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626 lines (370 loc) · 36.4 KB

넥서스 5.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626 lines (370 loc) · 36.4 KB

역대 구글 안드로이드 버전별 레퍼런스 시리즈 일람

버전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기타

Alpha 1.0

(HTC G1)

-

-

Eclair 2.1

넥서스 원

Froyo 2.2

(옵티머스 원)

GB 2.3

넥서스 S

HC 3.0

-

(Xoom)

ICS 4.0

갤럭시 넥서스

-

넥서스 Q

JB

4.1

-

넥서스 7/1세대

-

4.2

넥서스 4
(갤럭시 S4)
(HTC ONE)

넥서스 10

4.3

-

넥서스 7/2세대

KitKat 4.4

넥서스 5
(소니 Z 울트라)
(모토 G)
(HTC ONE M8)

(LG G Pad 8.3)

Lollipop 5.0

넥서스 6

넥서스 9

넥서스 플레이어

※ 괄호는 비공식이나 준 레퍼런스 시리즈 취급을 받는 기기 및 구글 플레이 에디션 기기

Nexus5.png

[PNG image (435.32 KB)]

구글 코리아 넥서스 5 공식 사이트

Made for what matters

Contents

  1. 개요
  2. 사양
  3. 상세
  4. 문제점
  5. OS 업그레이드

5.1. 4.4 킷캣

5.2. 5.0/5.1 롤리팝

  1. 기타
  2. 발표 전 루머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4%A5%EC%84%9C%EC%8A%A4%205?act ion=edit&section=1)]

1. 개요 ¶

구글2013년 10월31일(한국 시각 2013년 11월 1일)에 공개한 안드로이드 레퍼런스 스마트폰. 제조사는 LG전자.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4%A5%EC%84%9C%EC%8A%A4%205?act ion=edit&section=2)]

2. 사양 ¶

제조사

LG전자

프로세서

퀄컴 스냅드래곤 800 MSM8974 SoC. Qualcomm Krait 400 MP4 2.3 GHz CPU, 퀄컴 Adreno 330 GPU

메모리

2 GB LPDDR3 SDRAM, 16 / 32 GB 내장 메모리

디스
플레이

4.95인치 FHD(1920 x 1080) RGB 서브픽셀 방식의 IPS TFT-LCD (445 ppi)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ClearPad Full-HD In-cell 터치스크린, 고릴라 글래스 3

네트워크

LTE Cat.4, TD-LTE[A], HSPA+ 42Mbps, HSDPA & HSUPA & UMTS, GSM & EDGE, CDMA & EV-DORev. A[A]
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0+LE, NFC

카메라

전면 130만 화소, 후면 OIS 기술 탑재 800만 화소 AFLED 플래시

배터리

내장형 Li-Polymer 2300 mAh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4.4 (KitKat) → 5.0 → 5.1 (Lollipop)

규격

69.2 x 137.8 x 8.6 mm, 130 g

색상

블랙, 화이트, 레드

기타

무선충전 Qi 규격 지원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4%A5%EC%84%9C%EC%8A%A4%205?act ion=edit&section=3)]

3. 상세 ¶

구글이 기획한 다섯 번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하드웨어는 LG전자가 담당한다.[2] 당초 2013년 10월 안에 공개될 것으로 예상되었고, 결국은 미국 현지 시각(태평양 표준시)으로 10월 31일 오전 11시에 전세계 동시 공개되었다. 구글 공식 블로그에서는 이를 가리켜 안드로이드 4.4 KitKat과 더불어 또 하나의 할로윈 선물이라고 표현했다. 그래봤자 한국에서는 11월 1일 오전 3시 출시, 10월을 넘겼다

한국 출시까지 상당한 진통을 겪었던 넥서스 4와 달리, 아예 처음부터 시원하게(!)1차 출시 국가에 들어갔다. 구글 공식 발표 이후 채 5분이 되지 않아 한국 구글 플레이에 제품이 등록되었다. 1차 출시 국가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프랑스,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일본 등 총 10개 국가이며 인도에도 곧 출시한다고 한다.

