files navigation

1

📝 1. 프로젝트 및 팀원 소개

팀 브로셔

이름 역할
김동준(TL) - 코드 기능 개발 및 테스트코드 기능 단위 작성
- Prometheus + Grafana 기반 초기 모니터링 툴 구축
- Jmeter를 활용한 부하 테스트, 성능 테스트
- 데이터 동시성 제어
- N+1 쿼리문 최적화 및 테스트
- Elastic Search + Log Stash + Kibana 구축을 통한 검색 성능 개선
- Front-end 스켈레톤 프레임 작성 및 개선
김상윤 - 코드 기능 개발 및 테스트코드 기능 단위 작성
- Docker + Prometheus + Grafana 서버 모니터링 툴 구축
- Jmeter를 활용한 부하 테스트, 성능 테스트
- 데이터 동시성 제어
- Redis를 활용한 수강신청 응답시간, TPS 개선
- N+1 쿼리문 최적화 및 테스트
- 오토 스케일링 분산 환경 스케줄 락 적용
김현영 - classmate 서버, WebSocket 서버 GitHub Action, S3, CodeDeploy로 CI/CD 구축
- classmate Nginx로 프록시 세팅, Docker를 통해 Blue/Green 무중단 배포 세팅
- Redis 전용 EC2 서버 세팅
- WebSocket Nginx로 프록시 세팅 Docker를 통한 배포 세팅
- classmate, WebSocket 서버 각각 Route53, 도메인 세팅
- AWS ssl을 통해 classmate, websocket 서버 모두 https 세팅
- classmate 서버 ALB를 통해 오토스케일링 적용
- MySql RDS 읽기 전용 DB 세팅 및 코드 구현
- Jmeter 부하 세팅
박찬섭 - classmate 서버, WebSocket 서버 GitHub Action, S3, CodeDeploy로 CI/CD 구축
- classmate Nginx로 프록시 세팅, Docker를 통해 Blue/Green 무중단 배포 세팅
- Redis 전용 EC2 서버 세팅
- WebSocket Nginx로 프록시 세팅 Docker를 통한 배포 세팅
- classmate, WebSocket 서버 각각 Route53, 도메인 세팅
- AWS ssl을 통해 classmate, websocket 서버 모두 https 세팅
- classmate 서버 ALB를 통해 오토스케일링 적용
- Redis를 통한 대기열 서버, 클라이언트 코드 구현
- Jmeter 부하 세팅
이시현 - 코드 기능 개발 및 테스트코드 기능 단위 작성
- Prometheus + Grafana 모니터링 툴 구축
- 강의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후 DB 적재
- Jmeter를 활용한 부하 테스트, 성능 테스트
- 데이터 동시성 제어
- Elastic Search + Log Stash + Kibana 구축을 통한 검색 성능 개선
- Front-end 작업

👩🏻‍💻 더 이상 못할 수강신청은 없다! 동시 접속자가 많아져도 서버 걱정 없이 편리하게 신청하자!

고가용성과 안정성을 중심으로 한 기술 도입으로 뛰어난 성능 보장:

1️⃣  수강신청 대기열 구현: 신속한 처리와 공정한 접근성을 보장합니다.

2️⃣  동시성 제어: 데이터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합니다.

3️⃣  Auto Scaling과 로드 밸런서: 트래픽 부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서비스가 항상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합니다.

4️⃣  DB Replication: 데이터베이스 부하를 분산시켜 높은 트래픽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합니다.

5️⃣  Elastic Search - Log Stash - Kibana 체계: 빠르고 정확한 검색 기능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대규모 트래픽 부하 테스트를 거친 결과, 한 번에 10만 명의 수강 신청을 약 1500 TPS의 처리량으로 문제 없이 처리할 수 있으며, 동시에 20000명의 검색 요청도 평균 6-700ms의 응답 속도로 처리가 가능한 고가용성, 안정성, 신뢰성을 확보한 프로젝트 입니다.

CLASSMATE에서 테크놀로지가 만들어내는 안정성을 직접 경험하세요.


🔧 2. 기술 스택

카테고리 사용 기술
Backend JAVA, Spring Boot, Spring Data JPA, Spring Security
TEST JMeter, JUnit5, Postman
CI/CD Github Actions, AWS S3, AWS CodeDeploy
Database AWS RDS(MySQL), Redis
APM Prometheus, Grafana
Search engines Elastic Search, Kibana, Log Stash
DevOps AWS EC2, AWS Application Load Balancer, AWS Auto Scaling, Docker, Nginx, Google Cloud Platform

