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329 lines (195 loc) · 14.5 KB

진영역.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329 lines (195 loc) · 14.5 KB

경전선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05년 5월 13일
경전선 KTX 개업일 : 2010년 12월 15일
등급 : 보통역(3급)

삼랑진 방면
한림정 4.2km

진 영

광주송정 방면
진 례 3.9km

경전선 KTX

KTX 영업 개시일: 2010년 12월 15일

인천국제공항 방면
밀 양 25.0km

진 영

진 주 방면
창원중앙 14.1km

경전선 ITX-새마을

ITX-새마을 영업 개시일: 2014년 6월 1일

서 울 방면
밀 양 25.0km

진 영

진 주 방면
창원중앙 14.1km

경전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영업 개시일: 1984년 1월 1일

부 전 방면
한림정 4.3km

진 영

목 포 방면
진 례 3.9km

서 울 방면
한림정 4.3km

진 주 방면
진 례 3.9km

동해선 무궁화호

포 항 방면
한림정 4.3km

진 영

순 천 방면
진 례 3.9km

進永驛 / Jinyeong Station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a/a4/Korail0jinyeong2.jpg /800px-Korail0jinyeong2.jpg&width=590](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k o/thumb/a/a4/Korail0jinyeong2.jpg/800px-Korail0jinyeong2.jpg)

[[JPG external imag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a/a4/Kor ail0jinyeong2.jpg/800px-Korail0jinyeong2.jpg)

경전선 복선전철화 공사로 이전한 신역사.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4/Korail_Gyeongjeon_L ine_Jinyeong_Station.jpg/800px-Korail_Gyeongjeon_Line_Jinyeong_Station.jpg&wid th=590](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4/Korail_Gyeong jeon_Line_Jinyeong_Station.jpg/800px- Korail_Gyeongjeon_Line_Jinyeong_Station.jpg)

[[JPG external imag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 4/Korail_Gyeongjeon_Line_Jinyeong_Station.jpg/800px- Korail_Gyeongjeon_Line_Jinyeong_Station.jpg)

구 역사.

Contents

  1. 개요
  2. 위치
  3. 상세
  4. 노무현역 논란
  5. 구 역사에 대하여
  6. 구 역사의 사진
  7. 연계교통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C%98%81%EC%97%AD?action= edit&section=1)]

1. 개요 ¶

경전선철도역으로서 김해시 제일의 철도역이다. 1905년 마산선 개통 당시부터 영업을 시작했던 유서깊은 역으로서[1], 모든 일반열차가 정차[2]하며, 경전선이 전철화되면서 KTX는 진영역에 1일 3~4회 정차한다.[3] 이 기차로 진영에서 밀양을 가는데 15분이면 찍으며, 동대구역까지 KTX 기준으로 1시간 안에 간다. 참고로 예전 길이 안좋았던 시절에는 버스로 밀양을 갈려면 2시간 30분을 찍었으며 대구는 크고 아름다운 시간을 찍었다. 그 이유는 고속도로도 없었으며, 그저 산길을 비스듬히 타서 밀양으로 갔었기 때문. 지금은 밀양까지는 최대 1시간 정도 걸린다. 게다가 KTX를 이용하면 서울역까지 2시간 40분이면 갈 수 있다.

일제 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가 1930년대의 기록을 보면 남북을 통틀어 승하차 여객의 수가 많은 50개 역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다만 화물은 경전선 내에서도 순위가 좀 밀렸었다. 중리역보다 뒤처진 적도 있었을 정도.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C%98%81%EC%97%AD?action= edit&section=2)]

2. 위치 ¶

위치는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김해대로 809(설창리 131-1). 원래는 진영로 145-1(진영리 275-35)에 있었지만 2010년 경전선 복선 전철화 공사가 완공되면서 설창리로 옮겨 오게 되었다. 덕분에 진영읍 내에서는 멀어졌으나, 김해 시내에서는 상대적으로 가까워졌다(사실 그게 그거지만……). 진영읍 내와 김해 시내를 잇는 14번국도에 인접하여 있다. 기존 진영역과의 연계는 김해 시내버스 14번을 타면 이동할 수 있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C%98%81%EC%97%AD?action= edit&section=3)]

3. 상세 ¶

노무현대통령의 고향(정확히는 본산리 봉하마을)이 이 역 근처에 있다. 버스로 30분 거리.

김해 시민들의 열렬한 민원(…)성원에 힘입어 2010년 12월 15일부터 KTX가 들어가게 되었다.[4] 그리고 진례역흑역사가 되었지 KTX는 진영역에 화~일요일 1일 3회, 월요일 1일 4회 정차한다. 예전에는 일 1회에 한해 밀양역을 무정차 통과해서 동대구역으로 직통하는 KTX 시간대도 있었다.[5] 그리고, 남도해양관광열차도 정차한다.

경전선 KTX의 이용객이 많아지면서 일부 편성에 산천이 아닌 20량 원조 KTX가 일부 정차하면서 승강장을 나무판으로 임시 연장을 하고 있는 상태였다. 경전선의 수요 폭증을 예상하지 못해서 벌어진 일이다. [참고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 02263501).
물론 지금은 콘크리트에 벽돌로 이루어진 제대로된 승강장이 건설되었다.