넥서스 4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하드웨어는 LG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G2의 마이너 버전 수준이다. 800만 화소로 후면 카메라 화소가 낮아지고 배터리 용량이 2300 mAh로 낮아진 것을 제외하면 거의 대동소이하다. 특히 전작과는 달리 이번에는 LTE를 정식으로 지원한다. 지원 레벨은 Cat.4로 20 MHz 대역에서 최대 150 M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캐리어 어그리게이션](/wik i/%EC%BA%90%EB%A6%AC%EC%96%B4%20%EC%96%B4%EA%B7%B8%EB%A6%AC%EA%B2%8C%EC%9D%B4% EC%85%98)과 LG U+가 간절히 바라고 있는데 아무도 추가해주지 않는 VoLTE는 지원하지 않는다. 영원히 고통받는 유플 단, KT의 경우 3G HD VOICE를 사용 가능하다.[3]``[4] 이제 제조사가 누구인지 다시 확인해보자 안습

배터리가 상당히 빨리 닳아 없어지는 편이다. 최근의 화면 켜짐 6시간을 자랑하는 폰들과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물리적인 배터리 용량도 2300mAh로 그다지 많은 편이 아니며[5] LCD의 밝기가 상당히 밝아(485nit) 최대 밝기로 놓고 사용하면 4시간이면 이미 퇴근 완료. 칼퇴근 단, 구글 순정 운영체제의 힘으로 대기 시간만큼은 오히려 타 안드로이드 기종보다 훨씬 오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제는 프로젝트 볼타가 있다 1시간 추가요

색상은 화이트, 블랙, 레드[6]``[7] (Bright Red, 밝은 빨강 - 2월 3일 추가됨)세종류이다. 출고가는 한국과 북미 기준으로 16 GB 모델이 459,000 원()/ 32 GB 모델이 519,000 원()/이다. 구글 플레이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전작이 출시되었을 당시의 출고가와 동일하다.

전 세계 단일 모델이 아니다.[8] 대신 북미 내수용(LG-D820)과 글로벌 모델(LG-D821)로 2종이다. 이 중 한국에 출시된 모델은 글로벌 모델이다. 글로벌 모델은 LTE Band 1/3/5/7/8/20을 지원하며, 북미 내수용은 CDMA 800 MHz/1900 MHz와 LTE Band 1/2/4/5/17/19/25/26/41[9]을 지원한다. 만약, 이 북미 내수용 모델을 한국에서 사용하려면 LTE Band 5를 지원하는 SK텔레콤을 통해 개통해야한다.[10] 그리고 이론적으로는 SK텔레콤CDMA로 개통하는 것도 가능하다.

넥서스 4처럼 구글플레이 판매로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WCDMA를 서비스하는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KT로도 출시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출고가는 구글 플레이 출고가가 거의 그대로 적용된 459,800 원. 이때문에, 270,000 원의 법정 보조금 받아도 189,800 원이 되는 최상의 가성비를 자랑할수 있게된다. 물론 그 정도의 보조금을 뿌릴 통신사들이 아니다 또한 LGG2와 팀킬 우려가 다분히 존재하기 때문에 16 GB 모델만 공급받는다고 한다. 역시 마케팅부서를 엎어야 합니다 사전 예약도 받으며 SK텔레콤KT 모두 2013년 11월 15일 오전 10시 전후로 시작했다. 예약 판매가는 379,800 원으로 책정되었다. 그리고 KT의 이동통신망을 임대해 서비스하는 CJ헬로비전에서도 같은 날 예약 판매를 시작했다. 정식 발매 이후, KT는 보조금을 150,000 원 정도 투입하여 약 300,000 원대에서 번호이동을 시작했다. SK텔레콤은 곧바로 예약 판매 때 투입한 80,000 원 보조금을 빼버렸다(...). 그리고 SK텔레콤의 경우 T월드 다이렉트 사이트에서 넥서스 5를 제외시켰다.

2014년 3월, CJ헬로비전에서 120,000원 수준에 풀었다. 가격의 최하점은 어딘지 아직도 오리무중. 구글운수 출발 2014년 하반기쯤 되자 번호이동 기준 30,000원도 쉽게 볼 수 있었다. 넥서스 6가 출시됐음에도 불구하고 출고가가 변하지 않았지만, 시간이 갈 수록 폭락을 거듭하고 있다.

참고로, 구글 넥서스 3세대 스마트폰갤럭시넥서스까지는 구글에서 이동통신사를 통해서만 제품을 출시했기 때문에 이동통신사에 대응[11]을 해줬지만, 4세대 스마트폰넥서스4부터는 구글플레이 모델을 단순히 이동통신사로도 납품한 것이기 때문에 글로벌 모델이 그대로 출시될 예정이라고 한다.