✔️ 3. 기술적 의사결정

요구사항 선택 기술 기술 선택 이유
🪣 데이터 베이스 MySQL vs PostgreSQL MySQL은 PostgreSQL보다 읽기 성능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복잡한 쿼리가 없고 쓰기 작업 보단 읽기 작업이 더 많은 현재 프로젝트에 적합한 MySQL을 선택하였습니다.
📈 부하 테스트 Jmeter vs nGrinder nGrinder의 가장 큰 단점이 현재까지의 default 지원 자바 버전이 여전히 8이며, 최대 Java 11까지 지원되기 때문에 현재 프로젝트의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 17에 호환되는 JMeter를 선택하였습니다.
🖥️ 모니터링 Prometheus, Grafana vs Pinpoint Spring boot에서 내보내는 메트릭들을 프로메테우스로 손쉽게 수집할 수 있고, 그라파나 대시보드를 import 해오면 주요 지표 시각화에 적은 시간이 들게 됩니다. 또한 오픈소스로 무료로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선택하였습니다.
⚡️ 응답 속도, TPS 개선 Redis vs Memcached Memcached는 string 데이터 타입만 지원합니다. 반면에 Redis는 hash, set, list, string 등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지원합니다. Redis는 In Memory 데이터 저장소로서, 디스크 기반의 데이터 접근보다 데이터 I/O 속도가 빠릅니다. 반복적인 읽기에 대한 응답 속도 개선과 DB 부하를 줄일 수 있기에 선택하였습니다.
🔍 검색 성능 개선 Elastic search, Log Stash, Kibana vs Native Query Elastic search는 텍스트를 토큰 단위로 분리, 분석하는 루씬 엔진과 http 메소드를 기반으로 운영 체제에 구애받지 않는 검색 환경을 제공하는 외부 라이브러리이며 데이터 로그 추적 및 수집을 맡는 Log Stash 및 검색 데이터 분석 및 모니터링을 맡는 Kibana를 통한 ELK 체계를 통해 빠르면서도 다양한 검색 조건을 제시하고 확장성을 고려할 수 있어서 선택하였습니다.
⚙️ CI/CD Github Actions vs Jenkins Jenkins보다 설정이 단순하고, CI 서버 구축이 따로 필요 없으며 GitHub와 연동이 용이하며 사용 경험이 있는 GitHub Actions를 선택하였습니다.
💬 소켓 통신 Web socket vs SSE vs WebFlux SSE에 비해 연결 제한이 없고 러닝커브가 낮으며 프로젝트 기간을 고려하였을 때, 사용 경험이 있는 WebSocket을 선택하였습니다.
🥔DB 복제 Replication vs Sharding 초기에는 DB 복제와 샤딩 모두 적용하고자 하였습니다. 하지만, 초기 ERD 구성이 샤딩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복제를 선택하여 적용하게 되었습니다.

🛠️ 4. 서비스 아키텍처

19

📂 ERD

20


🖥️ 5. 주요 기능 및 성능 개선

❗️대기열 구현

  • Redis의 sorted set 자료구조로 수강 신청 순서 보장
  • 웹 소켓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 대기열 정보 제공
2

❗️Redis를 활용한 수강신청 TPS, Latency 개선

  • I/O가 빠른 In Memory 데이터 베이스인 Redis로 수강 신청 잔여석을 캐시 하여 응답 속도, TPS 개선
  • 수강 신청 잔여석이 ‘0’일 경우, 비즈니스 로직 이전 Redis에서 잔여석을 확인하여 바로 마감 응답

3


4


✔️ 테스트 결과

50000명 10초 동안 요청 - Redis 적용 전

5

평균 응답시간 : 810ms

TPS : 234

50000명 10초 동안 요청 - Redis 적용 후

6

평균 응답시간 : 297ms

TPS : 598

  • 5만명 요청 기준
    • 평균 응답시간 : 810ms297ms 약 63% 개선
    • TPS : 234 TPS598 TPS 약 155% 개선

❗️Elastic Search를 활용한 검색 성능 개선

  • 서버 성능 향상: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해 서버 성능을 AWS t2.small에서 t3.medium으로 업그레이드함으로서 처리 능력과 반응 속도 개선

  • 페이징 전략 개선: 대용량 데이터 검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offset 기반 페이징에서 성능이 우수한 cursor 기반 페이징으로 전환, 그러나 초기 테스트에서는 평균 TPS 2.49/sec, 평균 응답 시간 18067.46 ms로 기대에 매우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임

  • 네이티브 쿼리 적용: MySQL에 최적화된 네이티브 쿼리를 사용하여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였을 때, 500명이 10초 동안 검색할 경우 평균 TPS 112.38/sec, 평균 응답 시간 876.04 ms로 크게 개선됨

  • 인덱싱 최적화: 제목 필드에 인덱싱을 적용하여, 대용량 데이터 검색 시 뒷부분 데이터 검색 지연 문제를 해결. 이로 인해 20,000명이 동시에 검색할 경우 평균 TPS 253.8/sec, 평균 응답 시간 762 ms로 성능이 개선됨

  • Elasticsearch 도입: 초기 도입 시 Elasticsearch의 성능이 저조했으나 (평균 TPS 54.2/sec, 평균 응답 시간 3580 ms), 쿼리 조정과 Nori tokenizer 적용 후 성능이 크게 향상 (평균 TPS 294.3/sec, 평균 응답 시간 650 ms).

