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326 lines (173 loc) · 16.4 KB

MiG-21.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326 lines (173 loc) · 16.4 KB

러시아(구소련)의 제트 전투기

도입/개발

미그기

수호이

야코블레프

라보슈킨

알렉세예브

투폴레프

1940년대

MiG-9

MiG-15 파곳

Su-9(1946)

Su-15(1949)

Su-17(1949)

Yak-15

Yak-19

Yak-17

Yak-25(1947)

Yak-30(1948)

Yak-50(1949)

Yak-23 플로라

La-150

La-15 팬테일

La-168

I-211/215

1950년대

MiG-17 프레스코

MiG-19 파머(농부)

MiG-21 피쉬배드

Su-7

Su-9 피쉬포트

Yak-25

1960년대

Ye-150/151/152

Ye-8

Su-11 피쉬포트

Su-15 플라곤

Su-17 피터

Yak-28 파이어바

Yak-32

Tu-28

1970년대

MiG-23 플로거B

MiG-25 폭스배트

MiG-27 플로거D

Yak-38

Yak-45

1980년대

MiG-31 폭스하운드

MiG-29 펄크럼

MiG-21bis

MiG-33 슈퍼 펄크럼

Su-20

Su-22

Su-27 플랭커

1990년대

MiG-MFI(Project 1.44)

Su-32

Su-33

Yak-141(Yak-41)

2000년대

Su-47 베르쿠트

Su-37 터미네이터

Su-35 슈퍼 플랭커

2010년대

MiG-35 펄크럼F

Su-34

수호이 T-50

Yak-130

2020년대

MiG-LMFS

Su-FGFA

![154_9_b1.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wiki.php/MiG-21?actio n=download&value=154_9_b1.jpg)

[JPG image (504.66 KB)]

NATO 코드명 .

MiG기 계보

MiG-19

MiG-21

MiG-23

Contents

  1. 개요
  2.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2.1. 게임

  1. 관련 항목

[edit]

1. 개요 ¶

MiG-21 Fishbed _____(Rare Videos)

1956년부터 총 11,000대가 생산된 공산권의 대표적 항공기. 구 소련 전투기 중 사상 최초의 마하2급 전투기. 처음으로 주무장이 미사일인 기체기도 하다. 신뢰성 높은 투만스키 R-11계열 엔진을 탑재했고, 상대적으로 작고 가벼운 기체 덕분에 추력과 가속력, 상승력, 정비성은 획기적으로 개선되었고 전자장비 면에서도 나름대로의 진보를 보였다.

그러나 매우 큰 후퇴각을 갖는 델타윙에서 알 수 있듯[1] 철저하게 초음속 비행성능을 우선시하여 개발된 항공기다. 이는 MiG-21의 주임무가 적 전투기 요격이 아니라 덩치 크고 둔한 폭격기 요격이었기 때문. 미사일을 주무장으로 하고 상승력과 가속력을 우선시 하여 설계된 것도 이 탓이다. 덕분에 기동성 자체는 MiG-19보다도 뒤쳐지는 편. 다만 베트남전에서의 맞상대가 더 둔한 F-4였기에 사람들 뇌리에는 '기동성 좋은 전투기'로 남아있는 셈이다.[2]

공기흡입구는 전형적인 쇼크콘이 달린 기수 앞 흡입구(Pitot Inlet)인데, 이 뾰족한 쇼크콘 안에 레이더가 들어있다. 쇼크콘 자체는 속도에 따라 3단계로 움직여서 적절하게 충격파의 각도나 공기흡입량등을 조절해준다. 하지만 이것이 나중에 발목을 잡는데, 가동형 쇼크콘으로 인하여 내부 공간이나 탑재할 수 있는 레이더의 무게가 제한적이다 보니 대형 레이더를 달기가 골룸하다.

설계 미스로 무게중심도 한참 한쪽으로 밀려있어 그나마 적은 연료탱크에서 일정량의 연료를 남겨야 무게중심이 맞아 안정된 비행을 할 수 있는 바람에 안습의 항속거리를 자랑했으며 후방시야 확보가 개판이라[3](조종석 바로 뒤가 연료탱크다.) 조종석 뒤에 연료탱크 때문에 예전의 제로센처럼 그냥 파일럿 잡아먹는 비행기가 될뻔했지만 피탄만 당하면 조종사가 자동 사출[4]된다. 공대공 미사일은 AA-2를 사용했는데, AIM-9를 카피한 것으로, 둘 다 초기형에는 문제가 많았다.
참고로 위에서 설명한 시야문제는 복좌형의 경우 더욱 심각한 수준인대, 후방좌석에 탑승한 요원이 앞을볼 방법이 사실상 없기에 잠망경으로 앞을 봐야한다.[5] 이는 Su-17의 복좌형들도 같이 갖고 있는 문제. 단좌형의 경우는 이 때문에 잠망경 형식의 후방 관측 거울을 장착해 두기도 하였다.