LG전자에서 자사브랜드를 강조하기 위해 [정식 발매명을 넥서스 G로 할 것을 요구](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3 &aid=0002615531)했었다고 한다.엄청나게 안어울린다 이는 구글넥서스 2세대 스마트폰과 3세대 스마트폰을 만든 삼성전자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12] 하지만, 구글에서는 당시의 삼성전자보다 현재의 LG전자가 가진 영향력이 여전히 낮다고 하면서 구글이 원했던 구글넥서스 5세대 스마트폰이라는 의미와 5인치 넥서스 스마트폰이라는 의미를 합쳐 넥서스 5를 정식 발매명으로 정했다고 한다.

출시 전부터 많은 루머속에서 베일에 감춰진 제품이었기에 환호와 실망이 교차하는 기기지만, 구글넥서스 답게 안드로이드 4.4로 업드레이드 된 타 기종보다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적화에 힘입어 Full HD(1920x1080)급 해상도를 탑재하며 28나노 공정 세대의 AP[13] 가 들어간 안드로이드 기기 중 가장 빠른 반응속도와 터치감을 보여주고 있다.[14] 물론 타 넥서스 기종과 구글 플레이 에디션 같은 동류의 레퍼런스 기종은 제외다. 사람마다 체감하는 정도가 다르지만 아이폰5s보다 빠릿하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고.
당연한 소리지만, 본 기종의 구글 안드로이드 순정 펌웨어와 달리 타 제조사에서 커스텀으로 이것저것 수정하고 덕지덕지 갖다 붙인 환경이 빠른 속도를 보여줄 리가 만무하다. 가장 극단적인 예가 중국 샤오미의 MIUI.

2014년 11월 기준 생산이 중단되었다. 그리고 2014년 12월 중순 한국 구글 플레이에 남아있던 물량도 떨어저 단종되었다. 통신사로 가자! 해외직구나 구매대행도 싸다!

그러나 2015년 2월부터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블랙모델 한정으로 재생산 및 판매에 들어갔다. 넥서스 6 참패의 충격이 컸던 듯

그리고 추가생산분도 이제 생산을 하지 않아 완전히 단종되었고 이제 더 이상
구글스토어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1 보도자료](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 id=20150316070236&type=xml)[#2 플레이스토어](https://store.google.com/product/nexus_ 5_black_16gb?playredirect=true&hl=ko)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4%A5%EC%84%9C%EC%8A%A4%205?act ion=edit&section=4)]

4. 문제점 ¶

LG전자가 하드웨어를 담당하지만 제조공정과 마감 문제가 초창기부터 제기되었다. 2013년 11월 출시 직후 1차 물량이 모두 품절된지 얼마 지나지않아 디스플레이와 제품 마감 등의 이유로 교환 문의가 쇄도할 정도였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화면이 누렇게 보이는 이른 바 '오줌액정'현상과 백라이트 빛샘 현상, 불량 화소 등이 제기되었고 그 외에도 리시버 불량, 전원 버튼 유격 등 여러 문제점이 다량 발견되었다.

디스플레이에서 가로줄 문제가 언급되고 있다. 이는 LG디스플레이 생산 물량의 특징이라고 한다.[15] 돌려말하면 거의 모든 제품의 공통적 결함이라는 소리다

이런 문제들을 수정해서 LG전자에서 2013년 12월 초 개선판 제품을 제작해 구글 측으로 공급하고 있지만, 기존 물량의 재고 문제로 실질적으로 구매자에게 개선판 제품이 판매되는 것은 2014년 1월 정도였다. 게다가 랜덤 발송이다.[16]

![http://www.3g.co.uk/tinyimages/Google/Google- Nexus-5-Changes1.jpg](http://www.3g.co.uk/tinyimages/Google/Google- Nexus-5-Changes1.jpg)

[[JPG external image]](http://www.3g.co.uk/tinyimages/Google/Google- Nexus-5-Changes1.jpg)

위 - 개선된 311k ,아래 - 기존 310k
작은 디자인 개선이 이뤄졌는데, 마이크 및 스피커 구멍 크기가 작은 문제로 약간 커졌고, 불륨과 전원버튼, SIM카드 슬롯의 유격 현상을 해결했다고 한다.

