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
비선형
포화지방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2 24 26 28 30 31 32 33 34 35 36
불포화지방산
cis-3:1ω1 cis-14:1ω5 cis-16:1ω7 cis-16:1ω10 trans-18:1ω7 cis-18:1ω9 trans-18:1ω9 cis-18:2ω6 trans-18:2ω6 cis-18:3ω3 cis-18:1ω6 cis-20:1ω7 cis-20:5ω3 cis-22:1ω9 cis-22:6ω3
글루타민 글루탐산 글라이신 라이신 류신 메싸이오닌 발린 세린 [셀레노메싸이오닌](/wiki /%EC%85%80%EB%A0%88%EB%85%B8%EB%A9%94%EC%8B%B8%EC%9D%B4%EC%98%A4%EB%8B%8C) 셀레노시스테인 시스테인 시트룰린 아르지닌 아스파라진 아스파트산 알라닌 오르니틴 아이소류신 카르니틴 타우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타이로신 페닐알라닌 프롤린 피롤라이신 히스티딘 아스파탐 단백질
기타
구연산 글루카르산 글루콘산 글루크론산 글리세린산 레불린산 말레산 말론산 말산 벤조산 살리실산 아디프산 아세토아세트산 알다르산 알돈산 옥살산 우론산 유산 이소시트르산 점액산 크실론산 타타르산 탄산 피루브산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4/Carbonic-acid- 2D.svg/333px-Carbonic-acid- 2D.svg.png](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4/Carbonic- acid-2D.svg/333px-Carbonic-acid-2D.svg.png)
[[PNG external image]](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4/Carbonic- acid-2D.svg/333px-Carbonic-acid-2D.svg.png)
![carbornic_acid.jpg](//rv.wkcdn.net/http://rigvedawiki.net/r1/wiki.php/%ED%83 %84%EC%82%B0?action=download&value=carbornic_acid.jpg)
[JPG image (36.72 KB)]
炭酸, carbonic acid.
탄산은 유기화합물의 하나다. 카보닐산이라고도 한다. 화학식은 H2CO3 또는 O=C(OH)2.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았을 때다.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으면 약간의 탄산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산화탄소를 탄산가스라고도 하는 것은 여기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산화탄소가 녹은 물은 탄산수라 한다. 탄산수에서는 탄산과 이산화탄소가 평형을 이루게 된다.
CO2 + H2O <-> H2CO3
이 때, 대부분의 이산화탄소는 탄산으로 변하지 않고 그냥 물에 녹아 있고, 소량만이 탄산으로 전환된다. 게다가 촉매 없이는 전환되는 속도도 느려서 실제로 위와 같은 평형상태가 되려면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이래 저래 뭔가 시원찮은 반응이다.맥주의 경우 발효 과정에서 탄산이 만들어진다.
실제로 콜라, 사이다 등 탄산음료의 제조공정을 보면 대기압의 수 배에 달하는 압력을 가하고 온도를 서서히 낮추는 방법으로 이산화탄소를 녹이는데, 이 녹은 이산화탄소의 단지 일부만 탄산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시원한 느낌을 주는 것은 탄산이 아니라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이기 때문에 탄산을 만드려 녹이는 것은 아니다. 간단히 말해 탄산은 그냥 산의 일종이다.
탄산은 약산으로서 탄산염과 중탄산염의 2가지의 염을 생성한다. 탄산이 많은 상태에서 염기를 넣으면 중탄산염이 생성되고, 염기가 많은 상태에서 탄산을 넣으면 탄산염이 생성된다.
신체의 혈액은 pH 값이 잘 변하지 않아서 웬만큼의
산이나 염기가 추가되어도 pH 7.4 에서 +-0.05
정도만 변할 뿐이다. 이런 용액을 완충용액이라 하는데, 혈액이 완충용액이 되는 이유는 탄산과 그 염인 중탄산염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NaOH와 같은 센 염기가 첨가되어 수산화 이온(OH-)이 생기면
H2CO3(aq) + OH-(aq) → HCO3-(aq) + H2O(l)
처럼 탄산(H2CO3)이 출동해서 염기를 줄이고
HCl과 같은 센 산이 첨가되어 H+ 이온으로 인해 옥소늄이온(H3O+)가 생기면
HCO3-(aq) + H3O+(aq) → H2CO3(aq) + H2O(l)
처럼 중탄산염(HCO3-) 덕택에 산성이 줄어든다.
이러한 중탄산염과 탄산은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원래 이산화탄소의 수화작용(水化作用)은 촉매 없이는 매우 느리다. 그러나 적혈구에는 탄산 탈수 효소가 있어서, 신체 조직의 이산화탄소가 빠르게 탄산으로 변할 수 있다. 아울러 그 효소는 만들어진 탄산으로부터 수소 이온 하나씩을 분리시켜 중탄산염이 혈액에 녹아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도 한다.
H2CO3 -> H+ + HCO3-(중탄산염)
폐에서는 이 과정이 반대로 돼서 중탄산염이 다시 CO2로 바뀌어 날숨에 섞여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의 탄산과 중탄산염이 완충용액까지 제공해주니 꿩 먹고 알 먹고.
탄산은 해양 산성화의 원인이다. 화석연료를 태우면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절반 가량이 바다에 녹아든다. 이로 인해 바다 표면이 산업화 시대 이전보다 약간 산성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1751년에서 1994년 사이에 바다 표면의 pH는 약 8.179에서 8.104로 0.075 감소한 것으로 평가된다고.