그래도 주로 맞상대한 F-4 같은 서방제 전투기보다는 훨씬 좋은 격투전 성능에(요격기로 개발되었음에도!)[6] 미칠듯이 싼 가격으로 마하2급 전투기를 장비할 수 있다는 매력[7]이 더해져 초음속 전투기 중에서 가장 많은 생산대수를 자랑한다. 최대 2만대 추정.

지옥의 외인부대(에어리어88)에서 반정부군 주력기로 나와 동네북처럼 많이 당했던 바 있다. 사실, 역사적으로도 굴욕을 당한 적이 있는데, B-52포탑에 격추되었던 기록이 있다. 72년 라인베커II 작전 당시...

뿐만 아니라 인도군의 MiG-21은 파키스탄의 F-86(...)에게 격추당한 전적을 가지고 있다. 마하2급의 초음속 전투기가 아음속 전투기에게 격추당하다니 이게 무슨소리야[8]

미국에서 가장 경계하는 모델은 현대적으로 개량된 MiG-21M이다. 이 개량형은 Kopyo레이더를 장착하고 R-77R-73을 운용가능하며 8개의 물체를 추격하여 동시에 2기의 적기와 교전이 가능해 MiG-29C형보다 우월한 성능을 가졌다. 하여튼 러시아 것은 항전장비가 문제다.

북한군도 다수 운용하고 있다. 물론 M은 아니고 베트남전때 쓰였던 MiG- 21PF, MiG-21bis, 그리고 중국제 J-7, 복좌 훈련기인 MiG-21U 등 총계 190여대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북한이 보유한 MiG-21의 대부분이 J-7이라고 오해하지만 사실은 40대 정도이다. 중국이 한국과 수교한 이후로는 중국이 전투기를 팔지 않아 90년대에 카자흐스탄으로부터 중고기 30여대를 헐값에 사왔는데 몇 언론에서 21을 31로 오타를 내서 북한이 MiG-31을 도입했다며 호들갑을 떤 적이 있었다. 위의 동영상은 선전 영화를 편집한 영상인데도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로서는 위쪽동네의 주력기여서 여러모로 신경쓰이는 기종. 우리군의 수적 주력기인 F-5와 비교당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펙상으로는 MiG-21이 약간 더 우세해보이지만 실제로는 F-5쪽이 좀 더 근접격투전에서 우수한 편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우리나라도 귀순한 기체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테스트를 해 보았을 테지만 이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고...다만 남베트남이 가지고 있던 F-5를 이용하여 냉전시절 동구권이 MiG-21과 맞짱을 붙여 봤는데, F-5는 MiG-2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좋은 시야, 좀 더 조종사를 배려한 조종석 디자인, 그리고 스트레이크(LEX라고도 부르는, 주날개 뿌리부근에서 앞쪽으로 길게 뻗어 나온 부분)덕에 안정적으로 급기동을 할 수 있는 능력등으로 인하여 여러번의 근접격투전에서 MiG-21을 압도하였다고...물론, 최신형 MiG-21이라면 또 어떨지 모르지만 어차피 윗동네에 많이 있는건 구형 MiG-21인지라 뭐...[9]

1983년 8월 7일 중국 인민해방공군이 해군항공대와 공동으로 진행중이던 신형 공대공 미사일 테스트를 하던 파일럿 손천근(孫天勤)이 J-7을 몰고 랴오닝성의 대련 비행장에서 이륙후 한국의 K-16 비행장에 착륙했다. 손천근은 같은해 8월 20일 대만으로 망명했고 기체는 어그레서 용으로 잠시 사용되다 전시품으로 전락했다.

베트남전에서 미공군은 MiG-17, MiG-21등의 경전투기의 의외의 활용성에 감동 먹고 F-16을 만든것과 대조적으로, 소련군은 미군 전투기들의 고성능 레이더와 장거리 미사일을 보고 감동먹고 MiG-21의 레이더를 크게 개량하는 방안도 검토하였다.

기수부분에 대형 레이더를 달고 공기흡입구를 동체 아래로 옮기며, 무거워진 기수를 들어올리기 위해 기수부분에는 카나드를 다는 마개조를 한 것인데, 어째 실루엣이 EF-2000하고 유사해져 버렸다. 하지만 더 큰 플랫폼의 BVR능력을 향상시킨 MiG-23 계획에 밀려서 시험기만 만들어지는 수준에서 GG.

이 외에도 후퇴익 버전의 고고도 요격기 연구용이나 수평꼬리날개 없이 대형 델타날개를 단 버전, 전체적으로 사이즈를 키운 버전, 단거리 이착륙(STOL)을 위하여 부스터를 단 버전 등 많은 실험기가 개발/제작되었으나 실제로 양산된 것은 결국 원형의 MiG-21과 큰 차이 없이 탑재장비만 바뀐 버전들 뿐이다.