또, 후면 카메라에 OIS 기능을 탑재했지만 [처음에는 성능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http://bbs2.ruliweb.daum.net/ga ia/do/ruliweb/default/mobile/55/read?articleId=1236644&objCate1=&bbsId=G003&se archKey=subjectNcontent&itemGroupId=2&itemId=&sortKey=depth&searchValue=%EB%84 %A5%EC%84%9C%EC%8A%A4&platformId=&pageIndex=1). 제조사 종특 초첨을 잡는 속도가 느리며 움직이는 피사체를 정확하게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구글에서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문제[17]로 밝히고 개선 업데이트를 약속했다. 결국 이 문제는 2013년 12월 5일에 실시된 4.4.1 마이너 업데이트를 통해 대부분 해결되었다. 패치 이후 백그라운드에서 카메라가 켜지는 것으로 배터리 드레인 현상이 있으나 4.4.3 패치로 고쳐질 예정이다.

2013년 12월 [아난드텍](http://www.anandtech.com/show/7567/smartphone-audio-quality- testing)에서 실시한 스마트폰 음질 테스트에서 혹평을 받았다. 좌우 출력이 안정하지 못하고 노이즈도 비교 대상보다 수준에 못 미친다. 하지만 최소볼륨(1)과 최대볼륨 3단계(1315)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212)에서는 정상적인 음원 출력이 이루어졌다. 아난드텍은 같은 구조인 LG G2도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G2는 최대 볼륨을 감쇄하는 방식으로 하드웨어 설계 미스를 우회했다면서, 넥서스 5도 하드웨어적인 문제를 수정하거나 G2처럼 OS 레벨에서 회피법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루팅을 했다면 xda[이곳](http://forum.xda- developers.com/showthread.php?t=2293589)에서 안드로이드 오디오 패치로 해결가능하다. 역시 외계인집단

2014년 7월 이후부터 웰드라인 이슈가 불거지고 있다. 주로 이어폰과 유심 트레이 부분에 금이 가는 형태로 LG전자에서는 정상(?!)이라는 드립을 쳤다고. 자세한 건 다음 블로그를 참조. 이후 이슈가 조금씩 되면서 무상 수리를 받았다는 사용자도 나타나지만 반대로 소비자 과실 드립을 들은 사용자도 있었다. 기사 재량으로 무상 수리가 가능하지만 사람들이 수리를 많이 받으러 오면서 많은 소비자가 방문한 수리센터에서는 유상 수리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로 화이트 기종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빡친 한 유저가 네이버 카페를 통해 해당 문제가 발생한 기계 사진을 수집해 블로그에 이를 정리, 제보했다.참조 1 2 3

결국 같은 해 9월 27일, 해당 현상으로 인해 공중파 뉴스에 입성했다.[뉴스 전문](http://news.naver.com/main/rea d.nhn?mode=LSD&mid=shm&sid1=105&oid=214&aid=0000419983) 갤럭시 노트2와 함께 서비스센터의 제각각 수리비용으로 인한 내용으로 보도되었다. 제보자는 위 링크의 블로그 주인장 참조

참고로 LG G3 크랙 문제와 진행 과정이 거의 똑같다. 갈아 엎어야 했던 것은 마케팅 부서만이 아니라니까 내부의 적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4%A5%EC%84%9C%EC%8A%A4%205?act ion=edit&section=5)]

5. OS 업그레이드 ¶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4%A5%EC%84%9C%EC%8A%A4%205?act ion=edit&section=6)]

5.1. 4.4 킷캣 ¶

사실상 OS 업그레이드라기 보다는 버그 픽스로 보는 것이 맞다.

2013년 12월 5일에 실시된 4.4.1 업그레이드에서는 넥서스 5의 카메라 기능이 강화되었다.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할 때 잔상이 남는 현상인 모션 블러 현상을 개선하고 오토 포커스도 기존보다 더 빨라졌으며 새로운 HDR+를 제공한다고 한다. 색감도 조금은 달라졌다. 일단 카메라 성능은 확실히 개선되었다는 평가. 소리 및 진동이 강화되었으며, 구글 홈 런쳐는 버전이 올라가며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 대신 이전 버전 런쳐의 앱 서랍의 기본색이 킷캣의 회색빛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ART(Android RunTime) 버그와 기타 사소한 기능이 향상되고 자잘한 버그들이 수정되었다.