  • 노드 및 샤드 구성 조정: CPU 사용량이 너무 높고 검색 테스트 결과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lasticsearch 노드를 추가 확장하고 샤드와 레플리카의 구성을 조정하여 최적의 성능을 테스트 한 결과, 샤드 2개, 레플리카 0개 설정에서 평균 TPS 308.4/sec, 평균 응답 시간 637 ms로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며 최종 구성을 확정함

    7

    8

❗️Auto Scaling을 통해 수강 신청 기능 개선

  • EC2 Auto Scaling : 서버 CPU 점유율을 통해 최대 3개의 EC2가 증설되게 세팅, 이후의 요청은 ALB를 통해 ASG에 전달됨
  • Redis Shed Lock : 여러 개의 EC2가 각각의 스케줄러에 의해 Redis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경우 같은 데이터를 중복 처리하는 이슈 발생, Shed Lock을 통해 하나의 EC2가 스케줄러를 통해 Redis를 사용하고 있다면 다른 EC2의 스케줄러가 동시에 Redis를 접근하지 못하게 함

기존 수강 신청 최대 TPS : 500TPS

9

Auto Scaling 적용 후 최대 TPS : 1515TPS

10

❗️WebSocket 서버 분리

  • WebSocket 전용 서버 독립 : 대기열 기능 구현 당시 UX측면에서 대기열을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는 WebSocket 기능을 하나의 서버에 전담 시키지 않고 분리된 독립 서버로 설계
  • 역할 분리로 부하 감소 : 기존 서버는 API요청 응답 및 데이터 처리, WebSocket 서버는 실시간 소켓 통신만 담당하게 되면서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가능
  • 기능 확장에서의 유연함 : WebSocket 서버를 따로 분리하지 않았다면 Auto Scaling 적용 시 여러 개의 서버가 Redis의 같은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면서 불규칙하고 정확하지 않은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 할 수 있음, Lock 적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겠지만 WebSocket기능을 가진 여러 개의 서버가 결국 한 번씩만 작동하게 되면서 비효율적으로 작동하게 됨

❌ 6. 주요 트러블 슈팅

수강신청 동시성 문제

❗️ 문제 확인

  • 한 과목에 대한 수강신청 트래픽 몰릴 경우, 강의 잔여석에 대한 동시성 문제 발생
  • 동시성으로 인한 객체 공유로 인해 예상했던 수치의 변동폭과 다른 값이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됨

✔️ 해결

  • 낙관적 락 적용 시, 충돌이 빈번하기 때문에 현재 프로젝트 규모에서 부하가 예상되어 비관적 락 적용 및 해결
  • 200개의 수강신청 가능 과목 → 1초동안 한 과목에 대해 100개의 수강신청 요청 → 오류없이 100개의 잔여석 남은 것 확인
11 12

분산 서버 환경(오토 스케일링) 대기열 스케줄러 중복 실행 문제

❗️ 문제 확인

  • 단일 서버에서 동시성 제어가 성공했던 수강신청에 대해 분산 서버(오토 스케일링)을 적용 후 문제 발생
  • 강의 잔여석이 부족하지 않은데 일부 요청에서 신청이 마감 되었다는 응답이 발생

13

✔️ 해결

  • 분산 서버 환경에서 대기열에 있는 요청을 가져오는 부분이 중복 실행 되는 것 으로 확인하여 동일한 스케줄러가 하나의 인스턴스에서만 작동할 수 있도록 ShedLock을 활용한 스케줄 락 적용
14
  • 스케줄러 Lock 정보는 Redis를 이미 사용중이었기 때문에 Redis에 저장하여 Lock 정보를 공유

15

Elastic Search 검색 대상 데이터 전달 문제

❗️ 문제 확인

  • 단순 Elastic Search만을 도입했을 때, 검색 대상 데이터를 메인 인스턴스를 거쳐 전달하는 과정에서 힙 메모리 부족 현상 발생
  • 데이터의 개수가 현재 메인 인스턴스가 전부를 감당하기에 무리이며, 트래픽이 몰리는 상황에서 데이터의 수정이 빈번하기 때문에 Elastic Search가 검색 대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 마련 필요
16

✔️ 해결

  • 기술적 논의를 통해서 다양한 데이터 소스(JDBC, Kafka, Syslog 등)로부터 입력을 받아 필터를 거쳐 출력을 수행하도록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Log Stash 도입 결정
17
  • 또한, 검색 대상 데이터들이 Elastic Search에 온전히 색인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Kibana를 추가로 도입, 이를 통해 ELK 체계를 구축할 수 있었음

18


About

수강신청 서비스 CLASSMATE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