[edit]

2.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edit]

2.1. 게임 ¶

[edit]

3. 관련 항목 ¶

\----

  • [1] 델타윙은 반드시 수평꼬리날개가 없는 형상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 [2] 그나마도 F-4보다 월등하게 기동성이 좋았던 것도 아니며, 초음속 영역에선 되려 F-4가 기동성이 더 좋았다. 초음속에서 기동성을 재가며 도그 파이팅 할 일이 없는게 MiG-21로서는 다행이었지만, 사실 MiG-21자체가 이 F-4에게 강력한 위협이 되었던 가장 큰 이유는 기관포때문이다.
  • [3] MiG-21 이전의 전투기들도 물방울형 캐노피를 채택했으나 동시기 서방제 전투기-특히 F-86 세이버-와 비교했을 때 조종석이 동체에 더욱 파묻혀 있는 형태라서 상대적으로 후방시야가 좋지 못했다. MiG-21의 후속으로 개발된 MiG-23의 경우 레이저백 캐노피를 채택하여 역시 후방시야가 불량했으며 이후 개발된 MiG-29와 Su-27 시리즈의 경우에도 물방울형 캐노피를 채택했음에도 후방시야가 탁월한 것은 아니어서 MiG-21 이후로 소련제, 러시아제 전투기에는 후방 감시 목적으로 캐노피 상단에 페리스코프를 설치하기도 했다. 항속거리 문제는 후기형인 MT, SMT형에서 개선된다. 초기형과 비교했을 때 후기형은 캐노피 뒷부분의 부피와 더 증가하였다. 이점은 MiG-29에도 동일한 점이 식별된다. 단 이러한 개량으로 인하여 그렇지 않아도 불량한 후방시야는 더욱 안좋아졌다.
  • [4] 소련제 전투기는 실제 자동 사출장치가 있다. 열차의 데드맨 장치처럼 일정시간 이상 입력이 없으면 조종사에게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출좌석이 자동으로 작동된다. 실제로 MiG-25의 빠른 속력으로 조종사가 정신을 잃었을 때 이 장치 덕분에 살아남기도 했다. 인명경시 사상에 찌든 소련제이지만 조종사는 워낙 고급인재라서 그런건지 안전장치 하나만은 매우 훌륭하게 만드는 셈. 현재 러시아 사출좌석은 고속기동시 탈출할 때 가장 안정된 사출좌석으로 평가받는다. 오죽하면 러시아 에어쇼에서 가끔 발생하는 사고가 러시아가 사출좌석을 팔기 위한 사출좌석 쑈라고 할까.(그런데 이것때문에 에어쇼중 사고가 발생하면 조종사는 탈출해서 살아남고 관객들이 몰살당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실제로 미국에 수출되어 F-22에 채용할 계획도 있었다!! 하지만 러시아가 해외에 판매할 때 내놓는 영미권에선 속어로 Monkey Version이라 부르는 모델들에게는 싸구려를 달아 놓거나 그냥 그딴거 없ㅋ서ㅋ가 대부분이다. 다만 요즘은 돈맛을 봐서 그런지 돈 좀 주고 괜찮은 모델 구입하면 러시아 본판보다 나은 것도 구입할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구소련 당시와는 격세지감.
  • [5] 사실은 처음부터 복좌화를 염두에 두지 않은 거의 모든 기종에 해당하는 이야기다. MiG-25PU 처럼 원래 좌석 앞에 좌석을 달아버리던가 Su-27계열처럼 원래 덩치가 커서 복좌형으로 만들어도 여유가 있는 경우 정도가 아니고서는 답이 없다. 사실 Su-27은 그 보다는 기수자체가 아래를 향하고 있던게 더 영향이 크다. 기수가 아래로 꺾이거나 기타 이유로 후방석이 전방좌석 보다 높으면 잠망경을 달 필요가 없는 건 당연한 이야기. 물론 후방석이 굳이 유사시 조종을 해야할 이유가 없다면 그마저도 달 필요가 없다.
  • [6] 생각보다 MiG-21의 격투전 성능은 F-4 팬텀II와 비교했을 때 압도적인 것은 아니었다. MiG-21의 격투전 성능은 경량 기체에 강력한 엔진을 탑재했다는 점에 기인한 것이었으나 F-4 팬텀II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엔진을 쌍발로 탑재하여 에너지 파이팅 능력에서는 MiG-21보다 유리한 측면도 있었다. 더구나 초기형 MiG-21의 경우 F-4 팬텀II와 마찬가지로 기관포 미탑재에 공대공 무장은 아톨 AAM 2발이 전부였기에 오히려 불리한 점도 있었다.
  • [7] 같은 해 등장한 Su-7은 MiG-21보다 덩치는 크면서 탑재량은 반도 안되는 데다 연비는 개판이었다.
  • [8] 이와는 반대로 인도군의 MiG-21이 파키스탄군의 F-16을 털어버린 전적도 있다(...)
  • [9] 그 미그기 중에선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 공화국에서 1999년 못쓰겠다고 폐기처분하려는 것을(...) 애걸해서 얻어온 것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