2013년 12월 9일 4.4.1의 버그를 수정한 4.4.2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2014년 4월 15일 CDMA 모델의 스프린트의 LTE 26, 41 밴드 활성화를 위한 4.4.3 업데이트가 실시될 예정이다. 그 외 잡다한 버그도 수정된다.

2014년 6월 3일 4.4.3 업데이트 실시, 제조순서별로 OTA가 도착했다. 마이너업데이트 치고는 상당한 버그픽스가 이루어졌다. 전화와 전화부의 UI가 개선되었다.

2014년 6월 20일 4.4.4 업데이트 실시. openssl과 관련된 보안 업데이트이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4%A5%EC%84%9C%EC%8A%A4%205?act ion=edit&section=7)]

5.2. 5.0/5.1 롤리팝 ¶

한국 시각으로 2014년 10월 18일 새벽, 넥서스 5용 안드로이드 5.0 프리뷰가 넥서스 72013용 프리뷰와 함께 공개되었다. 프리뷰 버전이기 때문에 구글 기본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지 않으며, 음악 앱은 진저브레드, AOSP 브라우저와 메시지 앱은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버전이 들어가 있다(...). 또, 케이스 바이 케이스일 수도 있지만, 킷캣에 비해 배터리 효율이 상당히 안 좋다(...). 이 요소들은 추후 정식 버전에서 수정/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2014년 11월 13일 5.0 롤리팝 OTA가 실시되었다. 프리뷰가 배포되었던 덕분인지 아주 일부앱만 구동이 되지않는정도. 이 업데이트에 불만을 가지는사람은 거의 없는듯 하다.

5.0 롤리팝 정식 업그레이드 이후 프리뷰 버전부터 가지고 있던 램 누수 문제가 더 불거졌다. 3-4일 지나면 시스템이 RAM을 1GB 이상 먹어 사용자 앱을 실행할 RAM을 다 먹어버린다(...). 이 문제는 5.0.1에서도 고쳐지지 않았고, 5.0.2에서도 고쳐지지 않았다.

2015년 3월 10일 5.1 롤리팝 팩토리 이미지가 공개되었다. 그러나 확인결과 5.1에서도 램누수가 확인되었다. 구글은 램누수를 5.1.1 때 고치겠다고 유저들에게 약속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4%A5%EC%84%9C%EC%8A%A4%205?act ion=edit&section=8)]