진영역 덕분에 관광객이나 물품 배달이 수월해졌으며, 진영읍에서 없어서는 안 될 곳으로 자리잡았다. 진짜로 진영읍민에게 진영역이 없으면 파업을 해야할 정도. 참고로 여기 공익근무요원이 가장 편하다고 한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C%98%81%EC%97%AD?action= edit&section=4)]

4. 노무현역 논란 ¶

봉하마을과 가깝다 보니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정쟁의 떡밥이 되었다. 2008년 노무현 대통령 퇴임 직후 한나라당 황영철 의원에 의해 2003년 당시 '부산 신항만 배후 철도'가 본래는 진영역을 지나지 않도록 설계되었지만 이후 대통령의 친인척 등이 청원을 올려서 진영역을 통과하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물론 진영역의 중요성과 초기 계획된 직선 노선이 화포천, 습지를 통과하는 환경적 문제가 커서 변경 된 것이란 걸 생각하면 그냥 개드립. # 실제로 지도를 보면 한림정역 ~ 진영역 구간의 배후 습지가 매우 크다.

한편 친노 세력 중 한 명인 김해을 지역구인 최철국 국회의원이 2010년에 이 역 병기역명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 이름을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고기사 참고로 병기역명이란 신창역에 있는 순천향대 같은 것으로서, 항상 붙여야한다. 창원중앙역에 붙은 창원대와는 급 자체가 다르다.

그리고 그는 그 해 연말 국회의원 직에서 짤렸다 사실 고인드립 때문에 짤린 건 아니고, 뇌물을 먹었다고 짤렸다. 참고기사.

여담으로 진영역 이전 직전 모 단체가 구 진영역전의 계단 난간에 노무현역으로 부르고 싶다고 요구하기도 하였다.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C%98%81%EC%97%AD?action= edit&section=5)]

5. 구 역사에 대하여 ¶

구 진영역사는 상술했듯이 진영읍 진영리 275-34번지에 있는데, 1943년 9월 10일 지어져 2010년 12월 14일까지 67년동안 진영역으로 쓰였다. 승강장 한켠을 살펴보면 1990년 6월경 승강장 공사를 한 듯한 흔적이 보인다. 또한 승강장 번호는 2번과 3번으로 나뉘어져있었다.

건널목 차단기나 신호등은 모두 철거되었지만 역사와 선로들은 아직 그대로 남아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2011년 2월 현재 구역사 구내를 제외한 모든 궤도가 철거되었다. 2011년 5월 28일 현재 구내 선로도 전부 철거되었다.

2010년 2월 코레일 부산경남본부에서 자체적으로 한국철도 100주년기념 스탬프를 제작해 비치해 놓았다. 구 역사와 벼 이삭이 새겨져있다. 진영읍의 특산물은 단감 아니던가?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C%98%81%EC%97%AD?action= edit&section=6)]

6. 구 역사의 사진 ¶

![jinyeong01.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_ec_a7_84_ec_98 _81_ec_97_ad/jinyeong01.jpg)

[JPG image (94.11 KB)]

구 역사의 오른편 계단에서 촬영된 사진

![jinyeong02.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_ec_a7_84_ec_98 _81_ec_97_ad/jinyeong02.jpg)

[JPG image (156.83 KB)]

구CI의 폴사인

![jinyeong03.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_ec_a7_84_ec_98 _81_ec_97_ad/jinyeong03.jpg)

[JPG image (108.86 KB)]

승강장 방면 출입문

![jinyeong04.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pds/_ec_a7_84_ec_98 _81_ec_97_ad/jinyeong04.jpg)

[JPG image (92.9 KB)]

진영역 승강장에 진입중인 7402호 기관차 견인 무궁화호

[[edit](http://rigvedawiki.net/r1/wiki.php/%EC%A7%84%EC%98%81%EC%97%AD?action= edit&section=7)]

7. 연계교통 ¶

역전의 정류장에서 버스,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10번[6]을 이용하면 봉하마을에 갈 수 있고, 14번[7]을 이용하면 김해, 진영 방면으로 갈 수 있다. 또한 진례공영1번[8]을 이용하면 진례방면으로 갈 수 있다.

이외에, 김해 외동터미널과 창원 마산합성동터미널을 연결하는 SAM DO GO SOK 창원고속 시외일반버스가 다니지만 진영역으로 들어오지 않는다. 김해쪽에서는 회사명을 따 주로 삼도라고 칭하는데, 시내버스정류장마다 다 선다. 그래서 좌석버스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

  • [1] 한림정역 1918년(당시에는 진영역이 관리하는 간이역이었다), 진례역, 장유역 2010년. 차이가 엄청나다.
  • [2] 새마을호는 1992년 11월 1일부터 정차
  • [3] 월요일 서울역 5:15 출발/진영역 5:40 출발 편성을 포함하여 월요일에만 1일 4회 정차하고 나머지 요일에는 1일 3회 정차한다.
  • [4] 사실 코레일은 진영역을 폐역시키고 진례역에 그 기능 전부와 KTX를 몰아주려고 했다. 그래서 진례역이 이용객 수에 비해 규모가 커진 것.
  • [5] 그 대신 동대구역에서의 중련 작업 때문에 밀양 통과로 벌어들인 시간을 동대구역에서 다 갖다 바쳤다. 예전 경전선 KTX는 다 그랬다.(현재는 복합열차가 폐지되었다.) 지금은 하행만 동대구-진영 직통이 남아있으며 상행은 더 이상 없다. 상행은 모든 편성이 밀양역에 정차한다.
  • [6] 진영역-진영터미널-봉하마을
  • [7] 터미널-구산동-진영역-금산초 (보조 행선판 확인 필요)
  • [8] 진영터미널-진영역-진례역-진례파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