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00.i.aliimg.com/photo/v0/112716966/Edible_Palm_oil.jpg](http://i00.i .aliimg.com/photo/v0/112716966/Edible_Palm_oil.jpg)
요걸 짜서 만든다.
팜유, Palm Oil. 자매품으로 팜핵유(Palm Kernel Oil)이 있다. 반댓말은 삼유 메꿨음유가
아니고?
콩기름,
해바라기유를 능가하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식용유.
동남아시아의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각각 전세계 생산량의 약
40% 정도씩, 합해 87% 정도를 생산한다.[1]
특히 말레이시아 같은 경우
쿠알라룸푸르 같은 대도시를
조금만 벗어나면 고속도로 양옆으로 지평선 끝까지 팜나무가 바둑판처럼 빽빽하게 심겨진 모습이 몇 시간이고 계속되는 풍경이 흔하다. 계속 열매로
기름을 짜다가 심은지 25년이 지나면 같이 심었던 나무들이 일제히 말라죽는데 그러면 숲을 통째로 밀고 다시 새로 심고 반복.
야자과의 기름야자나무 열매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야자유라고도 부른다. 일설에 종려나무 열매라고도 하지만 종려나무는 야자나무의 한 종류일 뿐이고, 주로 말레이시아 같은 동남아 일대에서 재배하는 기름야자를 사용. 기름짜는데 특화된 품종이라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코코넛하고는 좀 다르다. 둘다 야자종류라 포화지방이 많다는 건 같지만, 금방 짜낸 팜유는 열매색을 보면 알겠지만 특유의 붉그스름한 색을 띈다. 정제되기 전 팜유는 비타민 E를 함유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팜유는 대부분 정제된 물건이라 흰색에 비타민도 없다.
팜유가 뭔지 모르겠다면 라면, 과자와
인스턴트 커피의
프림국밥엔 역시 프리마!을 생각하자. 식용기름중에서 가격도 싼 편에
속하고, 포화지방이 많아 보존성이 좋다.[2]
고온으로 가열해도 산패로 변질되기 어렵기 때문에 튀김류 식품을 만들 때 유리하다.[3]
라면은 대부분 팜유로 튀기고 커피 프림은 팜유 덩어리. 마가린이나
쇼트닝의 재료로 풍미는 없어 인공적으로 첨가해줘야하지만(원 재료의 풍미를
해치지 않으려면 오히려 장점이 되기도 한다.) 크림성 등 가공성이 좋기 때문에 제과제빵용으로도 많이 쓰인다.
분명히 식물성인데 반 이상은 포화지방인데다 싸고 가공성이 워낙 좋다보니 뭐 하나 이것저것 안 들어가는데 없는
마법의 기름.[4]
식물성 지방 함유라는 문구에 속지 말지어다. 특히 마가린 같은것. 식물성 마가린이라고 써있어서
함량을 보면 팜유 80%라고 써있는 기적을 보게 될 것이다(…). 포화지방인 만큼 보통의 쇠고기 기름이나 버터와 마찬가지로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팜유에 튀겨먹는거나 소기름에 튀겨먹는거나 그게 그거라고 생각해 본다면
갑자기 끔찍해 질 것이다. 차라리 우지나 라드는 고기풍미라도 낼 수
있지…….
국내에서는 대부분의 초콜릿이 다량의 팜유를 섞어서 만들지만, 미국에서는 약간의 팜유라도 섞으면 구속, 유럽에서는 5%이상 섞으면 구속.
대신 비누 등에 넣는 용도로는 고급 기름이다. 수제비누 만드는 용도로 쓸 경우에는 정제하지 않은 붉은색 나는 팜유를 사용하기도 한다.
전세계 팜유의 90% 이상이 식용으로 사용되며, 기타 5% 정도는 세제로, 나머지는 바이오디젤용으로 사용된다. 만약 글쓴이가 썩은기자라면 "세제만들때 쓰는 기름으로 라면 튀겨"라고 기사를쓰겠지.
이영돈 PD의 먹거리 X파일에서 싫어한다. 사실 식용유로서는 포화지방 함량을 제외하면 평범한 편이다. 다른 식용유도 같은식으로 가공하거나 정제하면 마찬가지로 평범하게 안좋은 편이다. 하지만 가장 싸구려라는 이유로 고열량 정크푸드라던지 식용유를 사용하는 대체재료의 원료로는 대부분 팜유가 들어가기 때문에 안 좋은 인식을 벗을 수가 없다. 아마 이것보다 더 싸면서 팜유대신 사용할 수 있는 식용유가 나온다면 당장 그것으로 대체되겠지만 그렇지 않은 이상엔...
설상가상으로 이 팜유를 얻기 위해 엄청난 환경파괴가 자행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그린피스 등의 환경단체에서는 팜유 사용과 판매를 자제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
[1]
이중 말레이시아의 경우 팜오일 산업 혼자서 국가경제(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6%. 농업 전체로 따지면 10% 정도 된다(12년 기준. KOTRA 자료)[2]
포화지방은 잘 산패되지 않는다. 반면 불포화지방산은 이중결합의 불안정성으로 산패되기 쉽다.[3]
보통의 식물성 기름은 튀김을 위해 가열하면 불포화지방산이 산패, 변질된다.[4]
반대로 대부분의 식용 생선기름이나 돼지기름은 동물성 기름인데도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한 양질의 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