6. 기타 ¶

Google Nexus 5: I Do

\----

  • [A] 북미 내수용만 추가지원
  • [2] 아래 발표 전 루머 문단에도 언급되었다시피 초기에는 ZTE가 제작한다는 루머가 심도있게 돌았다. 이 경우 ****라는 출고가를 가질 것이라는 루머까지 나돌았다.
  • [3] KT 발매 모델의 경우 자동으로 적용되며 구글에서 구입한 경우에는 모델변경이나 114 통화로 변경 가능.
  • [4] joyn이나 HD Voice 등도 포함되는 얘기인데 이게 넥서스에만 국한된 얘기가 아니다. 넥서스 펌웨어는 AOSP를 거의 그대로 따온 것인데 이런 통신사쪽 최첨단 기술들이 AOSP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구글 이외 기기의 커스텀 펌웨어 역시 상당수가 AOSP 기반이기 때문에 넥서스에서 지원을 안하는 기술은 여타 기기의 AOSP 커스텀 펌웨어에서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 [5] 국내판 G2는 외장형 2610mAh, 해외판 G2는 내장형이지만 3000mAh다.
  • [6] 레드는 색상의 개인차가 존재하는데 흔히 생각하는 정열적인 붉은색이 아닌 다홍색 또는 주홍색과 비슷하다한다
  • [7] 구글플레이 전용색
  • [8] 사실, LTE가 상용화되면서 전 세계 단일 모델을 찾는 것 자체가 어려워졌다. 단일 모델이라 알려진 아이폰도 실제로는 아이폰 5은 3개 모델, 아이폰 5s아이폰 5c는 6개 모델로 출시되었다. 결국 고생 끝에 최초의 전 세계 LTE 단일 모델 타이틀은 아이패드 에어가 가져가게 되었다.
  • [9] Band 41은 TDD 주파수이다. 즉, TD-LTE를 지원한다는 이야기다.
  • [10] LG U+도 있지만, CDMA 1800 MHz를 지원하지 않고, VoLTE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음성 통화를 사용할 수 없다.
  • [11] 때문에 넥서스 S갤럭시 넥서스의 OS 업그레이드 일정이 한국 이동통신사의 영향을 받아서 지연되거나 중단되기도 했다.(갤럭시 넥서스 한국 공급용은 4.1.1 젤리빈에서 중지되었다.)
  • [12] 구글 넥서스 2세대 스마트폰의 경우 삼성전자에서 우리가 2를 다는 것은 모욕적이라고 하면서 갤럭시 S 혹은 **S**amsung 혹은 Second에서 S를 따와서 넥서스 S라 정해졌고, 구글 넥서스 3세대 스마트폰의 경우 구글에서 먼저 갤럭시 브랜드를 사용해달라고 요구해서 갤럭시 넥서스로 정해졌다고 한다. 그리고 넥서스 프라임을 기다리던 사용자들은 분노 어차피 갤럭시 취급도 제대로 못받는다
  • [13] 대표적으로 스냅드래곤 800,801,805 시리즈와 엑시노스 5410,5420,5422, 그리고 테그라 4,K1 등이 해당한다.
  • [14] 그런데 벤치마크 애플리케이션으로 측정하면 점수가 낮다. 뻥투투와 뻥드런트 물론 넥서스5가 점수가 비정상적으로 안나오는 Quadrant Standard는 신뢰도가 바닥을 기고최근 업뎃 2012년 Antutu도 Geekbench나 GFXbench 등에 비하면 정확도가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지만.
  • [15] 하지만 같은 문제가 지적되었던 옵티머스 LTE II은 재팬디스플레이 패널이다(...).
  • [16] 제조번호 312k부터 대부분의 불량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한다.
  • [17] 구글 자체 광고에서 High Dynamic Range Rendering(HDR)기술을 강조하고 있는데 완벽하게 구현되지 않아서 그럴 수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B%84%A5%EC%84%9C%EC%8A%A4%205?act ion=edit&section=9)]

7. 발표 전 루머 ¶

  • 주의 : 아래의 내용은 모두 발매 전 루머로 되어있다.

2013년 1월부터 LG전자가 차기 레퍼런스 스마트폰을 개발할 것이라는 루머가 돌았다. LG전자 뿐만이 아니라 ZTE, [모토로라](http://www.phonearena.com/news/Is-there-a-Motorola-Nexus-5-coming-next- quarter_id46223) 등이 거론되었다.

2013년 3월, [넥서스 5로 추정되는 기기의 사진과 코드명, 주요 스펙](http://www.mt.co.kr/view/mtview.php ?type=1&no=2013031715010722115&outlink=1)이 유출되었다.그리고 당시 넥서스4 국내 출시를 기다리고 있던 사람들은 멘붕

2013년 5월, LG전자 유럽 모바일 마케팅 담당 김 원 상무가 [차기 레퍼런스 스마트폰을 개발하지 않으며 구글 에디션 제품역시 만들지 않을 것](http://www.phonearena.com/news/LG-hints- it-is-not-working-on-a-Nexus-5-done-with-stock-Androids_id43430)이라는 내용의 인터뷰가 나왔다. 이로인해 LG전자가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으나, [기회가 된다면 얼마든지 참여할 것](http://www.androidcentral.com/lg-vp-comments- nexus-5-misinterpreted?utm_source=ac&utm_medium=twitter)이라는 LG전자의 해명이 나와서 원점으로 돌아갔다.

2013년 8월, [넥서스 5로 추정되는 LG전자의 기기](http://www.techtastic.nl/2013/08/is-dit-de- lg-nexus-5/)가 유출되었다. 하지만 이쪽은 [옵티머스 L9 II](http://bbs2.ruliweb.daum.net/gaia/do /ruliweb/default/news/520/read?articleId=1173681&objCate1=&bbsId=G003&searchKe y=subject&itemGroupId=31&itemId=&sortKey=depth&searchValue=%EB%84%A5%EC%84%9C% EC%8A%A45&platformId=&pageIndex=3)로 밝혀졌다.

2013년 9월, 차기 안드로이드 버전의 코드 네임이 기존에 알려졌던 '키 라임 파이'가 아닌 __킷캣__으로 결정되었다는 구글 측의 발표가 있었다. 이와 동시에 구글에서 한 영상을 업로드 하였는데, 영상에 나온 구글 직원의 손에 **NEXUS와 LG 로고가 새겨져 있고 현존 모델과 디자인이 다른 스마트폰**(...)이 들려 있었다. 이 유출 직후 구글이 바로 영상을 내려주시기까지 하면서 차기 레퍼런스 스마트폰이 개발되고 있다는 사실은 기정사실화 되었다.

2013년 10월 5일, 수리 기사들을 위한 [메뉴얼](http://www.androidpolice.com/2013/10/05 /purported-service-manual-gives-a-look-at-the-next-nexus-phone-reveals-32gb- storage-8mp-ois-camera-photos-and-more/)이 유출되었다. 이로인해 여러 사양이 유출되었다.

2013년 10월 7일, [LG전자가 유출된 정보를 삭제해달라는 요청](http://gigaom.com/2013/10/07/nexus-5 -specs-images-leak/)을 해왔다고 한다. 이로인해 LG전자가 차기 레퍼런스 스마트폰의 제조사인 것이 기정사실화 되었다.

2013년 10월 17일, 미국 구글플레이에 [넥서스 5 공식 사이트](h 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news/520/read?articleId=12 22078&objCate1=&bbsId=G003&searchKey=subject&itemGroupId=31&itemId=&sortKey=de pth&searchValue=%EB%84%A5%EC%84%9C%EC%8A%A45&platformId=&pageIndex=1)가 개설되었다가 삭제되는 소동이 있었다. 이로인해 공식 펫 네임이 '넥서스 5'인 것과 라는 가격, 그리고 공식 렌더링 사진이 유출되었다.

2013년 10월 18일, 보도자료용 렌더링 사진이 공개되었다. 이로인해 4.0 ICS부터 유지되어던 파란색 상단바와 기본 런쳐의 아이콘이 변경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2013년 10월 25일, [넥서스 5가 3가지 버전으로 준비 중](http://nexus5price.com/32gb-nexus-5 -price-usd399-the-3000mah-battery-variant-confirmed/)이라는 루머가 나왔다. 루머에 의하면 16 GB-2330 mAh 모델, 16 GB-3000 mAh 모델, 32 GB-3000 mAh 모델이 준비 중이며 가격은 각각 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2013년 10월 27일, 구글이 [넥서스 5와 4.4 킷캣의 공개를 약 한 달 정도 연기](http://timesofindia.indiatimes.com/tech/tech-news/hardware/Googles- Nexus-5-Android-4-4-KitKat-launch-delayed/articleshow/24737223.cms)한 것으로 보인다는 추측이 나왔다.

2013년 10월 29일, 행사 초대장이 발송되었다고 한다. 다만, 초대장 스크린샷이 조잡하고 공개를 뜬금없이 **이스라엘**에서 한다고 밝혀져서 낚시로 추정하였다(게다가 구글은 최소한 넥서스 5까지는 미국에서 발표하였다). 또한 캐나다영국 등 일부 국가의 이동통신사의 전산망에 넥서스 5가 게시된 것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동시에 한국시각으로 2013년 10월 30일 오전 1시 30분에 구글이 구글 플러스 관련 행사를 갖는다고 밝혔다. 이 행사에서 [넥서스 5와 4.4 킷캣의 공개가 이루어질 것](http://9to5google.com/2013/10/28/google- announces-live-stream-for-google-event-tomorrow-morning/)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공개되지 않았다. 그리고 SK텔레콤과 KT가 출시를 위해 협상 중이라는 소식도 전해졌다.

2013년 10월 31일, 이미 세계 각지의 물류 창고에서 대량의 제품 박스가 보관되고 있다는 사실이 속속 전해지는 와중에 [제품 분해기](http://www.phonearena.com/news/Nexus-5-torn-down-screen-camera-and-chips- pictured_id48912)가 나왔다.(...) 배터리 용량이 2300 mAh로 확인사살되었다.

2013년 11월 1일, 오전 3시(미국 서부 현지시각 2013년 10월 31일 오전 11시)에 [제품이 공개](http://www.androidpolice.com/2013/10/31/the-nexus-5-and-kitkat-launch- today-october-31st/)된다는 루머가 나왔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